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휴머노이드 상용화 원년"…통신업계도 로보틱스에 '한 발 더' 2025-02-16 07:00:17
탁상용 스마트 디스플레이 등 가정용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애플 전문가로 알려진 대만 TF 인터내셔널 증권 분석가 궈밍치는 공급망 소스를 인용해 애플의 로봇 양산까지는 향후 수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 삼성전자는 연초 미래로봇추진단을 꾸린다는 소식과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지분을...
시진핑, 中 테크 수장들 부른다…'딥시크' 량원평 올까 2025-02-14 19:58:28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회장 등 주로 테크 기업 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로이터가 보도한 기업들 외에 최근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로 세계적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도 참석...
"시진핑, 알리바바·딥시크·샤오미 등 中테크 수장들 소집"(종합) 2025-02-14 17:38:33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회장 등 주로 테크 기업 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로이터가 보도한 기업들 외에 최근 저비용 고효율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로 세계적 돌풍을 일으킨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도 참석...
"1박2일로 여행 코스 짜줘" 요즘 필수라는데…놀라운 결과 2025-02-13 20:30:01
기대 때문이다.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젊은 층의 활용도가 높다는 점도 업계가 놓칠 수 없는 부분. 이들의 취향이 반영된 데이터를 활용, 새로운 상품 개발에 나서 경쟁력 확보에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활용도가 높아지자 업계에선 다양한 형태의 AI 기술 도입으로 개인화된 여행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하나투어는...
AI 융합 못따라잡으면 낙오! CES 2025 인사이트 포럼 성료 2025-02-13 12:35:16
기업의 생산성, 선글라스 업체던 레이밴이 선보인 스마트글래스의 데이터 수집 등 CES 2025가 선 뵌 기술 중 기업과 투자자가 놓치면 안 될 트렌드도 짚어줬다. 특히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가 낮은 비용으로 개발한 생성형 AI 딥시크 돌풍이 시장의 물줄기를 바꾼 점에 주목하며 중국 테크 기업의 빠른 추격전에 따른 산업...
中화웨이, 美제재에도 작년 매출 22% 증가…역대 2위 규모 2025-02-06 18:44:44
한 포럼에서 지난해 매출액이 8천600억위안(약 171조1천억원) 이상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수치는 전년도 매출액 7천42억위안(149조1천억원)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치였던 2020년의 8천910억위안(177조3천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라고 SCMP는 전했다. 량 의장은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등 소비자 기기...
정하중 한국지멘스 사장 "디지털 혁신 주도…기업경영 핵심 전략은 ‘DEGREE 프레임워크’" 2025-02-04 06:00:58
공간을 종로구 청진동 디타워로 옮기면서 스마트 센서와 공간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이 같은 한국지멘스의 역발상적 공간 재활용 방식은 지난해 건물 탄소 배출량을 전년 대비 50% 이상 줄이는 데 기여했다. 한국지멘스의 지속가능한 전략은 디지털 전환과 깊은 연관이 있다. 디지털 기...
주요 ESG 콘퍼런스 및 포럼 2025-02-04 06:00:55
발전 전략 등 에너지 산업 정책에 부응하는 스마트 에너지 트렌드를 엿볼 수 있다. 2월 14일 ‘전력시장의 변화에 따른 시장 참여’ 세미나 ‘전력시장의 변화에 따른 시장 참여와 신사업 추진 방안’ 세미나가 2월 14일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주최로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403호에서 열린다. 기존 전력시장의 구조적...
[모십니다] 'CES 2025' '딥시크 돌풍' 짚어드립니다 2025-02-03 18:13:56
양자컴퓨터가 가져올 산업 생태계 변화(정지훈 파트너), 휴머노이드와 테크 투자전략(고태봉 센터장) ●참가신청: 아래 QR코드 스캔 또는 전화 02-360-4841(안내 0번) ●참가비: 5만원(한경무크 등 증정) 주최: 한경미디어그룹, 한국경제매거진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참가 신청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마켓칼럼] "딥시크 충격에도 美 증시 상승…네이버에도 기회" 2025-02-03 09:54:39
스마트폰, 자동차 등 세트 및 내구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주춤하면서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사이클은 저조했다. 한편 미 연준이 최근 4개월간 100bp 금리를 인하했고 미국 및 선진국의 증시가 상승하면서 올해는 B2C 싸이클이 상승 전환되어서 수출 중심인 한국 주요 기업들의 이익은 증가할 것이다. 전반적인 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