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아웃] 호모 모빌리언스와 호모 데우스 2025-02-17 15:39:17
호모 사피엔스(지혜로운 인간)→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호모 디지쿠스(디지털 인간)에 이어 호모 모빌리언스(모바일 인간)를 추가했다. 이어 인류의 역사를 '네트워크의 역사'라고 정의하고, 육상 네트워크인 '실크로드'와 해상 네트워크인 '바닷길', 온라인 네트워크인 '인터넷' 등...
단양 여행 만족 100%! 취향에 맞게 떠나는 거야 2025-01-29 07:20:02
공존하는 만천하스카이워크와 단양강 잔도, 호모사피엔스 슬기사람이 출현한 수양개, 단양의 해양 생태를 다채로운 테마로 조명한 아쿠아리움까지 Go! :: 여행 만족 100% 내 취향은? 고소공포증 없어요. 짜릿한 게 좋아요 -> Go 만천하스카이워크 어린 자녀와 함께 갈만한 곳 찾고 있어요 -> Go 다누리아쿠아리움 인류...
[사이테크+] "호모 에렉투스, 120만년 전 이미 사막 극한 환경에 적응" 2025-01-17 05:00:01
"호모 사피엔스 이전 인류도 극한 환경 적응 능력 보유"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등장 이전인 120만년 전 아프리카에 살았던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도 사막 같은 극한 환경에 적응해 살아가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캘거리대 훌리오 메르카데르...
[사이테크+]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첫 교배 시기는 4만9천~4만5천년 전" 2024-12-13 08:09:50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 유럽에 살고 있던 네안데르탈인 사이에 교배가 시작된 것은 4만9천~4만5천 년 전부터이며 이후 7천여년 간 두 인류 간 혼혈이 이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 아레브 쉬머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과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Berkeley) 프리야...
[사이테크+] "이스라엘 동굴서 아시아 最古 구석기 제사의식 시설 발견" 2024-12-10 05:00:01
수천 년에 걸쳐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이곳을 서로 다른 시기에 생활공간으로 사용한 것으로 밝혀져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2015년에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간 교배에 대한 물리적 증거를 제공하는 5만5천여년 전의 두개골 조각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마놋 동굴은 길이 80m, 폭 10m에서 25m 사이의...
[WOW 이제는 스타트업] 1인 미디어 '성지' 된 서울에 주목하라 2024-12-08 17:04:31
감성 코드를 접목한 잡스의 스마트폰은 호모 사피엔스의 생활 패턴을 바꾸는 일대 혁명이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류는 테크와 감성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었다. 역사적으로 한국 산업이 전체 인류의 산업 발달을 이끈 적은 없었다. 그런데 지식정보사회의 끝자락에서 한국은 ‘IT 강국’...
[안재석 칼럼] 인간은 만족을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 2024-10-28 17:38:27
인공지능(AI)의 등장. 노동시장에서 호모 사피엔스가 대거 퇴출당할 우려가 큰 만큼 일정한 소비 수요를 유지하려면 기본소득이 필수적이라는 논리다. 제도의 겉모습은 깔끔하지만 현실성은 떨어진다. 우선 재원 조달 가능성부터 글쎄요다. 영광군과 곡성군만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것으로 끝난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연극 '판다는 경부고속도로를 달릴 수 없다' 다시 관객 맞아 2024-10-21 17:12:00
인간(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을 바라보고 개인의 욕망이 사회에 의해 거세되는 것을 보여준다. 과거 육식동물의 신체 구조를 가진 판다는 진화 과정 중에 고기 맛을 느끼는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육식하지 않게 됐다. 현재의 판다는 생존을 위해 대나무를 섭취하게 된 것이다. 판다가 자신의 특성을 도태시키면서...
[책마을] 한국인의 뿌리는 추위 피해 온 '기후 난민' 2024-09-13 17:24:03
지리학과 교수가 썼다. ‘방랑자’ 호모사피엔스가 아프리카 대륙을 나와 어떻게 한반도까지 도달했는지 인류 이동의 역사를 살펴본다. 그는 세계 각 지역에서 인간 집단이 형성될 때 “기후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한다. 수만 년 동안 인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며 끊임없이 움직였다는 것.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호빗족' 화석?.."성인 키 1m 화석 발견" 2024-08-07 06:34:24
조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인 자바원인이 발견된 자바섬 동쪽에 있는 플로레스섬은 아시아 인류 진화 역사에서 많은 수수께끼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리앙부아에서 발견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초기 호모 사피엔스와 생존 시기가 겹친다. 키가 106㎝로 매우 작아 소설 '반지의 제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