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AI로 전파 간섭 문제 해결"…SKT, 스마트폰 안테나 4→8개 늘리는 기술 개발 2025-02-06 09:04:24
스마트폰과 동일한 조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SK텔레콤은 이번 기술을 고도화해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 표준화를 추진하는 한편, 나아가 칩셋, 부품사, 스마트폰 제조사와 협력해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AI 시대에 맞춰 온디바이스...
삼성전자, ISE 2025서 '컬러 이페이퍼' 4종 공개 2025-02-04 09:35:41
전력이 0.00와트인 것이 특징이다. 화면 변경 시에도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대비 현저히 낮은 전력이 소모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삼성 컬러 이페이퍼' 제품 커버의 절반 이상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했으며, 포장재 전체에 100% 종이를 적용했다. 이밖에도 초슬림·초경량...
삼성의 ‘반도체 트릴레마’… 사상 초유 위기, 해법은?[퇴색하는 K반도체 신화①] 2025-02-03 07:24:53
일반적인 반도체와 달리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반도체 속도를 수백 배 높이고 전력 소모도 적어 AI 차세대 반도체로 꼽힌다. 삼성전자 역시 2027년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로 파운드리를 양산할 계획이지만 오래전부터 엔비디아와 공동으로 개발하며 기술력을 끌어올린 TSMC보다 2년이 늦고 기술 완성도도...
삼성, 데이터센터 속도 높이는 CPO 공략 나선다 2025-01-30 18:12:46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전송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광모듈 패키징’(CPO)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 데이터센터 발열과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PO 도입을 서두르는 엔비디아, 브로드컴, 마벨 등 AI가속기 업체를 잡기 위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반도체 회사의...
그땐 분위기 좋았는데…"에스피소프트, 1억 넣었으면 3500만원 남았다"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2025-01-26 07:00:43
효율화하고 서비스에 필요한 CDN(콘텐츠전송네트워크)서비스, 저작권관리 솔루션, 불법콘텐츠 차단 시스템 등의 미디어 유통기업이 필요로 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와 CDN의 경우 사용량에 대한 과금과 기타 솔루션에 대해서는 월 단위 사용료 과금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웹하드...
"한국이 위험해진다" 경고…中 무서운 추격에 '초비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2025-01-25 15:07:55
DDR5는 2020년 출시된 최신 규격 D램으로 직전 세대 제품인 DDR4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력 효율성이 높다. 한국 기업들은 현지에 직원을 급파, 중국산 DDR5 제품을 확보해 조사 중이란 얘기도 나온다. 中 CXMT, 16nm DDR5 양산 시작 '충격'한국 기업들은 중국산 DDR5에서 DDR4의 악몽을 떠올린다. CX...
[이지 사이언스]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서 韓 혁신기술 선보인 출연연·과기원 2025-01-18 08:00:02
초음파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 등도 인기를 끌었다고 KIST는 전했다. 임환 KIST 홍릉강소특구단장은 "애플과 메타 등 수많은 해외 기업 관계자들이 KIST가 선보인 기술이 전시된 독립 부스를 찾았다"며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체감하고, 국내 혁신기술의 경쟁력을 확인하며 새로운 협력과 기회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과기정통부·RAPA "전파 산업 전주기 지원 체계 마련" 2025-01-16 13:00:00
지난해 5G, 무선 전력 전송,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도심항공교통(UAM) 등 신산업 분야 기업 400여개에 2천700건 이상 기술 지원을 진행했다. 지원 대상 업체 가운데 케이앤에스아이엔씨가 개발한 무인 항공기용 위성통신 안테나와 이랑텍이 개발한 회로망 분석기의 다중 접속을 위한 고속 스위칭 및 화면 동기화...
무역·통관에 '디지털 시험성적서' 도입…보안·편리성 강화 2025-01-14 11:00:03
한국전력을 비롯한 발전 공기업 5곳, 에너지공단 등 수취 기관이 MOU에 서명했으며 운영기관으로는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이 참여했다. 이들 기관은 그간 종이로 발급하던 각종 시험 성적서를 위·변조 원천 차단 보안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시험 성적서'로 사용하기로 했다. 산업부가 위탁 운영하는 국가전자...
"100조 시장 통째로 넘어갈 판"…무관심하던 한국 '초비상' [정영효의 산업경제 딱10분] 2025-01-06 11:44:58
원전 가동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전체 전력의 20% 이상을 생산하던 원전을 대체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눈을 돌린 발전원이 태양광이었습니다. 풍력발전은 환경영향평가와 건설에만 10년이 걸리고 건설비도 막대했지만, 태양광 발전은 값싸고 신속하게 원전을 대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일본 정부는 정해진 가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