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파미셀 창사 최대 매출 기록…첫 배당도 실시 2025-02-10 16:04:40
핵심분야로 성장한 첨단 인공지능(AI) 소재인 저유전율소재가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저유전율소재의 매출이 298억으로 227% 성장했다. 전체 매출 중 46%를 차지했다. 파미셀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에만 저유전율소재의 매출은 144억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여 분기 최대 매출 및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수 있었다” 며...
[IPO챗] 아이에스티이 등 3개사 다음주 코스닥 입성 2025-02-08 09:00:05
ALD에 쓰이는 고유전율막 형성 '하이(High)-k' 소재, 저유전율막 형성 '로우(Low)-k' 소재, 기타 정밀화학 소재 등이 있다. 위너스도 13∼14일 청약이 예정되어 있다. 배선 시스템 전문 업체로 스위치, 콘센트, 멀티탭, 차단기 등을 만든다. 에너지 하베스팅(외부 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저장하는 작업) 등...
[IPO챗] 엘케이켐 "글로벌 정밀화학 첨단 소재 기업으로 도약" 2025-02-06 15:44:58
고유전율막 형성 '하이(High)-k' 소재, 저유전율막 형성 '로우(Low)-k' 소재, 기타 정밀화학 소재 등이 있다. 엘케이켐은 "세계 최초로 PCP 리간드의 상업적 생산에 성공했으며 국내 최초 DIS 프리커서의 양산화에도 성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를 입증했다"며 "연구 인력의 77%가 석·박사급...
중국發 '딥시크' 유탄맞은 파미셀…"실적 타격 없어" 2025-01-31 10:31:25
AI반도체용 저유전율 소재를 생산하기 시작해 2023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났다. 2023년 91억원,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153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152.7% 상승한 수치다. 저유전율 소재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기판을 만드는데 쓰인다. 파미셀이 생산한 저유전율 소재는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하드웨어...
1호 줄기세포치료제 기업의 변신…파미셀, AI 바이오 소재로 급성장 2024-11-17 17:00:51
17일 “AI산업이 커지며 기판 제작에 필요한 저유전율 소재 매출이 회사 전체 매출의 40%를 훌쩍 넘겼다”며 “파미셀을 줄기세포 기업에서 바이오소부장 기업으로 보는 시각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파미셀의 저유전율 소재 매출은 지난해 91억원이었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은 작년 전체 실적을 훌쩍 넘긴 153억원이다....
파미셀, 3분기 매출 146억원으로 20% 늘어 2024-11-06 14:21:56
15억원, 당기순익은 22억원이었다. 3분기 매출은 저유전율소재가 성장을 주도했다. 64억원 매출을 내 지난해 21억원과 비교해 209.2% 늘었다. 3분기 누적매출은 153억원을 내 주요 매출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저유전율소재를 적용한 동박적층판(CCL)은 AI가속기에 쓰인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고...
페타브루, 한양대 기술지주로부터 Seed 투자 유치 성공·TIPS 선정 2024-08-30 09:58:30
경험을 바탕으로 저탄소 친환경에 적합한 저유전율 물질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지능형 센서 분야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시장으로 선진국대비 국내기술이 50% 수준에 머물고 있어 센서를 수입하여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의 응용이 힘들고 비용 및 개발과정의 난이도로 인해 제...
역대 최대규모 'K-디스플레이' 전시…신기술에 눈이 '번쩍' 2024-08-14 13:56:55
부스를 꾸려 잉크젯 인쇄가 가능한 저유전율 소재, 플렉시블 하드 코팅 소재 및 OLED 소재, 증강현실(AR)·가상현실(VR)에 사용되는 광학 소재를 대거 소개했다. 한편, 올해로 23회째인 전시는 이날부터 사흘간 일정으로 진행된다. 채용박람회, 무역상담회, 현장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실시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파미셀, 1분기 적자 딛고 2분기 흑자 전환 성공 2024-08-13 15:46:55
같은 기간과 비교해 21% 증가한 46억원을 냈다. 저유전율 소재 역시 75% 늘어나 89억을 달성했다. 저유전율 소재를 적용한 동박적층판(CCL)은 AI가속기와 데이터 센터 등에 쓰인다. 파미셀 관계자는 “원료의약물질 경쟁력 확보와 저유전율 소재 호조를 바탕으로 하반기에에도 견고한 실적을 이어 나가겠다”며 “또한 새롭...
파미셀, 1분기 매출 110억원, 당기손실 13억원 2024-05-14 16:13:44
순연되었던 원료의약물질의 매출인식, 저유전율소재의 매출 증가로 바이오케미컬사업부에서만 7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했다. 이어 “2분기에는 네트워크보드에 주로 사용되던 저유전율소재의 매출이 AI(인공지능) 서버로 확대되며 출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원료의약물질의 신규 거래처 발굴로 매출증가와 수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