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건설·숙박·음식점업 '꽁꽁'…끝모를 내수부진 터널 2025-02-03 17:46:00
성적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건설업과 음식점 및 숙박업의 취업유발계수는 각각 10.5명, 18.4명으로 전산업 평균(9.7명)을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내수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고용 시장에 악영향을 주고, 고용 불안이 다시 경기를 끌어내리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남정민/이광식 기자 peux@hankyung.com
'예타' 통과 작년의 12배…경기 침체에 SOC 속도전 2025-01-31 17:51:01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한은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건설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0.5명으로 전 산업 평균(9.7명)을 웃돈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 규모를 추가로 투입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취업자 수를 뜻한다. 지난해 건설업 취업자는 20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4만9000명 줄었다. 201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한국 경제 31.5%가 대외거래…수출·수입 의존도 더 커졌다 2024-11-26 12:00:04
비중이 71.0%에서 71.1%로 0.1%p 늘었다. 취업유발계수(8.1명)와 고용유발계수(6.1명)는 모두 2021년(8.7명·6.5명)보다 떨어졌다. 취업·고용유발계수는 최종 수요가 10억원 발생할 경우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와 임금근로자 수를 각각 말한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기고] K푸드를 ‘1000억 달러 수출산업’으로 키우자 2024-08-23 18:17:16
있다. 셋째, 식품산업은 취업유발계수 등 고용효과가 압도적이고, 생산유발계수 등 경제적 효과가 우수한 산업이다. 그리고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이다. 넷째, 식품산업은 전국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산업으로 지역균형발전에 가장 적합한 산업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취업률이 높은 산업이다. 다섯째, 식품산업이...
투자로 불황 정면돌파…삼성 23조·현대차 7조 쏟아 '미래' 챙긴다 2024-08-23 17:55:02
투자 취업유발계수에 따르면 4대 그룹 계열사가 올 상반기 투자한 51조원을 국내에 모두 쏟았다고 가정할 경우 단순 계산으로 45만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 일각에서는 금리 내림세가 이어지는 만큼 올 4분기에 투자가 기지개를 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과 미국 중앙은행(Fed)이 나란히 연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2020년 기준 상용직 비중 60% 근접…고용 창출력은 하락 2024-06-25 12:00:01
전체 상용직 비중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취업계수는 2015년 6.5명에서 2020년 5.4명으로 1.1명 줄었다. 특히 서비스업 취업계수가 10.2명에서 7.7명으로 크게 내렸다. 취업계수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10억원을 생산할 때 필요한 취업자 수로, 경제 성장에 따라 취업자가 얼마나 늘어났는지 보여주는...
여성들이 돈 많이 벌수록 애 안낳는다…이유가 '깜짝' 2024-05-27 07:33:10
경제활동 여부 관련 통계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여성 취업 가구 1.34명보다 비취업 가구1.48명의 자녀 수가 0.27명 많았다. 5분위에서는 그 차이가 0.34명으로 나타났다. 자료를 토대로 회귀 분석한 결과 지난해 여성 소득의 계수는 -0.04로 자녀 수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 소득이 100% 증가할 때...
'육아쏠림' 탓에…"여성 경제활동과 출산은 '마이너스' 관계" 2024-05-27 06:17:01
있다"고 분석했다. 여성의 경제활동 여부별로 살펴봐도 유사했다. 여성 취업 가구(1.34명)보다 비취업 가구(1.48명)의 자녀 수가 0.27명 많았다. 5분위에서는 그 차이가 0.34명으로 나타났다. 자료를 토대로 회귀 분석한 결과 지난해 여성 소득의 계수는 -0.04로 자녀 수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 소득이 100% 증...
[사설] 경직적 근로시간·최저임금 급등이 '공사비 인플레' 부추겼다 2024-03-12 17:57:29
기록한 마당이다. 건설업은 부가가치가 높고 취업유발계수 등 연관 효과도 커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다. 가구, 전자제품, 도배, 인테리어 등 내수 경기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건설 인건비 상승을 부추기는 경직적이고 획일적인 주 52시간제 탄력 적용, 최저임금 차등 적용 등 제도 개선 마련이 시급해졌다....
구직자 몰리던 곳이 어쩌다…"돈 더 줘도 못 구해" 반전 [강진규의 데이터너머] 2023-12-26 12:00:05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상관계수는 0.58였다. 실제 2019년보다 고령화는 더욱 심화한 상태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는 2019년 768만8994명에서 올해 943만5816명으로 200만명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4.9%에서 18.2%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