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가까운 별 74개 근처에서 '외계혜성 벨트' 이미지 포착" 2025-01-18 06:00:02
별 주위에 있는 74개 외계행성계의 구조를 탐사하는 프로그램으로 전파망원경 66개가 연결된 ALMA와 전파망원경 8개가 연결된 SMA를 이용해 밀리미터파와 서브밀리미터파를 관측한다. 관측 결과 74개 외계행성계의 중심별 주위에는 수십~수백 천문단위(AU=태양-지구 거리. 1AU는 1억5천만㎞) 떨어진 거리에 다양한 구조의...
초기은하·블랙홀·외계행성…발사 3년만 우주론 흔든 제임스웹 2024-12-16 06:01:02
가스형 외계행성은 질량이 목성 6배에 온도는 섭씨 2도 정도로 낮아 지금까지는 관측이 어려웠지만 웹 우주망원경은 고성능 중적외선 관측 장치인 MIRI를 통해 포착했다. 손 수석연구원은 "(웹 망원경이) 외계행성계의 대기 성분을 높은 정밀도로 알아낼 수 있다는 증거가 속속 발표되면서 태양계 내 행성들과 비슷한 대기...
[사이테크+] "2억5천만㎞ 밖 소행성대에서 수십미터급 소행성 138개 발견" 2024-12-10 09:19:22
발견된 외계행성에 대기가 존재하는지 밝혀내기 위해 고감도 적외선 장치로 관측한 JWST의 데이터에 주목했다. 행성 7개로 구성된 트라피스트-1 외계행성계 중 일부는 액체 상태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생명체 존재 가능 영역에 있는 것으로 추정돼 큰 관심을 끌었다. 연구팀은 트라피스트-1 행성계에서 대기를 찾기...
[사이테크+] "4천 광년 밖 '죽은' 별 주변서 지구 크기 외계행성 발견" 2024-09-27 05:00:01
된 별과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 모습은 태양과 지구의 미래 운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우리은하 중심부 돌출부 근처에 있는 이 행성계는 2020년 중력이 렌즈처럼 작용해 더 먼 곳에서 오는 별빛을 1천 배 확대돼 보이게 하는 마이크로렌즈 현상(microlensing)으로 주목받았다. 당시 이 현상은 남반구에 있는...
[사이테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12광년 밖 '슈퍼목성' 첫 직접 포착" 2024-07-25 00:25:00
분석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됐다.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일반적인 방법은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빛을 가려 별빛이 약해지는 현상(transit)을 분석하는 것이지만, 차가운 거대 가스행성은 공전궤도가 중심별에서 멀고 공전주기가 길어 이런 현상이 포착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매튜스 박사는 이 결과는 외계행성...
지구와 온도 비슷한 외계 행성 찾았다 2024-05-24 18:11:55
바퀴씩 도는 외계 행성 ‘글리제 12b’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행성은 크기가 금성과 비슷하고 지구보다 약간 작다. 표면 온도는 42도로 나타났다. 지구보다 뜨겁지만, 금성 표면 온도인 464도에 비하면 훨씬 낮은 수준이다. 연구진은 글리제 12b가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5000여 개 중 표면 온도가 가장 낮아 생명체...
[사이테크+] 55광년 밖 초저온 적색왜성 주변서 지구 크기 외계행성 발견 2024-05-16 07:43:17
매우 흔한 별로 주변에 생명체 생존이 가능한 외계행성도 많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작고 어두워 주위에 있는 행성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 이번에 발견된 스페쿨루스-3b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로 중심별을 약 17시간에 한 바퀴씩 공전한다. 특히 공전과 자전 시간이 같아 한쪽 면이 계속 중심별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위...
[그래픽] 6개의 외계행성으로 이루어진 'HD110067' 행성계 2023-11-30 15:11:51
[그래픽] 6개의 외계행성으로 이루어진 'HD110067' 행성계 (AFP=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100광년 밖에 있는 별자리인 코마베레니스 자리(베레니스 머리털 자기)에 있는 별 'HD110067' 주위에서 정확한 공전주기 비율로 중심별을 공전하고 있는 외계 행성 6개가 발견됐다. 미국 시카고대...
[사이테크+] 100광년 밖 행성 6개로 이루어진 외계 행성계 발견 2023-11-30 09:05:51
공명 궤도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 특징은 이 행성계가 적어도 40억 년 전 탄생한 이후 거의 변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HD110067은 현재까지 4개 이상의 천체면 통과 외계 행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진 별 가운데 가장 밝다며 이 별은 해왕성보다 작은 외계행성과 이런 구성을 가진 외계 행성계가 어떻게...
[사이테크+] 태양 2개 뜨는 '타투인' 외계행성계서 두번째 행성 발견 2023-06-13 05:10:00
발견됐다. 두 개 이상의 외계행성이 존재하는 쌍성 외계행성계(multiplanetary circumbinary system)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영국 버밍엄대 매슈 스탠딩 박사(현 영국 개방대학)팀은 13일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서 2020년 발견된 쌍성 외계행성계 'BEBOP-1/TOI-1388'에서 두 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