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강대, 전공 '크로스오버 전략'…미래 대학 새 모델 제시한다 2025-02-17 15:51:06
자유전공학부 신설을 통해 학문의 경계를 허물었다. 특히 2024년 반도체 특성화대학,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 선정돼 첨단산업 중심 대학으로 거듭나고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의 심리 건강 증진을 위해 서강 심리상담 및 교육센터를 열었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에서도 대한상공회의소, 서울경제진흥원과 협력해...
"머스크, 英왕립학회원 자격 있나"…학자 2500명 공개 비판 2025-02-16 23:34:11
우주 산업과 전기차 분야의 업적과 영향을 평가받아 회원이 됐다. 그러나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합류를 전후로 보인 행보에 회원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학자들은 서한에서 머스크가 영국 정부의 미성년자 성착취 사건 대응과 관련해 제스 필립스 내무부 부장관을 원색적으로 비난한 발언, 미국의...
취암장학재단, 한국정치학회에 인재(仁齋)저술상 시상 지원금 800만원 전달 2025-02-13 10:00:45
1986년 설립된 사회공헌 재단이다. 장학금 지급, 학술 연구비 지원, 교육 및 학술단체 후원 등을 통해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 육성을 위해 힘써왔다. 특히 한국정치학회 인재저술상 후원을 비롯해 한국수산과학회 학술상, 이설주 문학상 등 인문 및 기초과학 분야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국내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오픈AI - MIT와 AI 동맹 맺은 SKT…AI 컴퍼니 변신 속도 2025-02-10 15:57:44
있는 사업 분야에서 MIT와 공동 연구를 하기로 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학장 겸 최고혁신 및 전략책임자는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생성 AI를 넘어 피지컬...
대학에 1천억원씩 투입해 이공계 '국가대표' 연구소 만든다 2025-02-10 12:00:10
학문 주체 간 경계 허물기 ▲ 대학별 자율적 투자 보장 등을 주안점으로 운영한다. 지원 대상은 대학의 이공분야 대학 부설 연구소로, 기존 연구소를 재편하거나 신설해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소 발전계획, 대학의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평가하며 올해 선정된 연구소는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국가연구소는 대학...
'노벨상 수상' 빅터 앰브로스 방한…韓학생 200명에게 건넨 말은 2025-02-07 18:35:19
것을 제언했다. 그러면서 "과학은 국제적인 학문"이라며 "현재 한국을 포함한 8개국에서 온 연구원들이 자신의 실험실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실험실에서는 모든 유형의 성격과 삶의 경험, 사고방식을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최종현학술원은 고(故) 최종현 SK 선대회장...
딥시크 창업자 배출한 '인재 요람' 항저우…스타트업 '6룡' 주목 2025-02-05 09:24:36
변경하고 인재 양성 계획을 조정할 것을 대학 측에 요구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전역의 대학에서 공학 전공이 7천566개 늘어났고, 로봇공학·AI·빅데이터 등을 포함한 96개의 새로운 학문 분야가 추가됐다고 지난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su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박경준 DGIST 교수, 세계적 학술지 JCN의 분과 편집위원장 선정 2025-02-04 11:29:14
국제적 영향력 확대와 ICT 산업 발전, 글로벌 학문 교류 강화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박경준 교수는 “JCN의 분과 편집위원장으로 임명된 것을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ICT 분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학술적 가치와 실용성을 겸비한 연구를 선별하고, ICT 기술의...
SKT, 美 MIT '생성형 AI 컨소시엄' 참여…오픈AI·코카콜라 등도 2025-02-04 08:03:30
사업 외에 제조 분야에서의 AI 활용, 피지컬 AI, 바이오 AI 등 차세대 AI 분야를 연구 과제의 우선순위로 설정할 계획이다. 찬드라카산 MIT 공과대학장 겸 MIT 최고 혁신 및 전략 책임자는 "MIT 젠AI 임팩트 컨소시엄은 여러 학문 분야의 장벽을 허물고 AI로 재편되고 있는 글로벌 사회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데스크칼럼] AI 골든타임 놓치는 한국 2025-01-26 16:16:54
지닌 파괴적 기술이다. 물리 생물 화학 의학 등 학문뿐 아니라 제조업 금융업 농업까지 각종 산업에서 좋은 AI 인프라를 갖춘 곳과 그렇지 못한 곳의 차이는 극명하게 벌어질 것이다. 앞선 AI의 지원을 받으면 연구개발(R&D)이 빨라지고 정확해지며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AI에서 앞서면 사이버 보안, 국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