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경에세이] 포화에 휩싸인 '농산물 종자' 2025-02-16 17:17:42
‘식물판 노아의 방주’로 불리는 이곳은 어떤 재해에도 견딜 수 있게끔 설계돼 있다. 우리나라 경북 봉화군. 여기 백두대간 수목원에도 글로벌 시드볼트(seed vault)가 있다. 지하 깊숙이 터널을 파서 국내외 야생식물 종자를 영구 보존한다. 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은 레닌그라드를 900일간 봉쇄했다. 소련은 식량이 끊겨...
의사도 포기한 식물인간 딸...바티칸 '기적' 인정 2025-02-08 08:47:24
2012년 5월 29일, 친구들을 집에 초대해 만나던 에마뉘엘 트란은 막내딸 메일린에게 소시지를 건네주었다. 그러나 그것이 모든 문제의 시작이었다. 아이는 소파로 간후 갑자기 말없이 발을 동동거렸다. 아이는 숨을 못 쉬고 있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대로 쓰러졌다. 에마뉘엘은 의식이 없는 딸을 상대로 인공호흡을...
[기고] 방치할 수 없는 '그냥 쉰' 청년 45만명 2025-01-26 16:23:15
셈이다. 심리학자인 레이먼드 카텔은 인간의 지능을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으로 구분했다. 유동성 지능은 유전적인 경향이 강해 성장에 한계가 있지만 결정성 지능은 끊임없는 경험과 학습, 도전을 통해 계속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71세에 유튜버에 도전한 박막례 할머니, 40세에 등단한 소설가 박완서, 1001번째에...
대구미술관 제2의 도약....부속동 개관해 2025-01-13 14:24:19
인간의 장기와 식물의 이미지를 중첩해 유기적인 관계성을 보여주는 ▲정용국, 불교 사상과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명상적이고 철학적인 정신을 나타내는 ▲곽훈, 친숙한 사물에 변화를 가하여 인간의 관념을 흔드는 ▲비아 레반도프스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빛과 공간, 사람들의 연결을 시도하는 ▲미야지마 타츠오의...
美서부 잿더미 만드는 대형산불…"기후변화·도시화가 주범" 2025-01-09 16:28:07
산불은 급속한 도시화와 인간이 증폭시킨 기후 변화로 인해 지난 수십년간 강렬해졌으며, 파괴력도 커졌다고 진단했다. 기후변화와 도시화는 불이 잘 붙을 수 있는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을 조성했고, 산림의 고사를 촉진해 지표 연료의 축적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지속된 미 서부의 극심한 더위와 장기...
"해외 대신 국내로 가볼까?"…새해 첫 달 추천 여행지 2025-01-01 22:00:01
이름이 붙은 야생화 재배단지에도 가을에 식물원을 대표하는 또 다른 식물인 벌개미취 군락지가 있다. 대군락을 이루는 아름다운 풍경에 사진 명소로 꼽힌다. 우리나라 고유의 꽃과 나무들이 어우러져 자라는 자연스러운 모습을 재현한 공간 비밀의화원에는 20m는 되어 보이는 소나무 군락이 겨울에도 푸른 초록을 품고 있...
집, 개인의 취향이 묻어나는 공간 … 성수동으로 ‘예술 임장’을 떠나다 2024-12-31 08:27:00
말했다. 그만큼 인간에게 집이라는 장소는 단지 휴식이나 숙식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개인에게 집의 의미는 더욱 커졌다. 주거와 업무, 휴식 공간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다.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사람들은 자신이 사랑하는 모든 존재들을 방 안으로 들여왔다. 그렇게 우리에게 집은...
우리 모두에게 희망을! [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2024-12-17 17:38:31
점점 늦게 뜨고 빨리 진다. 이미 일년초 식물의 잎과 줄기는 덧없이 시들었다. 활엽수는 한파 속에서 헐벗은 채 떨고 있다. 저물녘 가로수의 그림자가 길어질 때 마음에 고적함과 쓸쓸함이 번지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올해 다섯 해 만에 새 시집이 나오고, 책을 두어 권 더 썼다. 시력은 더 나빠지지 않고, 혈당 수치도...
'동남아의 젖줄' 메콩강서 새로운 동·식물 234종 발견 2024-12-16 17:04:36
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태국에서 일하는 과학자들이 식물 173종, 파충류 26종, 양서류 17종, 어류 15종, 포유류 3종 등 그간 확인되지 않은 동·식물 총 234종을 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97년 이후 메콩강 유역에서 새로 발견된 종은 총 3천623종으로 늘었다. 이 중 라오스...
[책마을] 근육질 참치, 투명 망토 멸치…놀라운 바닷속 2024-12-13 17:08:17
이산화탄소는 바다 수면에 녹아들고,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유기 물질로 바꾼다. 크릴은 바로 이 식물 플랑크톤을 섭취하면서 이산화탄소 일부를 몸속에 고정한다. 크릴이 탈피하며 떨어져나온 껍데기나 배출한 배설물이 깊은 바다 밑에 쌓여 머물게 된다. 이 작은 생물이 지구 환경에 얼마나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