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세포·유전자치료제, ADC 항암제…신약개발 속도 내는 종근당 2025-02-18 16:03:11
세포에 살상 기능을 발휘하도록 돕는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DCC)을 일으키는 작용기전으로 표적항암제의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바이오 신약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종근당은 비소세포폐암을 적응증으로 CKD-702의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선별한 환자의 치료 효과를 확인해 미충족...
허셉틴 이후 14년 만에…위암 표적항암제 새 시장 열린다 2025-02-17 17:39:04
그동안 국내 전이성 위암 환자의 80%가량은 독성이 강한 화학항암제 외엔 적절한 치료법이 없었다는 의미다. 빌로이는 위 점막세포 등에 많은 클라우딘18.2라는 새 표적에 초점을 맞춰 개발됐다. HER2 음성 위암 환자의 40%가량은 이 단백질 양성으로 추정된다. 의료계에서 ‘치료 공백’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농약, 표적 외 생물에도 큰 악영향…생물다양성 위기 주요인" 2025-02-14 05:00:00
생물체의 신진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세포를 손상할 수 있다며 이런 부정적 영향들은 야생 생물의 조기 사망을 초래하고 개체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서섹스대 데이브 굴슨 교수는 "살충제는 주로 표적 해충 또는 그와 밀접한 생물에 독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우려스럽게도 농약은...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기존 표적항암제 안듣는 변이에 효과 2025-02-11 14:28:33
넘겼다. 홍 교수는 "병용 요법은 인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살상할 수 있도록 돕는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을 활성화하는 기전으로 기존 치료법 내성을 극복한다"며 "작년 미국 임상암학회(ASCO)에서 발표된 비정형 코호트 연구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 것은 물론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MET 변이 발현...
"피부에 주사하는 항암 신약, 연내 해외 제약사에 기술 이전" 2025-02-10 17:29:35
계획을 이같이 밝혔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면역세포 활성화를 조절하는 물질인 인터루킨(IL)-2 기반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면역 활성 효과가 뛰어나지만 부작용이 커 사노피, BMS 등 글로벌 제약사도 개발에 실패한 영역이다. 단독요법이 아니라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요법으로 투여할 때만 활성을 보이는 것도 한계였다...
비싼 비타민D 주사 맞았는데…"00암 환자는 피해라" 2025-02-06 16:35:16
양상이 다른 희귀 암으로 담도암 세포에서 비타민D 대사 관련 유전자가 다른 방식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 등 여성호르몬과 비타민D의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쳐 여성 담도암 환자 예후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과도하게 높은 비타민D 수치가 오히려 염증 반응이나 세포 독성을 유발할 수...
셀트리온, 돌연변이 잡는 ADC 항암신약 임상계획서 FDA에 제출 2025-02-03 09:21:43
세포에서 활성화해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cMET(세포성장인자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는다. 셀트리온은 올해 중반 첫 환자 투여를 목표로 글로벌 임상 1상을 본격 진행할 계획이다. CT-P70은 앞서 시험관, 동물실험 등 비임상을 통해 폐암, 대장암, 위암을 포함한 다수의 고형암 모델에서 탁월한 종양 억제 효과를...
설 연휴 이후 일반청약…오름테라퓨틱은 어떤 회사? 2025-01-27 19:26:25
후보물질이다. 유방암 세포 표면에 발현하는 HER2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 퍼투주맙에 당사 고유의 세포독성 페이로드인 GSPT1 단백질 분해제를 접합했다.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 단계에 있다. 최근 중대이상반응(SAE)으로 잡음이 나왔던 후보물질이 바로 ORM-5209다. 지난해 11월 SAE가 발생하자 미국...
"치명적 코로나 변이 유행"…알고보니 철 지난 가짜뉴스 2025-01-21 07:49:06
변이보다 독성이 5배 강하고, 사망률이 높으며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하지만 이는 오미크론 변이의 한 종류인 XBB가 국내에 유입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2022년 11월께 이미 퍼졌던 잘못된 소문이다. WHO는 2022년 10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 데이터에 따르면 XBB의 질병 중증도에는...
지아이이노베이션-라노바메디신, 췌장암 병용요법 MOU 2025-01-20 16:10:43
치료 옵션을 제공할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장명호 CSO(임상전략 총괄)는 “글로벌 박파마들에 인정을 받고 있는 라노바와 ADC 병용 연구를 하게 되어 기쁘다”며 “종양세포를 직접 파괴하여 반응율을 높이는 라노바의 ADC와 면역세포 기억력을 강화하여 전체 생존기간을 높일 수 있는 GI-102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