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테슬라 스페이스] "휴머노이드 로봇의 시대"…테슬라가 독점하면? 2025-02-07 21:15:06
한재권 공학대학 로봇공학과 교수 / 에이로봇 최고기술책임자(CTO) 지금 글로벌 탑티어 기업들이 어마어마한 돈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테슬라 잡겠다"인데요. 휴머노이드 로봇의 선두를 달리는 테슬라가 끝없이 발전하면, 테슬라 제국의 탄생을 볼까 두려운 겁니다.휴머노이드 로봇...
"트럼프는 변덕쟁이 황제…韓, 파트너로서의 가치 증명해내야" 2025-01-19 17:38:31
세계사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교훈은 제국의 황실 내부에 뇌물을 줄 수 있거나 최소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포섭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변덕스러운 황제가 있을 땐 더욱 그렇습니다. 역사상 번성한 모든 상업 국가는 하나의 거대한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거래해 왔습니다. 한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인의 문화 유전자와 리더십이라는 돌연변이를 기다리며[2025키워드, 한국인①] 2025-01-01 06:50:02
요구를 부채질했다. 대학생이 앞장서고, 넥타이 부대가 함께하며 ‘대통령 직선제’를 스스로 얻어냈다. 결국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됐다. 하지만 여전히 민주주의는 불완전했다. 평화적 정권교체가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도 이어졌다. 10년 후인 1997년 한국 경제는 외환위기를 맞았다. 고속성장하던 한국 경제에...
오르한 파무크 "일기를 쓰면 세상에 능동적으로 맞설 수 있죠" 2024-12-16 18:35:30
튀르키예의 전신인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문제를 비판했다가 정치적 탄압을 받은 적이 있다. 파무크는 “나도 두려울 때가 있다”며 “튀르키예에선 많은 작가가 감옥에 갔는데, 아마도 노벨문학상이 나를 보호해주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한국에선 많은 국민이 대통령에게 분노하고...
"비엔나1900展, 역대 클림트·실레 아시아 전시 중 최고" 2024-12-09 18:13:48
190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이 그중 하나다. ‘황금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부터 청춘의 초상을 그린 실레, 표현주의 대가 오스카어 코코슈카 같은 거장들이 ‘빈 분리파’라는 이름으로 세기말의 불안과 새 시대에 대한 기대를 예술로 분출했다. 정확히 한 세기가 흘러 2001년 세워진 레오폴트미술관은 이...
"비엔나1900展, 역대 클림트·실레 아시아 전시 중 최고" 2024-12-08 11:47:01
190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이 그중 하나다. 황금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부터 청춘의 초상을 그린 에곤 실레, 표현주의 대가 오스카 코코슈카 같은 거장들이 ‘빈 분리파’라는 이름으로 세기말의 불안과 새 시대에 대한 기대를 예술로 분출했다. 정확히 한 세기가 흘러 2001년 세워진 레오폴트 미술관은 이...
[윤혜준의 인문학과 경제]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 '동료시민'으로 함께 가야 2024-10-27 17:20:40
세계 제국으로 부상하고 20세기에 제국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런던에 들어와 사는 외국인과 그들의 후손은 더욱 많아지고 인종도 다양해졌다. 현재 런던 시장은 파키스탄 이민자 집안 출신인 사디크 칸이다. 대한민국도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까지 많은 외국인이 들어와 살고 있다. 통계상 체류 외국인 수는 증가세다. 전체...
'황금빛 화가' 클림트, '청춘 아이콘' 에곤 실레…드디어 韓 온다 2024-10-21 15:20:15
미술대학 신입생들도 졸업할 때는 클림트와 더불어 에곤 실레를 최고의 작가로 꼽는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인기에 비해 두 작가의 원화를 한국에서 제대로 만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었다. 전 세계 미술관이 두 작가의 그림을 빌려달라고 아우성치는 데다, 대여료가 워낙 비쌌기 때문이다. 특히 실레의 그림은...
김대중·한강, 그리고…한국 출신 노벨상 수상자 1명 더 있다 2024-10-15 15:16:51
찰스 피더슨이다. 그는 1904년 10월 대한제국 부산에서 태어났다. 노르웨이 출신 선박 기술자였던 부친이 한국에서 일하던 중 일본인 여성을 만났고 둘 사이에서 피더슨이 태어났다. 피더슨은 8살 때까지 한국에 살다 일본으로 건너갔고, 미국 대학에 진학했다. 수상 당시 피더슨의 국적은 미국이었지만 노벨위원회는 국적...
DJ·한강 말고 노벨상 韓수상자 한 명 더 있다? 2024-10-15 12:52:48
홈페이지 수상자 설명에 따르면 그는 대한제국 시절이던 1904년 10월 부산에서 태어났다. 당시 노르웨이 출신 선박 기술자였던 부친이 한국에서 일하던 중 일본인 여성을 만나 피더슨을 낳았으며 8살 때까지 한국에 살다 일본으로 건너간 뒤 미국 대학에 진학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석사 학위를 딴 그는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