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파친코장도 반도체 공장으로…47兆 빨아들인 '실리콘 아일랜드' 2025-02-18 17:47:36
일본 반도체산업의 메카 역할을 한 규슈섬. 한때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10%를 차지했지만 일본 반도체산업 몰락과 함께 ‘갈라파고스’로 전락한 규슈가 TSMC 공장 개소 1년 만에 ‘실리콘 아일랜드’로 부활했다. TSMC가 진출을 결정한 2021년 이후 규슈 지역 반도체 관련 설비투자는 100건을 돌파했고, 투자액은 5조엔(약...
'TSMC 日 공장' 쉴 새 없이 돌아가는데…"한국 어쩌나" 2025-02-18 17:47:15
터파기가 한창이었다. 인구 4만여 명의 기쿠요마치는 1년 전만 해도 온통 양배추밭이었다. 이곳에 TSMC가 반도체 공장을 지으면서 이 일대는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뀌고 있다. 일본은 1980년대만 해도 세계 반도체 시장을 석권했다. 그중에서도 규슈는 일본 반도체산업의 메카였다. 하지만 미·일 무역 마찰과 한국, 대만...
'확장 엔진' 식은 K커머스…G마켓·11번가 줄줄이 역성장 2025-02-16 18:05:04
e커머스산업의 현주소를 보여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 대상 신용카드 결제금액(추정치)은 지난달 2조5440억원을 기록했다. 2024년 1월보다 0.35% 감소해 집계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했다. 네이버파이낸셜 대상 신용카드 결제금액은...
[한경에세이] 포화에 휩싸인 '농산물 종자' 2025-02-16 17:17:42
미국 콩산업의 모태가 알고 보면 한국 콩인 셈이다. 최근 우리나라도 ‘종자주권 회복운동’을 펼치고 있다. 우수한 국산 품종이 속속 탄생하면서 결실을 내고 있다. 무, 배추, 고추 등이 호평을 받고 버섯, 딸기, 키위, 토마토 등도 수출을 목표로 개발이 한창이다. 내친김에 외환위기 때 해외로 팔려나간 우리의 땡초,...
[마켓뷰] "너무 달렸나" 사흘 연속 오른 코스피, 숨고르기 예상 2025-02-07 08:01:01
발표가 한창이 가운데 음식료, 방산 등 실적이 좋은 업종에 매수세가 쏠렸다. 간밤 뉴욕증시는 방향을 탐색하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뚜렷한 변수가 없는 가운데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28% 하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36%, 나스닥 지수는 0.51% 올랐다. 각국의 '딥시크' 차단 움직임과...
메타버스 ETF, 줄줄이 상폐…떨고있는 2차전지 테마 2025-02-06 17:28:57
3개월간 수익률 최하위를 기록한 상위 1~5위가 예외 없이 2차전지 관련 상품이었다.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 ETF가 -50.6%로 가장 부진했다. 다음으로 ‘TIGER 2차전지TOP10레버리지’(-48.44%), ‘KODEX 2차전지핵심소재10’(-33.33%), ‘TIGER 2차전지소재Fn’(-32.8%), ‘SOL 2차전지소부장Fn’(-32.62%) 순이었...
철강 수요 정점 찍은 中…중국발 원자재 슈퍼사이클 끝났다 2025-02-03 15:51:04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 수요 큰 폭 둔화 중국은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면서 세계 원자재를 빨아들였다. 이는 철광석, 석탄 등의 원자재 가격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원자재 슈퍼 사이클’로 이어졌다. 원자재 컨설팅 기업 CRU그룹에 따르면 중국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이 20세기 전체 소비한 양의 두 배에 달하는...
"덜 가고 덜 담는다"…월별 구매단가↓ 2025-02-02 11:54:10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이래 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채소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8.2%로 2020년 이래 상승 폭이 가장 컸고 과일(16.9%↑)은 2004년 이래 2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장보기 패턴은 크게 달라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고물가에 '장바구니'도 위축…"장보기 횟수 줄이고 싼 것만" 2025-02-02 06:15:02
올라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이래 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채소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8.2%로 2020년 이래 상승 폭이 가장 컸고 과일(16.9%↑)은 2004년 이래 2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장보기 패턴도 크게 달라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예타' 통과 작년의 12배…경기 침체에 SOC 속도전 2025-01-31 17:51:01
부진은 고용과 내수경기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한은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건설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0.5명으로 전 산업 평균(9.7명)을 웃돈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 규모를 추가로 투입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취업자 수를 뜻한다. 지난해 건설업 취업자는 206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4만9000명 줄었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