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역사의 모든 페이지엔 바다가 있다 2021-06-17 18:16:18
‘해안 지역’에 거주한다. 문명사적으로 바다가 중요한 것은 바다가 인류문화의 주요한 원천이라는 점이다. 바다는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니고, 모두에게 자유로운 접근권을 보장했기에 모험과 용기, 선택, 자유라는 가치를 잉태했다. 현실적으로도 바다를 통해 유례없는 규모로 물자와 정보가 오가고, 어업과 관광, 해저...
"北도 이 정도로 미치지는 않았다"…탈북 여대생의 분노 2021-06-15 15:01:32
특히 "문명사회의 퇴보처럼 느껴진다"고도 했다. 이어 "미국사회가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 고민해봤다. 이제 법치주의도, 도덕도 없는 완전한 카오스 상태"라면서 "모든 걸 파괴하고 미국을 공산주의 천국으로 재건하는 걸 (명문대학들이) 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씨는 13살이었던 2007년 어머니와 함께 압록강을 넘어...
[한경에세이] 금융과 예술 2021-05-30 17:49:52
메신저의 대명사가 되기도 한다. 문명사에서 금융은 예술만큼이나 긴 역사가 있다. 두 분야는 상반되고 함께 사용되기 어려울 것 같으나,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상생과 공존의 틀 내에서 함께 했다. 우리는 예술을 말할 때면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던 르네상스 시대를 떠올리곤 한다. 이탈리아 피렌체는 그 시대의 모습을...
[보이는 경제 세계사] 자유의 여신상이 푸른 빛을 띠는 이유는 2021-05-10 09:00:18
7000년의 문명사에서 가장 널리 쓰인 실용적인 금속이다. 이런 특성 덕에 구리는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됐다. 무른 금속인 구리는 주로 합금해서 이용했다. 구리에 주석을 섞으면 청동이지만 아연을 섞으면 황동이 되고 니켈과 합금하면 백동이 된다. 구리의 내부식성(부식에 저항하는 성질)은 배를 만들 때...
"中 고대사 다시 쓸 수도"…쓰촨성서 3000년 전 황금가면 발견 2021-03-21 17:37:03
다만 이번에 출토된 대규모 유물은 중국 문명사가 이같은 전통적 관념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은 이처럼 새롭게 조명받는 싼싱두이 문화를 자국의 역사와 문화의 일부로 포섭하는 학술 작업에 나설 수도 있다. 중국은 현재 주류로 간주하는 한족 외 다른 소수 민족의 역사를 적극적으로 중국의 역...
"중국사 다시 써야 할 수도"…쓰촨서 3천년전 황금가면 출토(종합) 2021-03-21 16:22:22
유적에서 쏟아진 대규모 유물은 중국 문명사가 전통적 관념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중국은 이처럼 새롭게 조명받는 싼싱두이 문화를 자국의 역사와 문화의 일부로 포섭하는 학술 작업에 나설 수도 있다. 중국은 주류로 간주하는 한족(漢族) 외 다른 소수 민족의 역사를 적극적으로 중국의 역사로...
[책마을] 대륙서 우주까지…원정이 만든 '인류 발전' 2021-03-18 17:28:47
설명한다. 인간의 탐험 욕구는 인류 문명사에도 영향을 줬다. 자원이 빈곤하고 척박한 약소국이었던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15세기부터 대항해를 통해 식민지를 건설하고 금·은을 채굴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반면 1400년대 초까지 앞선 해군력과 최고의 기술력을 지녔던 중국은 정화의 원정 이후 보수 유학자들에...
"중국 고대 무덤서 2천700년 전 술…동아시아 最古 과일주" 2021-03-18 16:41:43
전통문화에서 술은 중요한 부분으로, 수천 년 중화문명사에 술잔 등 술 관련 유물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술은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출토되는 경우가 매우 적고, 밀봉된 용기에 담겨있던 소량만 있어 귀하다"고 말했다. 또 "(이번 발견으로) 진(秦)나라 이전 시기 중국 과일주 연구의 공백을 메웠다"고 평가했다. 이와...
이광형 KAIST 총장 "AI시대 나침반 역할…한국 대표포럼 될 것" 2021-03-17 17:24:04
문명사의 관점에서도 대변혁이 아닐 수 없다. 만물의 영장으로 유아독존적 지위를 수십만 년 동안 누려온 호모사피엔스가 경쟁적인 지능을 가진 존재를 어떻게 수용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AI는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가장 기본이 되는 알고리즘 개발이다. 여기에는 튼튼한 수학적인 밑바탕이 있어야...
조선보다 13년 먼저 외세 맞닥뜨린 일본, 무엇이 달랐나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1-03-14 15:39:21
문명사적인 의미와 정치적인 역할을 모른 채 박해했으며, 1866년에 병인양요, 1871년에 신미양요를 겪은 후에도 승전이라고 백성들을 기만하면서 자기 권력 강화에 이용했다. 가정해 본다. 만약 조선의 지식인들이 현실과 백성들을 생각하고, 개방을 개혁과 발전의 호기로 판단하면서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