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H 투기 박근혜 정부 때까지 조사…野 "예상했던 물타기"[종합] 2021-03-08 21:38:54
문서위조, 허위공문서작성, 금융실명제법위반, 농지법위반, 건축법위반, 뇌물에 관한 죄, 직권남용, 직무유기 등 다양한 범죄 수법과 양태에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정권은 무엇이 두려운지 검찰과 최재형 원장의 감사원을 콕 집어 배제하고, LH공사의 큰 집인 국토부와 경찰을 중심으로 수사팀을 꾸린다고...
"애들 풀어서 손 좀 봐라"…조폭 시켜 기자 협박한 군수 2021-02-17 20:12:57
목적으로 24회에 걸쳐 타인의 이름으로 금융거래를 한 혐의도 받고 있다. 재판부는 "의령군수였던 피고인은 폭력단체 조직원이었던 B씨에게 부정적인 기사를 게재한 기자인 피해자를 협박하도록 교사하고, 그 대가로 의령군이 최대주주인 유통회사에 압력을 가해 B씨가 수박 운송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직권을 남용했다"고...
한은, 금융위 겨냥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은 '빅브라더'법" 2021-02-17 11:53:58
별다른 제한 없이 접근할 수 있다. 금융위가 금융결제원에 대해 허가권, 감시·감독·규제 권한을 갖기 때문에 자료 제출 명령, 직접 검사 등이 가능하다. 더구나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법령 적용도 면제된다. 면제되는 법 조항은 ▲ 금융실명제법 제4조(금융거래의 비밀보장) ▲ 신용정보 이용·보호법...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빅브라더' 논란 예상" 2021-02-04 10:15:06
전자지급거래 정보를 전자지급거래청산기관(금융결제원)에 제공하도록 의무를 부여하면서,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법령 적용을 면제했다. 면제되는 법 조항은 ▲ 금융실명제법 제4조(금융거래의 비밀보장) ▲ 신용정보 이용·보호법 제32조(개인신용정보의 제공·활용에 대한 동의) 및 제33조(개인신용정보 이...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금융위 주도 '빅브라더법'" 2021-02-04 10:02:54
△금융실명제법 제4조(금융거래의 비밀보장) △신용정보 이용·보호법 제32조(개인신용정보의 제공·활용에 대한 동의) 및 제33조(개인신용정보 이용의 제한)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제공 제한) 등의 규제 받지 않고 개인이 네이버 등에서 거래한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내용이다....
유시민 "계좌열람 사실 아냐"…한동훈 "거짓선동으로 큰 피해" 2021-01-22 18:11:25
노무현재단 계좌도 뒤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실명제법에 따르면 수사기관이 수사 목적으로 개인의 금융정보를 조회했을 땐, 10일 안에 금융기관에서 당사자에게 통지할 의무가 있다. 증거인멸 등의 우려가 있다면 최장 1년까지 통지를 유예할 수 있다. 유 이사장이 과거 주장을 펼친 후 1년이 지났지만 금융기관에서 관...
권경애 "김경율 집요한 추궁 없었다면 유시민 사과했을까" 2021-01-22 15:50:16
지는 것"이라며 "대검이 자기 계좌를 들여다봤다고 주장하려면, 자신이 증거를 제시해야 하지만 유시민 이사장은 이제까지 단 한번도 자신이 가진 의심의 근거를 제시한 적이 없다"고 꼬집었다. 금융실명제법상 수사기관이 수사 목적으로 계좌주의 신원정보와 거래내역 등을 조회했을 경우 금융기관은 제공한 날부터 10일...
[팩트체크] 월성원전 수사는 '통치행위' 겨냥? 검찰의 월권? 2020-11-12 17:28:45
'금융실명제에 관한 대통령 긴급재정경제명령' 사건에서 "고도의 정치적 결단에 의해 행해지는 국가작용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이 국민의 기본권 침해와 직접 관련되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의 심판대상이 된다"고 결정한 바 있다. ◇ '원전 감사 방해'는 명백히 수사대상…'경제성 평가조작'엔 다른...
안철수 "모든 정권에는 공과 있다지만 文 정부 공은 뭔가" 2020-11-12 09:12:48
우리 외교의 지평을 넓혔고, 김영삼 대통령은 금융실명제로 투명경제 시대를 열었고 하나회 해체로 군의 정치개입을 완전 종식시켰다"고 했다. 이어 "김대중 대통령은 정치적 화해와 IMF 극복의 공이 있고, 노무현 대통령은 한미 FTA 성사와 참여민주주의 시대를 연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있다"며 "불행한 결과를 맞은 이...
[팩트체크] 현 상속세 최고세율(50%), 이승만·박정희때보다 낮다? 2020-10-27 10:34:46
1988년(55%)이며, 1993년에는 현재와 같은 50%로 낮아졌다. 이후 금융실명제 실시로 상속세 실효성이 높아졌다는 정부의 판단에 따라 1996년 45%로 더 인하됐으나, 3년 뒤 고액자산가에 대한 과세 강화 차원에서 다시 50%로 올라갔다. 이때 최고세율 과세구간도 기존의 '50억원 초과'에서 '30억원 초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