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환율 안정 vs 경기 부양' 한은 선택은…전문가 전망도 팽팽 2025-01-13 06:01:01
텐데, 한은의 정책 목표 1순위가 물가 안정인 만큼 성장보다는 우선 물가와 금융 안정 측면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금리 인하를 서두르는 만큼 경기 부양 효과가 크다고 보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조 연구위원은 "지난해 10·11월 기준금리 연속 인하에도 불구하고 대출 금리는 크게 떨어지지...
IMF 총재 아르헨 정부 극찬 "최근 가장 인상적인 사례 중 하나" 2025-01-13 01:24:57
"많은 국가에서 공공 정책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면서 아르헨티나 정부가 시행한 조치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고 인포바에는 전했다. 이러한 IMF 총재의 극찬은 밀레이 정부가 IMF로부터 110억달러(16조2천억원) 상당의 신규 자금 지원과, 전 중도우파 마우리시오 마크리 정부에서 2018년 IMF로부터 지원받은...
美 '채권 개미' 모두 울상?…단기채 펀드, 조용히 돈 번다 2025-01-12 18:08:05
정책이 재정적자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데 따른 것이다. 김진하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픽스드인컴운용본부장은 “단기채는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원리금을 전부 받고 손을 털 수 있기 때문에 시장 환경 변화에 둔감하지만 장기채는 그렇지 않다”며 “장기채는 운용 기간이 길다 보니 시장 상황에 따라 채권...
'뒷북 인하' 비판에…이창용 "1년 후에 평가해달라" 2025-01-12 18:01:36
중앙은행(Fed)의 피벗(통화정책 전환) 기대가 커지면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되기에 앞서 이미 국내 시장금리가 상당폭 떨어졌다”며 “당시 8월부터 가계부채와 집값이 뛰면서 금융 불균형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금리 인하가 부동산 가격 상승과 금융 불균형 확대를 부추길 우려가 커지자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트럼프 약발' 안먹히는 암호화폐 2025-01-12 17:24:54
사흘 만에 1만달러나 하락했다. 견조한 거시경제 지표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증폭시키며 암호화폐 투자심리가 얼어붙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 금리 인하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8일 미국 중앙은행(Fed)이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거의 모든 Fed 위원이 인플레이션을...
쌓여가는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2025-01-12 10:25:55
정책을 되돌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1930년대 대공황 이전의 초기 자본주의는 인플레이션을 제어하는 자정 작용이 존재했다. 물가가 상승하면 높아진 물가만큼 수요가 감소하면서 물가가 다시 낮아졌다. 물가상승→ 수요감소→ 물가하락→ 수요증가→ 물가상승이 반복되면서 인플레이션의 변동성이 컸다....
미국채 물량 폭탄·'트럼플레이션' 우려 겹쳤다…"비트코인, 최대 25% 더 빠질 수도" [강민승의 트레이드나우] 2025-01-10 10:33:50
취임 첫날(오는 20일) 암호화폐 정책을 포함한 25개의 행정 명령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5일 가상자산 전문 뉴스레터 고아시메트릭은 올해 비트코인 상승세를 이끌 주요 정책적 요인으로 △ 미국의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계획 △ 전세계 다른 국가의 비트코인 비축 △ 가상자산 커스터디 회계 지침 SAB-121 폐기...
"신흥국 증시, 조정국면 진입"…반도체주 약세 두드러져 2025-01-10 09:45:55
헨릭 걸버그 거시 전략가는 "트럼프의 정책이 어떻게 나올지 아직 불확실하기 때문에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이 어느 쪽으로 움직일지 확신을 갖기 어렵다"면서 "취임식까지 시장은 매우 혼란스러울 것이며 트럼프의 발언과 SNS 게시글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국 지수는 중국 주식 비중이 크다. 중국...
한국 등 신흥국 증시 10월 고점 대비 10% 하락…"조정국면 진입" 2025-01-10 09:34:58
입장이다. 코엑스 파트너스의 헨릭 걸버그 거시 전략가는 "트럼프의 정책이 어떻게 나올지 아직 불확실하기 때문에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이 어느 쪽으로 움직일지 확신을 갖기 어렵다"면서 "취임식까지 시장은 매우 혼란스러울 것이며 트럼프의 발언과 SNS 게시글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국 지수는 중국 ...
[이슈프리즘] '무용론' 키운 정부의 부실 경제전망 2025-01-09 17:11:24
된 정책 수단 한 번 쓰지 못했다. 기재부는 최근 ‘2025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성장률을 1.8%로 내다봤다. 한은 전망치(1.9%)보다 낮다고 하지만 이조차 달성할 수 있을지 벌써부터 의구심이 나온다. 일부 외국계 IB는 탄핵 정국 등에 따른 내수 추가 침체를 반영해 올 성장률을 1.3%까지 낮췄다. 올해도 작년 실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