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發 '관세 전쟁' 터졌다…한국 최악의 시나리오는 [김대훈의 산업경제 딱10분] 2025-02-04 18:07:57
중 대미 수출액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입니다. 이어 일본과 베트남 순인데요. 작년 1~11월 베트남의 대미 수출액만 1241억달러로, 흑자만 1131억달러에 달하는 3위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탈(脫) 중국’ 대안을 찾아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옮긴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같은 기간 일본도 미국에 자동차와 반도체 등을...
美 10% 때리자…中, 석탄·농기계 등 80개품목 보복관세 2025-02-04 17:42:26
결정했다”며 “해당 품목을 수출하기 위해선 중국 수출통제법과 이중 용도 품목 수출 통제 조례 등 규정에 따라 사전에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종문 KIC중국 센터장은 “반도체 관련 광물에 대한 조치는 미국 기업에 단기적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중국 정부와 중국 업체들의 자국...
트럼프, 중국부터 관세전쟁 '포문' 열어…韓 수출 '유탄' 우려 2025-02-04 16:57:30
수출품인 반도체를 비롯해 철강,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반도체 등에 대한 별도 관세 부과 의지도 피력했다. 한국에 특히 영향이 큰 대중 추가 관세만 놓고 봐도,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미중 분쟁 격화 여부에 따라 선거 기간 언급한 60%까지 올리겠다고 나설 가능성도 있다. 다만 중국이 대미 관세 부과 시작일을...
트럼프 복귀 보름만에 미중 무역전쟁 포문…충돌 속 협상 여지도 2025-02-04 16:50:09
겪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경제 버팀목'인 수출 분야 타격으로 경제 성장 동력 약화까지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 웨카이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이 관세를 10% 인상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 증가율이 12%포인트, 전 세계 대상 수출 증가율이 1.8%포인트 하락하고,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中 최고 미·중 관계 전문가가 바라본 '무역전쟁 2.0' 2025-02-04 16:22:04
대미 수출 비중을 낮춰놨다는 분석을 내놨지만 그는 분명히 중국 경제 그리고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봤다. 관세 전쟁에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은 한국에 대해선 “긴밀하게 전략적인 대응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우려하던 관세 전쟁이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대통령...
무협 "올해 수출기업 37%, 작년보다 경영환경 악화 전망" 2025-02-04 06:00:04
미국 신행정부의 보편관세가 도입될 경우에도 한국 기업의 대미 수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응답 기업의 55.5%는 '보편관세 부과 후에도 대미 수출은 전년과 유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보편관세는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부과되기 때문에 수출 기업들이 '같은 환경 속에...
대미 무역흑자 큰 韓·日·대만…관세 위협 다가오자 亞증시 '패닉' 2025-02-03 18:32:19
대미 수출 흑자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베트남이다. 지난해 1~11월 베트남의 대미 수출 흑자 규모는 1131억달러로, 중국 멕시코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탈(脫)중국’ 대안으로 삼으며 생산기지를 잇달아 이전한 영향이다. 같은 기간 일본도 자동차와 반도체 등을 수출하며 대규모 무역 흑자(626억달러)를...
기어코 관세전쟁 포문…예상했지만 증시 쇼크 [마켓인사이트] 2025-02-03 18:25:20
악영향을 줄지는 아직 단정짓기 어렵습니다. 목대균 대표는 "트럼프 관세 정책이 본격화된다는 부분이 심리적으로는 상당히 부담 요인"이라며 "실제로 2월 수출이 어떻게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지, 기업이익 하향 조정폭이 2월에 어떻게 나오는지 봐야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 보복관세 난타전 우려 트럼프의 관세...
韓 해외진출 기업 30%가 '관세 사정권' 2025-02-03 18:07:45
사업장 간 생산 조정과 원가 절감 등 대응책 마련이 용이한 대기업과 달리 회사의 명운을 걸고 투자에 나선 중소기업엔 선택지가 많지 않아서다. 산업연구원은 미국 정부가 20%의 보편관세를 부과하면 한국 중소기업의 대미 수출이 21.6%, 국내 중소기업 수출액은 15조8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중소기업...
車업계, 트럼프 관세 대응 TF 발족…현지생산·수출처 확대 논의 2025-02-03 18:01:20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부과한 관세가 수출과 현지 생산법인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현재 자동차 수출에서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7.5%에 달한다. 아울러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폐지 등 트럼프 행정부의 친환경차 정책 폐기에 따른 여파도 논의됐다. 이에 대해 참석자들은 현지 생산 확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