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서울랜드, 황홀한 단풍 터널 즐길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 2020-10-21 15:56:35
싶다면 어트렉션에 탑승하면 된다. 은하열차888은 낙하하기 직전 최정상 지점에서는 서울랜드의 가을 단풍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최고의 이색 단풍 명소다. 짜릿한 스릴이 두렵다면 터닝메카드 레이싱이 제격이다. 터닝메카드 레이싱은 3m높이의 공중레일을 달리는 하늘자전거로 서울랜드에서 가장 예쁜 단풍을 볼 수...
지금은 사라진 달 자기장이 태양으로부터 고대 지구 지켜 2020-10-16 11:37:51
= 지구는 거대한 자기장이 방패처럼 둘러싸고 있어 태양풍의 유해 입자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역할을 한다. 이 자기장은 지구의 고체 핵(core)을 둘러싸고 있는 외핵의 쇳물이 지구 형성 당시의 열로 빠르게 돌면서 만들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부의 열이 식어 자기장을 더는 못 만들게 되면 대기가 태양풍에 그대로...
별이 국수 가닥처럼 블랙홀에 먹히는 마지막 순간 포착 2020-10-13 11:19:26
2억1천500만 광년 떨어진 에리다누스좌(天川座) 은하에서 발생한 조석파괴 사건의 상세한 과정을 관측한 결과를 왕립천문학회 월보(MNRAS)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9월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 주변에서 AT2019qiz로 명명된 조석파괴사건의 첫 빛을 포착했으며, 이후 ESO의 초거대망원경(VLT)를 비롯한 다양한...
2020년 노벨물리학상 '블랙홀 과학자' 3명…역대 수상자는 2020-10-06 19:24:00
= 나노 기술 및 거대자기저항(GMR) 발견에 기여 ▲ 2006년: 존 매더·조지 스무트(이상 미국) =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슈퍼컴 '누리온' 개통 2년…"우수 연구 성과 창출 기여" 2020-09-22 13:00:01
전에 달하는 근(近) 우주의 은하와 은하단의 진화를 연구하고자 대규모 수치 실험을 수행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누리온이 미국, 중국, 일본으로 구성된 슈퍼컴퓨터 '3강 체제'의 벽을 넘기 어렵다는 점은 한계로 작용한다. 슈퍼컴퓨터는 매년 6월 '세계 슈퍼컴퓨팅 콘퍼런스(ISC)'와 매년 11월...
남반구 하늘 절반에 펼쳐진 '마젤란 계류' 질량 수수께끼 실마리 2020-09-10 16:19:37
질량 원천은 은하 감쌌던 가스 '헤일로'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남반구 밤하늘에는 '마젤란 계류'(Magellanic Stream)라는 거대한 중성 수소가스 구름이 하늘 절반에 걸쳐 펼쳐져 있다. 우리은하 주변을 도는 왜소은하인 대마젤란은하(LMC)와 소마젤란은하(SMC)에서 시작돼 은하 남극점을 거쳐...
삼성 중력으로 뒤틀리고 어긋난 'GW 오리오니스' 원반 2020-09-04 11:36:59
우리 은하를 비롯해 우주의 다른 항성계가 모두 이와 같지는 않다. 별(항성)이 하나가 아닌 다중성계에서는 특히 비스듬하게 사선 궤도로 별을 도는 행성이 존재한다. 이런 사선 궤도 행성의 형성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원시 행성계 원반 내 비스듬한 고리가 직접 관측돼 학계에 보고됐다. 유럽남방천문대(ESO)와 카네기...
은하 중심 초대형 블랙홀 수수께끼 단서 '중간' 블랙홀 첫 관측 2020-09-02 21:01:01
은하 중심 초대형 블랙홀 수수께끼 단서 '중간' 블랙홀 첫 관측 블랙홀 충돌해 태양 142배 질량 천체 형성…중력파 포착해 확인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태양 질량의 142배에 달하는 '중간 질량' 블랙홀이 중력파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런 중간급 블랙홀의 존재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는...
별 사이 거리 재는 '우주 줄자', 새로운 '표준촛불' 후보 발견 2020-08-07 17:13:31
크기가 태양의 2~3배인 경우는 폭발하면서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이때를 초신성이라고 한다. 초신성 폭발 땐 강력한 방사선이 주변 모든 것을 파괴하기 때문에 생물이 진화하지 못하고 멸종한다. 별이 밀집한 곳에선 생물이 존재할 수 없는 이유다. 중국 송나라 역사 기록에 따르면 1054년 초신성 폭발 이후 수개월...
[사이테크 플러스] '태양형 별과 외계행성 2개' 외계행성계 직접 촬영 첫 성공 2020-07-22 21:00:00
비슷한 별 주위를 거대한 목성형 외계행성 2개가 돌고 있는 외계행성계를 직접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22일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회보'(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서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을 이용해 310광년 밖의 태양형 별 'TY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