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中 전략물자 수출통제 여파에…한국 '반도체 핵심광물' 수급 타격받나 2025-02-05 16:58:06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관련 기업과 협?단체, 소부장 공급망센터(KOTRA 등), 광해광업공단, 희소금속센터 등이 참석했다. 중국 상무부는 앞서 미국의 '10% 추가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 차원으로 석탄과 LNG에 15%, 원유와 농기계 등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추가로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수요 정점 찍은 中…중국발 원자재 슈퍼사이클 끝났다 2025-02-03 15:51:04
◇희소 원자재 갈등 확대 원자재 시장에서는 청정에너지가 새로운 슈퍼 사이클을 만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력망 구축이나 데이터 센터 확보,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구리, 전기차 배터리에 필수적인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의 수요 급증이 예상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40년까지 구리 수요가 지금보다...
SK테스, '유럽 물류허브' 네덜란드에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준공 2024-09-27 09:53:22
SK테스는 폐배터리 회수부터 희소금속 추출 및 재활용 등 전 부문에 걸친 설루션을 갖추고 있으며, 전 세계 23개국, 46곳에 글로벌 거점 확보해 물류 전초기지도 마련했다. 동남아 최초의 배터리 재활용 공장으로서 2021년부터 가동 중인 싱가포르 공장, 작년 말 준공한 중국 옌청 공장, 글로벌 연구개발(R&D)을 담당해 온...
[르포] EV 고전압 배터리 해체도 '뚝딱'…獨 최대 BMW 재활용센터 2024-09-20 06:45:52
금속들은 별도의 특수 분리 작업을 거쳐 회수된다. 이런 절차를 거쳐 확보하는 희귀 금속은 배터리 핵심광물인 희토류와 니켈 등 11개에 달했다. 현장 안내를 맡은 알렉산더 슐 BMW RDC 총괄은 "이곳에 오는 대부분 차량은 시험 개발 중인 BMW 차종"이라며 "분리된 배터리는 개별로 정밀 측정해 문제없음이 확인되면 재활용...
KIAT, 우즈벡 희소금속 공급망 다변화 지원 2024-09-03 18:05:32
고부가가치 희소금속 소재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KIAT는 한-우즈벡 희소금속센터에서 고품질 희소금속 소재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R&D) 지도, 전문가 교류, 인력 양성 등을 추진해 희소금속 신규 공급망 확보를 위한 방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민병주 KIAT 원장은 "우즈베키스탄의 고순도 희소금속 소재 생산을 위한...
전기차 캐즘에도…美 배터리업체는 대규모 공장 짓는다 2024-08-16 17:42:12
등 희소 금속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망 디커플링(탈동조화) 위험과 노동자 인권 문제 등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비용이 저렴하고 가격 변동성이 작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나트론에너지는 ‘프러시안 블루’라는 화합물을 사용해 배터리 성능을 높였다. 이 기술은 빠른 에너지 충전이 필요한 데이터센터나 석유 시추...
헤지펀드, 13년만에 원자재 최대 매도…구리값 3개월새 22% 급락 2024-08-12 18:14:01
맞물리며 희소금속·에너지·농산물 가격이 모두 상승했다. 블룸버그 원자재지수(BCOM)는 2020년 1월 60.89에서 2022년 5월 131.34로 두 배 이상으로 뛰었다. 그러나 2022년 말 최고가를 기록한 리튬·니켈 등 희소금속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성장 일로를 걸을 것으로 전망된 전기차 시장이 오히려 축소되면서다....
대통령실 "우즈베키스탄에서 핵심 광물 안정적 공급망 확보" 2024-06-14 21:04:51
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핵심 광물 공급망 협정'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차장은 또 "양국이 우즈베키스탄 치르치크시에서 공동 운영 중인 희소금속센터 내에 시험생산동을 이번에 가동하기 시작해 희소금속의 안정적 확보와 공급을...
KTX 첫 수출…尹 우즈벡 순방 계기 2700억원 규모 계약 2024-06-14 17:50:11
수 있도록 했다. 양국이 공동 운영 중인 '희소금속센터' 내 고순도 희소금속 제품의 생산시설을 확장해 향후 희소금속 자원 확보를 위한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광물자원 DB 관리체계도 구축키로 했다. 우리 기업의 수출 확대 여건도 조성됐다. 최근 우즈베키스탄의 WTO(세계무역기구) 가입 핵심 절차인 상품...
포항,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앞장선다 2024-06-12 18:09:45
했다. 포항시는 이곳을 폐배터리에서 고가 희소 금속을 추출하는 배터리 재활용 사업 인프라로 가꿔가고 있다. 국내 자동차용 사용 후 배터리 배출 규모는 2021년 440개에서 2029년 8만 개로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자원순환 클러스터가 마련되면 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인력이 포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