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1.5조 통큰 투자…르노 "부산을 미래車 기지로" 2025-02-18 18:38:31
5주에 걸쳐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만든 전기차 혼류생산 현장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북미 수출용으로 생산될 전기차 ‘폴스타4’부터 르노코리아의 전기차 생산 프로젝트 ‘오로라’까지 책임지는 설비들이다. 이해진 르노코리아 제조본부장은 “현재 연간 11만 대 규모의 공장 생산능력을 장기적으로 20만 대까지 늘릴...
농식품부, 환변동보험 '부담률 완화'…수출시장·품목 다각화 2025-02-18 14:30:02
자부담률을 올해 상반기에는 현행 5%에서 최저 0%까지 낮추고, 하반기에 수출 상황을 고려해 연장을 검토한다. 지금껏 정부는 엔저 현상 장기화에 따라 엔화에 대해서만 환변동보험 부담률을 낮춰왔다. 수출 기업의 물류 지원을 위해 주요 수출국 내 공동물류센터를 104곳에서 110곳으로 늘리고, 콜드체인 운영을 확대하기...
손주 돌보는 조부모에 '수당'…月 30만원 지원 2025-02-18 12:29:20
월 30만원의 돌봄 비용을 지원한다. 외국인 자녀에 대한 보육료는 도내 거주 외국인 가정 0∼5세를 대상으로 월 28만원씩 지원한다. 천안·아산·논산·홍성·예산 등 일부 시군만 운영하던 제도를 도내 전체로 확대해 차별 없는 보육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저출생으로 운영난을 겪는 어린이집에 폐원 지원금도 준다....
이시바, 이젠 제2야당에 접근…고교 무상화로 예산안 통과 노려 2025-02-18 12:06:43
다만 일본유신회는 사립고 취학 지원금을 오사카부가 정한 63만엔(약 600만원) 정도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이시바 총리 견해와 차이가 있다고 아사히신문은 짚었다. 일본유신회는 오사카부 등 간사이 지역에서 영향력이 강한 편이고, 유신회 대표는 요시무라 히로후미 오사카부 지사다. 이시바 총리가 이처럼...
3월 제조업 전망지수, 4개월 만에 기준치 회복 2025-02-18 11:00:01
제조업 업황이 4개월 만에 개선되는 등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5∼11일 167개 업종 전문가 119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3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1로 전달(97)보다 4포인트 올랐다고 18일 밝혔다. PSI는 100(전원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일본 0.1% 성장…코로나 이후 최저 2025-02-17 18:16:30
경제성장률이 0.1%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당초 마이너스 성장 전망도 나왔지만 가까스로 플러스 성장했다. 일본 내각부가 17일 발표한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GDP 증가율은 0.1%로 코로나19 때인 2020년 -4.2% 후 가장 낮았다. 일본 경제성장률은 기저효과 덕에 2021년 2.7%로 반등하고...
하이트진로음료, 무알코올 맥주 '하이트제로0.00 포멜로' 출시 2025-02-17 10:15:12
밝혔다. 하이트진로음료의 하이트제로0.00 신제품 출시는 2012년 이후 13년 만이다. 하이트진로음료는 신제품에 동남아시아의 자몽 계열 열대과일인 포멜로의 달콤하고 상큼한 풍미를 첨가했다. 또 기존 하이트제로0.00과 동일하게 알코올 도수는 0% 수준으로 유지했다. 하이트진로음료가 앞서 출시한 하이트제로0.00은...
풀무원, 두유면 생산량 4배로…"제로면 사업 본격화" 2025-02-17 10:12:45
밀가루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만든 제로(0)면인 두유면, 두부면, 곤약면 등을 주력으로 내세운다는 방침이다. 특히 인기 제품으로 자리 잡은 두유면을 중심으로 제로면 제품군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두유면은 85㎉로 칼로리 부담이 없다. 면을 헹구거나 삶을 필요 없이 포장재를 뜯고 충진수만 버리면 요리를 완성할 수...
"'미키17' 봉준호 천재성의 증거" vs "개봉 지연된 이유 있어" 2025-02-17 09:39:14
이어졌다.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미키 17'은 100점 만점에 74점의 평론가 점수를 받았다. 미국과 영국 등 해외 매체의 평론가 15명이 매긴 점수의 평균치를 낸 것으로, 이 가운데 10명은 긍정적(75∼100점), 5명은 중립적(40∼74점) 반응을 내놨다. 현재까지 부정적(0∼39점)인 평가를 한 사람은 없다. 91점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