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끝나지 않을 시리아 난민 위기 2024-12-20 17:54:52
유럽 지도자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독재자가 권좌에서 물러난 것은 시리아 국민에게 희소식일 뿐 아니라 유럽 사람들에게도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이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키웠다. 시리아 정권 붕괴 이후 유럽의 대응은 시리아인들을 유럽에서 돌려보내려는 노력이다. 현재 유럽 전역의 1...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 '판사 매수' 최종 유죄 2024-12-19 01:21:41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사르코지 전 대통령은 2007년 대선 전 리비아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2011년 사망)에게 뒷돈을 받은 혐의로도 기소됐다. 이 재판은 내년 시작되며 유죄 선고가 나면 최고 10년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cheror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시리아 학살 주도 아사드 친동생 행적 묘연…"체포 1순위" 2024-12-18 16:39:15
= 시리아의 독재자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러시아로 망명하면서 최측근들의 행방도 묘연해진 가운데, 시리아에서는 알아사드 대통령의 동생 마헤르가 수배 1순위에 올랐다. 마헤르 알아사드는 군부 실세로서 시리아 학살을 주도했으며, 이후 국고를 횡령하고 마약 제조에 손을 대는 등 아사드 정권에서 부패한 인물 중...
최소 10만명 암매장…아사드 독재기 실종자 추적도 시작됐다 2024-12-18 12:08:26
= 독재자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전 대통령 집권 기간에 고문으로 숨진 것으로 확인된 사람들은 최근 집계에 따르면 1만5천102명이었다. 하지만 이는 시신 등으로 사망이 확인된 이들만 따진 것이고, 그 중에서도 54년간 지속된 아사드 일가 독재 시기 전체가 아니라, 내전으로 번진 대규모 반정부 시위 탄압이 시작된...
[2024결산] 화제의 인물: 국제 2024-12-17 07:11:06
저항세력이 봉기하자 민간인을 유혈진압하며 독재자의 본색을 드러냈다. 내전으로 번진 충돌 속에서 군중을 향해 총을 발포하고, 염소·사린 가스를 사용하고, 반대파를 납치하면서 국제사회의 공분을 샀다. '중동의 불사조'로 불렸지만 최악의 학살자, 전쟁 범죄자라는 오명도 썼다. 한때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2024결산] 연합뉴스 선정 10대 국제뉴스 2024-12-17 07:11:03
피신해 러시아로 망명하면서 24년간 학살자이자 독재자로 군림하던 권좌에서 끝내 줄행랑 퇴진했다. 이에 따라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 시위를 무차별 유혈진압하며 내전의 불씨를 댕긴 아사드 정권은 50만명 이상의 희생자와 600만명 이상의 난민을 남긴 채 폐허가 된 시리아를 반군의 과도 정부에 넘겨주게...
국민 고혈로 호화부동산 쇼핑…17조 아사드 은닉재산을 찾아라 2024-12-16 10:08:14
맞물려 본격화했다. 53년간 2대에 걸쳐 학살자이자 독재자로 군림하던 아사드 일가는 권좌에서 줄행랑 퇴진하게 됐지만 그간 국영 기업 독점, 마약 밀매, 국제법 회피 등으로 자금을 축적해 해외 곳곳에 숨겨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빼돌려온 재산은 최대 120억 달러(17조2천억원), 최소 10억 달러(1조4천억원)로 미...
'제2 아랍의 봄' 촉발하나…떨고있는 중동 지도자들 2024-12-15 18:21:55
독재자에게 지속적인 위협으로 작용해왔다. 정권이 교체된 경험이 있는 이집트는 이번 시리아 사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WP는 정치범 수만 명을 구금 중인 압둘 파타흐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자국 내 불만이 확산할 가능성을 크게 경계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이집트에서는 “다음은 엘시시가...
대화·타협 사라졌던 949일…대통령에게 '정치'란 없었다 2024-12-15 18:08:18
해결 등 ‘4+1 개혁’은 흐지부지됐다. 결국 윤 대통령은 입법과 상관없는 외교·안보 분야에 집중하며 한·일 관계 정상화, 한·미·일 동맹 강화, 체코 원전 수출 등의 성과를 올렸다. 윤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는 “독재자인 북한 김정은과도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회담하는 것이 정치인데, 윤 대통령은 정치력을 전혀...
다음은 내 차례?…아사드 정권 몰락에 아랍국가들 우려 2024-12-15 09:05:07
독재자들에게 지속적인 위협이 돼 왔다. 시리아의 상황을 가장 우려 섞인 눈초리로 보는 나라는 '아랍의 봄' 당시 이슬람 정치운동 단체 '무슬림 형제단'으로 정권 교체가 이뤄졌던 이집트다. 무슬림 형제단은 1028년 이집트에서 시작한 이슬람 최초의 정치·사회운동 단체로, '아랍의 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