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욕설과 폭언, 딱 한번이라면...직장 내 괴롭힘일까? [출근 중] 2025-02-07 17:35:32
대해서는 사실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서 실무상 쟁점이 되고 있는데요. 하급심 판례는 업무상 적정범위 여부와 관련해 몇 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즉 ▲해당 행위가 이례적인지 반복적인지 여부 ▲ 비난 또는 조롱의 의도가 있었는지 여부 ▲우발적이었는지 계획적이었는지 여부 ▲태도가 위협적이었는지 아닌 지 여...
수백억 조합비 가로채면 어쩌나…'내집마련' 좌절시키는 주택조합 범죄 [김형수의 서민 울리는 범죄들] 2025-02-04 07:00:02
쉽지 않습니다. 실무상 가장 많이 접하는 사례는 업무대행사의 임직원이 과도한 업무대행비를 지급받거나, 조합자금 수백억 원을 개인적으로 사용해 업무상횡령 또는 배임죄를 저지르는 것입니다. 조합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사업 진행이 불가능해질 뿐 아니라 업무대행사의 임직원을 형사상 엄벌해도 손해를 배상하거나...
[칼럼] ESG 관점에서 본 상법 개정안의 한계 2025-02-04 06:01:35
상법 개정안이 의도한 것은 아니겠지만, 실무상 경영진과 이사들의 의사결정 속도를 늦추고 의사결정을 보수적 방향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이는 우리에게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우리 앞에는 인공지능(AI), 로봇 등 산업 대전환,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대전환, 그리고 저탄소사회로의 전환 등 큰 과제가...
부당한 공동행위의 갯수 [Lawyer's View] 2025-01-22 09:32:48
성립한다는 입장을 취하기도 하였다. 실무상으로 위와 같은 법원 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해석론에 따르더라도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우에 전체적으로 1개의 담합행위가 성립할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대법원 판례의 설시를 종합해 보면, ‘기본합의의 존재 여부’, ‘단일한 의사’, ‘동일한 목...
"명절에 컵라면 받은 거 실화냐"…직장인 인기 1위 선물은? 2025-01-21 13:25:59
하는 것도 실무상 중요한 포인트"라고 말했다. 이어 "이전에 줬던 선물에 대한 반응이나 회사 상황을 고려한 비용에 맞춰 원하는 선물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식으로 직원들 의견을 회사 상황에 맞게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벤츠 '배출가스 조작'…고법 "642억 과징금은 적법" 2025-01-15 17:33:12
과징금 산정 과정에도 소급효금지원칙 위반 등 위법도 없다”고 설명했다. 서울고법 관계자는 “이번 항소심 판결은 환경당국의 배출가스 인증 절차, 부정 인증 및 인증 불일치 판매 관련 인증 취소, 과징금 산정 및 부과 등 환경행정에 실무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며 “유사 행정사건, 형사사건의 판단에도 참고가 될...
'배출가스 조작' 벤츠코리아, 600억대 과징금 소송 2심 패소 2025-01-15 15:47:35
판시했다. 서울고법 관계자는 "이번 항소심 판결은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과 관련해 환경 당국의 배출가스 인증 절차, 부정 인증 및 인증 불일치 판매 관련 인증취소, 과징금 산정 및 부과 등 배출가스 규제와 관련된 환경행정에 실무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며 "유사 행정사건, 형사사건의 판단에도 참고가 될 수 있다"고...
'특허 침해' 손해배상 최대 5배 증액…"법원·당사자가 적극 활용해야" [화우의 바이오헬스 인사이트] 2025-01-09 08:27:46
개선하고 우리 소송실무상으로도 실효적인 증거수집이나 적정한 손해배상액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소송당사자나 법원 모두가 특허법상 강화된 증액배상 규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증액배상 규정이 신설되거나 강화된 이후에 발생하는 위반행위부터 적용되는 증액배상제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
"안전의무 불이행과 중대재해 인과관계 없으면 무죄" 첫 판결 나왔다 2025-01-07 17:20:50
하고(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재판 실무상 쟁점), 통상 예견할 수 있는 범위를 넘는 이례적인 사태의 발생까지 예견하고 대비할 것을 요구할 수는 없다(대법원 2021. 1. 11. 선고 2021도11948 판결). 이번 판결에서는 피해자의 작업 및 관련 공정의 내용, 기계의 작동방식, 공구의 제조 목적, 평상시 작업방식 및...
200억 기업 키운 형제의 눈물…유류분제도의 맹점 [조웅규의 상속 인사이트] 2025-01-03 08:45:10
오랫동안 고민해왔다. 실무상 유류분반환청구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은 생전증여가 얼마가 되는지 여부다. 특히, 유류분을 계산할 때 생전에 증여 받은 재산의 가액을 증여 당시의 가액으로 평가할지 상속개시시의 가액으로 평가할 지 견해가 대립할 수 있다. 대법원은 1997년 "유류분 계산시 증여받은 재산은 상속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