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아르헨 밀레이, 정책비판 前장관에 격분해 장관딸의 대사직 박탈 2025-02-11 08:27:46
전 장관이 개인 블로그에 페소화의 평가절상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밀레이 대통령의 외환정책을 비판하는 글을 올리자 이를 접한 밀레이 대통령이 격노해 그의 딸인 소니아를 대사에서 전격 경질한 것이라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밀레이 대통령은 이날 TV 인터뷰에서 페소화 평가절하를 권하는 경제학자들은 덧셈도 못 하는...
'아르헨트럼프' 밀레이, 9번째 방미에서 트럼프와 양자회담 추진 2025-02-10 06:04:17
전에 페소화의 평가절하를 요구하고 있으며, 신규 차관을 환율 방어에 사용하는 것을 엄격하게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IMF의 줄리 코작 대변인은 지난 6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경제성장을 이루는 개혁을 추진해 나가면서 재정·통화·환율에 대해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데에 IMF와 아르헨티나 정부는 공통된...
IMF 이어 '초인플레 해결' 前장관도 아르헨 환율정책 수정 주장 2025-02-08 04:54:17
내릴 수 있었지만, 페소화 가치가 가파르게 올랐고 이에 따라 농업, 산업 및 서비스 수출 경쟁력이 영향을 받았다"면서 "현재 페소는 20% 정도 평가절상된 상태로 태환 정책 마지막 몇 년과 비슷하게 경제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카발로 전 경제장관은 외환 규제(CEPO) 폐지에 시간이 걸린다면, 수출세 인하 및...
달러-원, 멕시코 관세 유예에 상승폭 축소…1,462.00원 마감 2025-02-04 03:09:45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3% 가까이 급락세를 보이다 관세 유예 발표에 1%가 넘는 급등세로 돌아섰다. 별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캐나다의 통화가치도 낙폭을 크게 축소했다. 코페이의 칼 샤모다 수석 시장 전략가는 "멕시코 페소, 캐나다달러, 유로가 급등하고 있다"면서 "시장은 캐나다에 대해서도 분명히 비슷한 결과를...
멕시코 "美의 관세부과 한 달 유예…마약·총기밀매 억제 노력"(종합) 2025-02-04 01:21:17
13시간여 앞두고 '일단 합의'…멕시코 페소화 강세 전환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당초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조처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멕시코 정부와 합의했다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이 3일 밝혔다. 셰인...
멕시코 관세부과 유예 발표후 뉴욕증시 낙폭 축소 2025-02-04 01:17:23
유예 발표후 0.3% 상승으로 상승폭을 줄였고 멕시코 페소화는 1% 넘는 하락세에서 0.1% 상승으로 돌아섰다. 캐나다 달러화는 0.4% 하락 상태를 유지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 날 오전 각각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의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한달간 유예하고 멕시코가 마약...
관세전쟁에 아시아 증시 급락…캐나다달러는 2003년 이후 최저 2025-02-03 11:25:43
2003년 이후 2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멕시코 페소화도 2% 이상 하락했다.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호주 달러도 1% 정도 하락했다. 중국 위안화는 역외시장에서 약 0.5% 약세를 보였다. 지난주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1% 가까이 상승하며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살인적 물가' 아르헨, 빅맥지수 스위스에 이어 세계 2위 2025-02-01 10:58:47
환율 정책이 적절하며 페소화의 평가절하는 필요하지 않고 이를 주장하는 경제학자들을 심한 말로 비난했는데, 이번에는 밀레이 대통령의 정책을 칭찬한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빅맥지수이기 때문에 비난할 수 없을 것이라고 현지 매체 인포바에가 보도했다. sunniek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트럼프發 '1호 관세 폭탄' 터진다 2025-01-31 17:56:43
원유 관세 부과도 거론…加 달러·멕시코 페소화 1%↓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원유도 관세 부과 대상이냐’는 질문에 “부과할 수 있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미국은 캐나다에서 하루평균(작년 10월 기준) 460만 배럴, 멕시코에서는 56만3000배럴 수입하고 있다. 원유 관세 부과는 즉각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내달 1일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 부과…원유도 부과 가능" [글로벌 관세전쟁] 2025-01-31 16:21:31
1.2%, 멕시코 페소화는 1.1% 각각 하락했다. 미국의 원유수입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지면서 캐나다산원유와 멕시코산 혼합유 가격은 1.9%, 1.3% 각각 내린 반면 서부텍사스유(WTI) 가격은 0.8% 상승했다. 보복관세 행렬 예고트럼프의 무차별 ‘관세위협 난사’에 대한 각국은 강경대응을 내세우면서도 화해 제스처를 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