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번주뭘살까] 새학기·결혼·이사철 맞아 할인·기획전 다채 2025-02-15 07:00:05
신선 페스타'를 하고 축산물을 최대 반값에 판매한다. 엘포인트를 대상으로 1등급 한우 전 품목을 최대 40% 할인하고 하림[136480] 닭다리살·닭가슴살은 행사 카드 결제 시 50% 할인해준다. 15∼16일 이틀간은 제주 흑돼지 삼겹살·목살을 염가에 판다. 이밖에 제철 수산물과 농산물도 합리적인 가격에 준비했다. ▲...
강태신 심플랫폼 대표 “B2B AI 최초 상장…산업용AI 시장 선도” 2025-02-12 15:15:05
기술을 활용해 등심 등급 판별 AI를 개발, 축산물 품질 평가원과 협업해 객관적인 등급 평가 모델을 구축했고,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강남 세브란스 병원과 협업해 환자의 바이털 데이터 통합 관리 AI 시스템을 구축했다. 스포츠테크 부문에서는 국가대표 배드민턴팀 경기력 분석 AI를 도입했단 설명이다. 강 대표는 “이번...
[IPO챗] 심플랫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술로 품질 혁신 선도" 2025-02-12 13:43:29
기술을 활용해 등심 등급 판별 AI를 개발, 축산물 품질 평가원과 협업해 객관적인 등급 평가 모델을 구축했고,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강남 세브란스 병원과 협업해 환자의 바이털 데이터 통합 관리 AI 시스템을 구축했다. 스포츠테크 부문에서는 국가대표 배드민턴팀 경기력 분석 AI를 도입했다. 심플랫폼은 이번 IPO를 통해...
농식품차관 "먹거리 수급·가격 안정에 최선" 2025-02-11 16:00:09
차관은 이날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축산물 효율적 수급 관리 구축 방안' 간담회를 열고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협 등 유관 기관 관계자와 농업인 단체장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박 차관은 "정부는 농축산물의 효율적 수급 관리를 위해 시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농업 인력 감소, 기후 변화 심화...
경기도, 가축방역·고품질 축산물 생산에 985억 투입 2025-02-11 11:01:13
축산물 생산 및 공급을 지원하기 위해 985억 원을 투입한다. 11일 도가 발표한 ‘2025년 동물방역위생시책 추진계획’에 따르면 동물방역 분야에서는 646억 원을 투입해 구제역, 럼피스킨, 탄저·기종저 등 21종의 예방백신을 지원(5억600만 마리)한다. 양돈·양계·양봉 질병관리 컨설팅 지원(135농가), 방역인프라 설치...
설 명절, 농식품 원산지 표시 위반 업체 396곳 적발 2025-02-05 11:59:33
농축산물 도·소매업체 등 1만41곳에 대해 외국산을 국내산으로 둔갑시키거나 국내 유명지역 특산물로 속여 판매하는 행위 등을 중점 점검했다. 위반 업체는 일반음식점이 245곳으로 가장 많았고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제조업 38곳, 축산물소매업 23곳, 기타 90곳 등이었다. 위반품목은 배추김치가154건, 돼지고기 87건,...
"야금야금 오르더니 결국 올 게 왔다"…연초부터 '초긴장' 2025-02-05 11:52:15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포인트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올랐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 상승하며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
'과자·김치 원산지 거짓표시'…표시위반 업체 396곳 적발 2025-02-05 11:00:02
제조업체가 38곳, 축산물소매업체가 23곳 등이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전남 나주시의 한 식품제조업체는 외국산 조청과 중국산 호박씨, 미국산 아몬드를 원료로 과자 선물 세트를 만들어 팔면서 각 재료의 원산지를 모두 '국내산'으로 속였다. 대구의 한 식품제조업체는 중국산 고춧가루와 국내산 고춧가루를 섞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高환율·유가에 석달째 오름세(종합2보) 2025-02-05 10:54:18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출하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무도 79.5% 올라 상...
재룟값 상승·고환율에 1월 식품물가 2.7% 상승 2025-02-05 09:41:34
인상 등을 꼽았다. 축산물의 경우 1년 전 가격이 낮았던 탓에 기저 효과로 물가 지수는 3.7% 상승했다. 반면 농산물 물가 지수는 0.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무, 배추, 감귤, 배 등 일부 품목은 작년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완전히 회복하지 못해 가격이 다소 상승했지만, 과일·과채류 수급이 대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