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려대학교와 함께하는 ‘지능정보SW아카데미’ 2기 교육생 모집 2023-07-04 14:57:26
박병훈)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고려대학교 지능정보 SW아카데미’ 3기 교육생을 모집한다. ‘지능정보 SW아카데미’는 국내 최고 SW / AI 전문 인재양성대학과 전문기업이 수요기업 중심의 프로젝트 교육을 실시하고, 협력기업의 전문가 멘토링 등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SW중심대학·AI대학원 학생 대상 AI 이노베이션 챌린지 2023-07-02 12:00:37
AI 인재 양성을 목표로 참여했다. 트랙별 우승팀은 다음 달 17일 열리는 2023 AI 대학원 심포지엄 개회식에서 1등상인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함께 상금 학부 300만원, 대학원 1천만원을 받는다. 또 대회 수상자에게는 트랙별 후원사에 입사 지원 시 서류전형 면제 등 채용 혜택이 부여될 예정이다. csm@yna.co.kr (끝)...
세종사이버대 컴퓨터·AI공학과, ‘챗GPT를 활용한 IT분야 업무효율 높이기’ 온라인 특강 2023-06-28 14:03:34
최신 전문 지식 및 실무 경험을 지닌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어 평생교육 시대를 대비한 보다 나은 교육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세종사이버대 컴퓨터·AI공학과는 지난 6월1일부터 2023년 가을학기 신·편입생을 모집 중이다. 고졸 학력 이상이면 누구나 세종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 입학지원센터를 통해 지원할 수...
인사담당자 90% "AI면접과 역량검사 분명히 달라" …HR Q세미나 설문조사 결과 발표 2023-06-15 16:19:17
등을 전했다. 이어서 인사담당자들은 입사 후 성과를 잘 낼 수 있는 인재 선발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검토하는 항목으로 약 39%가 '역량'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프로젝트 수행경험'이 25%로 2위를 차지했으며 학교, 학점, 어학성적은 1~2%에 그쳤다. 채용 혁신을 검토하는 전형으로는 '실무면접'...
인하대, 반도체·바이오 관련 학과 신설 2023-06-08 16:08:22
종합(인하미래인재), 학생부 교과(지역균형), 논술 전형 등 수시에서 27명 정시에서 13명 등 40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는 기존 공과대학의 생명공학과, 바이오제약공학과(계약학과)와 자연과학대학의 생명과학과를 하나로 묶은 독립학부로 구성됐다. 바이오제약공학과는 인하대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24학년도 대입 전략] 삼성전자 510명·하이닉스 100명 등 총 690명…의·약학 계열 이어 자연계 최상위학과 발돋움 2023-06-05 10:00:10
첨단산업 인재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반도체학과 등 대기업 취업연계 계약학과가 주목받고 있다. 장학금과 해당 기업 취업 보장 등 혜택이 커 수험생 사이에서 관심이 높다. 2024학년도 주요 대학 대기업 연계 계약학과 입시를 분석해본다. 대기업 연계 계약학과는 입학 후 일정 학점 유지 및 관련 시험 합격 등의...
포스코퓨처엠, 포항공대에 배터리 석·박사 과정 운영 2023-05-23 10:05:00
교육하고, 우수 졸업 학생을 마이스터고 전형을 통해 우선 채용할 계획이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국내 최고의 연구 중심 대학인 포스텍, 기술 인재의 산실인 포철공고와 협력을 통해 회사의 인적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포스코퓨처엠은 이차전지 인력...
"복수지원≠중복지원?"…헷갈리는 수시 용어 제대로 알기 2023-05-11 14:12:37
수 없다. 예컨대 한양대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정책학과와 경영학과 두 곳에 지원은 불가하다. 학교에 따라 서로 다른 전형에 지원하더라도 중복지원을 금지하기도 한다. 고려대의 경우 학생부교과 학교추천전형과 학생부종합 학업우수형을 동시에 지원할 수 없다. 다른 대학에서도 면접 등 대학별 고사 일정이 겹치는 경우...
UNIST총장 "연구중심대는 개교 20년이 데스밸리…넘을 준비해야" 2023-04-30 12:47:13
전형 인재 선발을 늘리며 지원을 추가로 받고, 발전재단 유치 금액도 2019년 68억원에서 현재 417억원으로 늘렸다고 설명했다. 이직 교원 수도 부임 전 3년 39명에서 부임 후 3년간 26명으로 줄였고, 학생들의 등록금 납부 학점 기준도 완화하고 부전공 필수 요건을 없애는 대신 연구·창업 활성화를 위한 동아리 활동 등을...
기울어진 '공기업 지역특채'…한전·LH, 일부 대학서 독식 2023-04-05 18:14:35
과학기술원 두 곳뿐이다. 그렇다 보니 울산에 있는 공공기관에서 지역인재는 울산대 출신이 대부분이다. 최근 3년간 안전보건공단은 지역인재 36명 중 30명, 근로복지공단은 51명 중 32명, 한국동서발전은 26명 중 18명, 한국에너지공단은 26명 중 19명이 울산대 출신이었다. 이에 따라 전체 대졸 신입사원을 기준으로 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