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작년 세계 방위비 2.4조달러, GDP의 1.9%로 사상최대" 2025-02-13 03:50:10
늘었다. 구매력평가(PPP) 환산 시 4천616억달러로, 유럽 전체 4천570억달러보다 약간 많은 수준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에 GDP의 5%를 국방비로 지출할 것을 요구하는 등 자력 방위를 압박하는 가운데 지난해 유럽 지역 방위비는 전년보다 11.7% 늘었다. 독일에서 23.2% 늘어난 860억달러를 국방비로 지출해...
후진국도 아닌데…'엥겔지수' 치솟는 일본 [임현우의 경제VOCA] 2025-02-10 14:36:53
있다. 명목임금은 35개월째 증가세지만 실질임금은 4개월 연속 뒷걸음질 중이다. 월급봉투가 겉으론 두꺼워진 듯 보이지만 실제 구매력은 쪼그라들었다는 얘기다. NHK에 따르면 지난해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일본 노동자의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0.2% 감소했다. 2인 이상 가계의 평균 소비지출 역시 물가 변동분을 제거하고...
인적자본 강조한 일본, 더딘 혁신은 어쩌나 2025-02-04 06:00:50
있다. 그러나 낮은 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감소로 가계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 종사자의 구매력은 개선되지 못했다. 일본 밸류업이 기업 수익성 제고와 인적자본을 강조하는 이유는 기업 수익성이 낮고 종신고용과 연공서열로 생산성이 없는 사내 실업자(마도기와 오지상)를 대량 양산했기 때문이다. 혼네와 다테마에...
관세에도 주가 버틴다? 계속되는 희망고문…골드만 "단기로 끝"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2025-02-03 08:47:10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구매력이 위축되어 지출 성장이 약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ING는 분석했습니다. 이번에 800달러 미만 소량 패키지에 대한 면세 수입이 폐지됐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100억 달러 이상의 세금을 더 내야 할 수 있습니다. 관세가 디플레이션적이라는 일부 주장이 있습니다.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경상 GDP '깜짝성장' 배경엔 종합물가지수…외환위기 후 최대↑ 2025-02-02 07:01:03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실질 구매력이 높아지고, 소비가 늘어나는 것이 통상적인 흐름이다. 다만 작년 민간 소비는 1년 전보다 1.1%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뚜렷한 개선 흐름을 보이지 못했다.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장기화하고, 소비심리도 위축되면서 GDP 디플레이터 상승의 긍정적 영향이 상쇄됐다는...
"물가 오르는데 내 월급만 그대로"… 금융위기 이후 최대 격차 2025-01-30 14:42:33
소득 구간 인원 20만8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302만원이었다. 이 구간 소득자들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20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임광현 의원은 "2000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안혜원...
"월급 빼고 다 올라" 진짜였다...상승률 격차 벌어져 2025-01-30 06:41:35
20만8천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천302만원이었다. 이 구간 소득자들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2천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늘었다. 임광현 의원은 "2천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향상을 지원하는...
월급 2.8% 느는 동안 물가 3.6% 올라…금융위기 이후 최대 격차 2025-01-30 06:15:01
이 구간 소득자들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2천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임광현 의원은 "2천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향상을 지원하는 조세·재정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화, '갑자기' 실질가치 '뚝'…64개국 중 엔화 이어 '최저' 2025-01-26 07:26:48
따르면,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91.03(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1.99포인트(p) 하락했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상대국 화폐보다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가졌는지를 나타내는 환율이다.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간의 상대적 환율 수준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치가 100을...
계엄 충격에 원화 실질가치 세계 두 번째로 약해졌다 2025-01-26 06:01:00
전월보다 1.99포인트(p) 하락했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상대국 화폐보다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가졌는지를 나타내는 환율이다. 이는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간의 상대적 환율 수준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기준 연도 대비 고평가, 100보다 낮으면 저평가돼 있다고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