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데스크칼럼] 터널 끝이 빛이라지만 을사년스럽다 2025-02-02 17:40:39
조직률이 13%(고용노동부·2023)에 불과하지만 영향력은 대단하다. 영국(22.4%)과 독일(16.1%)에 미치지 못하나 성과에선 절대 뒤지지 않는다. 최저임금 1만원 돌파가 방증한다. 국민소득과 환율을 고려하면 한국의 최저임금은 웬만한 선진국 턱밑이다. 작년 환율이 비슷하게 급등한 일본(약 9700원)은 넘어섰다. 하지만...
노조 조합원 273만7000명…제1노조는 한국노총 2024-12-18 13:18:11
수 있는 노동자 중 실제 노조에 가입한 비율인 노조 조직률은 소폭 낮아졌다. 고용노동부는 이런 내용의 2023년 전국 노조 조직현황을 18일 발표했다. 노조는 노조법에 따라 매년 1월 31일까지 전년 말 기준 '노조 현황 정기통보서'를 행정관청에 제출하고, 이를 한국노동연구원이 집계·분석해 노동부가 노조...
지난해 노조조직률 13.0% "2년 연속 감소"…한국노총 제1노조 유지 2024-12-18 11:59:01
노동조합 조직률이 2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4년 연속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제치고 국내 제1 노조 지위를 지켰다. 전국노동조합 조직현황은 노동조합법에 따라 설립 신고된 노동조합이 행정관청에 신고한 2023년 말 기준 현황자료를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집계·분석한 결과다. 노동조합이 신고한...
노조원 많은 기업일수록 '脫한국' 2024-11-01 18:01:07
도입, 노조 조직률 제고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시간당 최저임금은 6470원에서 9160원으로 41.6% 급증했고, 노조 조직률은 10%대 초반에서 14% 수준까지 높아졌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지난 7월 발표한 ‘국제 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한국의 기업 여건은 67개국 중...
美 청정에너지분야 고용증가…전산업 평균 두 배 이상 2024-08-28 22:08:02
노조 조직률이 12.4%로 전체 에너지 산업의 노조 조직률 11%를 처음으로 앞지르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건설 및 공익 산업의 성장과 2022년 초당적으로 합의한 칩스법과 인플레감축법(IRA) 등 법안이 통과된 이후 이뤄진 것이라고 에너지부는 밝혔다. 청정에너지 가운데 유틸리티 부문과 지붕태양광 산업의 고용은 5.3%...
한국노총 위원장 "사회적 대화 유지돼야…정부 태도변화 필요" 2024-06-13 12:00:21
왔다"고 말했다. 또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조직률이 높다고 볼 수는 없지만 그보다 더 대표성이 있는 조직이 없다면 그런 비판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노란봉투법' 등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노동 관련 입법이 불발한 상황에 대해 야당과의 공조를 통해 국면을 돌파하겠다고 밝히기도...
"국민연금공단 이사회에서 민주노총 배제"…양대노총 반발 2024-05-28 12:16:48
하고 있다. 한국의 노조 조직률이 14%대에 그치는 상황에서 양대 노총이 노동계 대표권을 독점하고 있다고 우려에서다. 소수 노조 참여를 늘리고 대표성을 다변화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동계는 각각 100만명이 넘는 조합원을 두고 있는 양대노총이 충분히 노동계를 대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정식 장관 "노동법원 설치 협의 즉시 착수...노동약자보호법도 제정" 2024-05-16 10:51:50
추정된다. 일각에선 노조 조직률을 높이고 근로자성을 인정받는 노동자를 늘리는 정책 대신 미조직 노동자 보호법만 만드는 것은 노조에 가입하지 못하고 근로자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노동자가 많은 현재 구조를 고착시키는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해 이 장관은 "국제노동기구(ILO) 기본 협약에 맞춰...
기득권 노조, 그들만의 노동절…'빨간날 쉴 권리'도 양극화 2024-05-01 18:23:14
수는 272만2000명, 노조 조직률은 13.1%였다. 전체 근로자가 100명이라면 13명만 노조원이라는 얘기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 설문조사에 따르면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올해 근로자의 날에 41.3%가 출근한다고 답했다. 공공기관(29.5%)을 비롯해 중소·중견기업(22.2%) 대기업(14.9%)보다 출근 비중이 크게 높았다. 한발...
[시론] 美 기업 혁신은 '유연한 노동' 덕 2024-03-03 17:56:38
수준이다. 노동조합 조직률이 높은 공공부문을 제외하면 민간부문의 노동조합 조직률은 6%로 더욱 낮아진다. 세계은행 자료상 미국은 전 세계에서 노동유연성이 가장 높은 국가다. 해고를 어렵게 해 노동자를 보호하는 정책은 일견 고용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오히려 고용을 줄인다. 한번 고용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