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최고해상도 안드로메다 사진 완성…별 9천만개 구분 가능" 2025-01-20 09:59:16
허블의 이름을 딴 우주망원경이 이제 안드로메다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관측을 완료했다며 이를 통해 안드로메다은하가 우리은하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띠고 있고 독특한 진화 역사를 가졌다는 새 단서도 얻었다고 말했다. 안드로메다은하의 고해상도 파노라마 모자이크 사진에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안드로메다은하를...
[사이테크+] "빅뱅 후 6억년밖에 안된 우주서 초기 형성단계 은하 포착" 2024-12-12 09:25:03
우주 망원경의 고감도 관측 성능을 결합해 우주가 현재 나이의 약 5%인 6억년에 불과했을 때 전체 질량이 우리은하의 1만분의 1에 불과한 저질랑 은하를 포착했다. 중력 렌즈는 은하단 같은 거대 질량 천체가 더 멀리 있는 천체에서 오는 빛을 굴절시킬 때 발생하는 시각적 효과로, 거대한 중력으로 휘어진 시공간이 빛을...
투표권도 없는 암울의 시대 "'사일런트 스카이'는 위로" [종합] 2024-12-09 15:37:52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가 없었다면 허블의 법칙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천문학계에서 큰 업적을 세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헨리에타 레빗이 살던 19세기 초는 여성이 하버드대 천문대에서 망원경을 사용할 수 없었기에 육안으로 사진건판에 찍힌 관측 자료를 분석하는 일명 '하버드 컴퓨터'로 일을...
머스크 최측근 억만장자 기업인, NASA까지 접수 2024-12-05 17:28:30
우주정거장(ISS)과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더 높이 비행했다. 지난 9월엔 스페이스X의 ‘폴라리스 던’ 프로젝트에 참여해 민간인 최초 우주 유영이라는 기록을 썼다. NASA 수장 지명 후 아이작먼은 X(옛 트위터)에 “나는 우주에서 지구를 볼 수 있는 행운을 누렸고, 미국이 인류 역사상 가장 놀라운 모험을 주도하는...
[사이테크+] "목성 남북극에 지구 크기 연무 형성…원인은 자기 소용돌이" 2024-11-27 05:00:01
있으며, 주변보다 자외선을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에서 더 어둡게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반점은 2015~2022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목성 극지 사진 가운데 남극에서는 전체의 75%에서 나타났고, 북극에서는 사진 8장 중 하나꼴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목성 남북극의 어두운 자외선 타원은 1990년...
[게시판] 신한카드,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우주 담은 카드 출시 2024-10-17 09:45:02
[게시판] 신한카드,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우주 담은 카드 출시 ▲ 신한카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 망원경이 촬영한 우주 사진 365장을 카드 플레이트에 입힌 '신한카드 처음 애니버스(ANNIVERSE) 에디션'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애니버스는 기념일(Anniversary)과 우주(Universe)를 합성한 단어로...
새로운 블랙홀 증거 발견됐다 2024-07-11 05:57:46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허블우주망원경(HST) 관측 데이터를 분석, ω켄타우리 중심부에서 중간 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시사하는 별들의 빠른 움직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블랙홀은 크기에 따라 질량이 태양의 5~150배인 항성 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것과 같은 태양 질량 10만 배...
[사이테크+] "1만8천광년 밖 ω켄타우리에서 태양 8천200배 블랙홀 발견" 2024-07-11 05:00:01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허블우주망원경(HST) 관측 데이터를 분석, ω켄타우리 중심부에서 중간 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시사하는 별들의 빠른 움직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블랙홀은 크기에 따라 질량이 태양의 5~150배인 항성 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 우리은하 중심부에 있는 것과 같은 태양 질량 10만 배...
[사이테크+] 빅뱅 후 4억6천만년 우주서 원시 구상 성단 5개 발견 2024-06-25 05:00:02
은하로 2018년 허블우주망원경(HST)에 처음 포착됐다. 과학자들은 이 젊은 은하를 연구하면 빅뱅 후 37만9천년 이후 수소 등 물질의 상변화가 일어난 재이온화(reionization) 시대에 은하가 형성된 과정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너무 멀어 정밀 관측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JWST에 탑재된 근적외선...
[토요칼럼] 외계인은 어느 은하의 행성에 있을까 2024-05-10 18:10:53
합리적이다. 그렇지 않다면 이런 어마어마한 크기의 우주에서 생명체가 사는 곳이 지구밖에 없다는 비현실적 추론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은하에 가장 가까운 은하는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은하다. 이 외계 은하를 처음 발견한 것은 미국의 과학자 에드윈 허블이다. NASA는 그의 업적을 기려 1990년 허블 망원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