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코로나19 백신 중요하지만, 항바이러스제 개발도 시급" 2021-03-22 09:28:09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와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환자의 혈장에 비해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우선 항체와 혈장은 정맥 주사로 투여해야 하지만 항바이러스제는 경구 투여가 가능하다. 또 생산-운반-저장이 쉽고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미국 머크(Merck) 제약회사의 조앤 버터턴 전염병 임상 연구 담당...
하버드대의 코로나 전략, 핵심은 '변이에 앞서는 대응' 2021-03-17 18:15:32
종류의 항체를 섞은 단일클론 항체 칵테일을 써 봤더니, 하나는 완전히 저항하고 다른 하나는 야생형의 4분의 1 정도로 중화 효과가 떨어졌다. 이들 8개의 변이가 똑같이 항체에 저항하진 않았다. 다만, 2개는 자연 항체와 인공 항체 모두에 강한 저항을 보였다. 연구팀은 먼저, 신종 코로나에 대한 인간 항체 반응을 더 잘...
[부산디자인진흥원 창업도약패키지] 프라임포디아, ‘임테기’ 원리로 단 10분 만에 결과 알려주는 코로나19 진단키트 2021-03-10 09:33:08
키트의 주원료인 재조합단백질, 단일클론항체, 신호물질 등을 자체적으로 개발 및 생산한다. 덕분에 품질뿐 아니라 가격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코트라의 도움으로 현재 일본,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키르기스스탄, 말레이시아 등 10개국에도 수출했다. 병원이나 허가를 취득한 대리점이 제품을 취급하는데 PCR에 비해...
워싱턴의대 연구진 "기존 백신으론 변이 코로나 막기 어렵다" 2021-03-06 15:15:21
효과를 보인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ies)도 변이 코로나에 쓰면 전혀 효과가 없거나 부분적인 효과만 나타났다. 연구팀은 변이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생긴 다중 돌연변이의 영향을 돌연변이별로 구분해 일일이 확인했다. 항체 유효성의 차이는 대부분 단 하나의 아미노산 변화에서 비롯됐다. E484K로 불리는...
"테플리주맙, 1형 당뇨병 발병 5년 지연시켜" 2021-03-04 09:15:31
=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테플리주맙(teplizumab)이 1형(소아) 당뇨병 위험이 매우 높은 아이들의 발병을 5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임상시험 결과 밝혀졌다. 단클론 항체란 인공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면역체계의 단백질로 생체에서 어떤 종류의 세포 또는 항원에만 특이하게 반응하는 항체를...
췌장 세포 전환해 인슐린 분비 늘리는 '당뇨병 치료법' 개발 2021-03-03 17:25:23
기술로 확인한 보니, 단클론 항체가 알파세포 가운데 일부를 베타 세포로 바뀌게 압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PANIC-ATTAC로 명명된 이 생쥐 모델은 1형과 2형 당뇨병에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베타세포 결실을 겪었지만 1형 당뇨병을 부추기는 자가면역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어 자가면역 반응으로 베타세포가...
유럽의약품청 "리제네론 항체치료제 코로나19 환자에 사용 가능" 2021-02-26 21:46:09
'REGN-COV2'는 2개의 단일클론(단클론) 항체를 혼합한 치료제로, 코로나19 완치자 혈액의 항체를 분석·평가해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항체만 선별해 치료제로 이용한 약품이다.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코로나19 항체 제제, 감염 전후 효과 전혀 다르다 2021-02-17 17:48:07
긴급 사용 승인을 받은 약은 모두 9종인데 이 중 3종이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제제(製劑)다. 이런 항체 기반의 약은 인체의 자연적인 항체 형성 과정을 우회해 바이러스 중화 항체를 공급한다. 인체의 면역계를 통해 항체가 형성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만들어진 항체의 효과도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바이오이즈, 신개념 프로탁 기술 `m-PROTAC` 특허 출원 2021-02-16 10:12:52
이후 PROTAC은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와 단클론 항체에 비견되며 주류 약물군이 될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PROTAC` 기술을 확보한 벤처 회사들이 속속 설립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들 또한 단백질 분해 유도제를 발굴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에 대한...
[Cover Story - part.3] 유틸렉스, 종양 주변 대식세포 공략하는 ‘EU103’ 2021-01-20 08:53:01
데 탄력이 붙었다. 지난 12월 유틸렉스는 4-1BB 단클론항체 EU101의 글로벌 다국가 임상 1·2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마쳤다. 면역세포의 ‘브레이크’를 담당하는 면역관문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면역관문억제제와 달리 EU101은 면역세포의 ‘가속페달’을 밟는 식으로 작동하는 면역관문활성제다. EU101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