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인도네시아판 테마섹' 만든다…국유자산관리회사 설립법 통과 2025-02-04 19:12:32
'다야 아나가타 누산타라'(이하 다난타라)를 세우는 내용의 국유기업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다난타라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 회사는 싱가포르의 국영 투자회사 테마섹과 같은 성공 사례를 목표로 한다. 다난타라는 현금과 국유 자산, 정부 소유 기업 지분 등 약 1천조 루피아(약 90조원)의 자본으로 설립된다. ...
올리브영, 美에 첫 매장 낸다…이재현 '글로벌 성장' 승부수 2025-02-04 17:35:16
강조해온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지난해 11월 그룹 최고경영자(CEO) 경영 회의에서 K웨이브를 거론하며 “그룹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마지막 기회라는 절실함으로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수년간 국내에서 고속 성장을 거듭해온 올리브영은 새로운 동력을 찾아야 한다....
"사실상 확정" 헤드헌터 말 믿고 사표 냈는데…헉! 2025-02-04 16:54:36
일단 (후보자로)선정은 해놓았다” 라고 하고, 최종 결정 시점을 묻는 질문에 대하여 “내일 정도가 될지. 오늘 이걸로도 그냥 거의 최종입니다. 사실은”이라고 답변을 한 사안에서, 법원은 채용공고에 근로계약의 중요사항에 관한 기재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회사가 후보자를 채용 대상자로 최종 확정한...
"모디 인도 총리, 13일 워싱턴서 트럼프와 정상회담" 2025-02-04 13:56:54
큰 악당"이라 부르며 관세를 통해 불균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지난달 27일 모디 총리와 통화하면서 "인도가 미국산 보안장비 조달을 늘리고, 공정한 양자 무역 관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2023∼2024 회계연도 기준 양국간 무역 규모는 1천180억달러(약...
"156조 큰물에서 논다"…CJ올리브영, '세계 1위 뷰티시장' 미국 진출 2025-02-04 09:59:49
조원, 2023년 기준 환율)다. 이 중 미국의 뷰티시장은 1200억달러(약 156조원)로 단일 국가 가운데 세계 최대다. 미국 내 K뷰티 존재감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대미(對美) K뷰티 수출액은 지난 2020~2023년 연평균 20% 이상 증가했다. 미국 10~30대 사이에서 트렌디하고 가성비 높은 K뷰티가...
SK, 다보스포럼서 성과 기반 금융 보고서 발간 2025-02-04 06:00:06
창립자인 힐데 슈바프, 록펠러 자선 자문 기관의 라타냐 맵 대표와 함께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서문을 공동 저술했다. 지난해 1월 다보스포럼에서 글로벌 우수 기업들이 사회혁신 공동 서약(RISE Ahead Pledge)에 대거 참여한 것처럼 기업의 사회문제 해결 참여는 글로벌 트렌드가 되었다. 서문에서는 이러한 환경 속 기업...
머스크가 좌표 찍은 USAID, 폐쇄 수순? 직원들에 "출근말라" 2025-02-04 01:12:50
조직. 이제 죽어야 할 때"라고 썼다. 머스크는 또 X에서 진행된 조니 언스트 상원의원(공화·아이오와) 등과의 라이브 대담에서 USAID를 폐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폐쇄에 동의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기자들에게 USAID에 대해 "일부 급진적인 미치광이들이 운영해왔다"며...
"미국산 위스키는 안 팔아요"…캐나다선 '바이 캐나다' 운동 2025-02-03 17:45:35
조치에 나섰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캐나다는 꿀, 토마토, 위스키, 냉장고 등 총 1500억캐나다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 관세를 매길 방침이다. 캐나다가 보복 관세를 천명한 품목에는 공화당 강세 지역인 테네시산 위스키, 켄터키산 땅콩, 트럼프 대통령 자택인 마러라고...
'트럼프발 관세전쟁'에 인도는 관세 인하…"보호주의 원치 않아" 2025-02-03 17:28:13
나선 것은 미국으로부터 관세 보복을 당할 것을 우려해 선제 조치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2023∼2024 회계연도 기준 양국 간 무역 규모는 1천180억 달러(약 173조원)를 넘었고, 인도는 320억 달러(약 47조원)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번 대선...
'법원 100번 출석' 이재용, 결국 무죄…"이젠 업무 전념할 수 있길" 2025-02-03 16:47:29
라 인식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보고서가 이 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해 조작됐다는 검찰 주장도 인정하지 않았다. 재판부는 "합병비율 적정성 검토보고서 작성은 (딜로이트) 안진의 제안으로 시작됐고 삼성 측이 주가 기준 합병비율에 맞출 것을 요구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안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