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주중 美대사, 트럼프 그린란드 야욕에 '中과 싸움서 위험' 경고 2025-01-15 17:33:57
초 미국이 자국 영공으로 들어온 중국의 '정찰 풍선'을 격추한 뒤 양국 간 대화가 대부분 단절됐을 때였다고 번스 대사는 돌아봤다. 그는 당시를 "가장 긴장된 순간"이었다고 표현했다. 번스 대사는 또한 중국 정부가 주중 미국 대사관이 주최하는 행사에 중국인이 참석하는 것을 방해하는 등 간섭 행위가 갈수록...
고별 앞둔 블링컨 "나토회의 韓초청, 상상도 못했던 일" 소회 2025-01-04 21:19:13
정찰풍선 사태' 2년 만에 중국과 교류를 재개한 것과 관련, '좀비 외교'라는 일각의 비판에도 블링컨 장관은 미국은 중국과 대화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교류가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의 분쟁 가능성을 줄이는 게 도움이 됐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잘라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北, 트럼프와 핵군축 협상 시도…韓에 회색지대 도발 이어갈 것" 2025-01-01 17:46:04
풍선 유포 등 이른바 ‘회색지대’ 도발을 이어나갈 것이란 관측이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은 1일 원내 연구원들이 모인 ‘미래전략연구위원회’ 명의로 ‘2025 국방정책 환경 전망과 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서 KIDA는 올해 북한을 포함해 미·중·일·러 등 주변 강대국들이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외교안보...
中 극초음속 드론, 비행 후 활주로 착륙 성공…세계 최초 2024-12-18 16:44:10
항공기와 무인전투기(UCAV) TB-001, 고고도 풍선 등에서 방출돼 비행할 수 있다. 중국 군사 크리에이터 국평시야(國平視野)는 "중국 무인 항공기 개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면서 "진정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으며, 많은 국가가 따라 하는 벤치마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음속의 5배 이상인 극초음속 드론은 정찰과...
라이칭더, 美 경유 첫 해외순방길…中 또 대만포위훈련? 2024-11-30 20:18:03
국방부는 현지시간 전날 오전 6시부터 24시간 동안 중국군 군용기 18대와 군함 7척이 각각 대만해협 주변에서 활동했으며, 이 가운데 군용기 7대가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어 남서쪽 공역으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찰풍선 2대도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으로 들어갔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재작년 美서 11만명 목숨 잃어…18∼49세 미국인 사망원인 1위" 2024-11-28 05:02:01
이후 미국 영공에서 발견된 중국의 '정찰 풍선' 사태와 양국 군사 대화 채널 단절 등으로 미중 관계가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협력이 더 요원해졌다. 협력이 재개된 계기는 지난해 11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샌프란시스코 정상회담이었다. 회담에서 중국은 중국에서 멕시코를 거쳐...
미중 국방장관회담 '불발'…中, 대만 美무기 판매에 회담 거부(종합) 2024-11-21 21:06:05
국방장관 대면 접촉으로 관심을 모았다. 미국과 중국은 작년 초 '정찰풍선'(중국은 '과학연구용 비행선'이라 주장) 사태로 양국 관계가 경색되면서 한동안 군사 채널을 닫았다가 그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계기로 소통 복원에 합의했다. xi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미중 국방장관회담 '불발'…中, 대만 무기 판매에 美제안 거부 2024-11-21 17:27:37
국방장관 대면 접촉으로 관심을 모았다. 미국과 중국은 작년 초 '정찰풍선'(중국은 '과학연구용 비행선'이라 주장) 사태로 양국 관계가 경색되면서 한동안 군사 채널을 닫았다가 그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계기로 소통 복원에 합의했다. xi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동병상련' 바이든-시 고별회담…트럼프에 하고픈 말 쏟아냈다 2024-11-17 13:38:59
'정찰 풍선'을 둘러싼 공방, 미국의 대중국 디리스킹(de-risking·미국의 첨단기술에 대한 중국 접근 불허) 등으로 양국 관계는 바람 잘 날이 없었기 때문이다. 3차례 정상회담을 하기는 했지만 모두 양 정상이 나란히 참석하는 다자 정상회의를 계기로 삼아 만난 것이었고, 다자회의와 관계없는 우호적 성격의 양...
한미 국방장관 "北 파병 요청, 푸틴의 약점 드러낸 것" 2024-10-31 13:00:04
미사일(ICBM), 전술핵, 원자력 추진 잠수함, 정찰 위성 등을 제시한 김 장관은 "러시아의 첨단 과학기술이 들어와서 북한의 수준을 높인다 해도 극복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오스틴 장관은 러시아가 북한의 파병을 요청한 점에 대해 "러시아가 병사들을 상당히 잃었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