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올해 노벨상 'AI 시대' 활짝…물리 이어 화학상 2관왕 이변 2024-10-09 21:02:52
맞은 노벨상 무대에서 인공지능(AI) 연구 분야가 물리학상에 이어 화학상까지 2관왕을 거머쥐면서 본격적인 AI 시대 개막을 알렸다. 9일(현지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화학상 발표에서 구글 AI 딥마인드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48) 등 3인방을 선정했다. 이에 따라 과학계 노벨상 3개 부문 중 7일 발표된...
컴퓨터와 AI가 밝혀낸 단백질 구조…모든 생명현상 비밀 풀 열쇠 2024-10-09 20:27:28
문제는 잠재력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석 교수는 물리학상에 이어 화학상도 AI 분야가 받은 것에 대해 1900년대 과학 분야 발전을 이끈 양자역학의 태동에 비유하며 AI가 수학이라는 과학의 도구를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석 교수는 "1900년대 초 양자역학으로 수많은 노벨 물리학상이 나왔는데,...
노벨 화학상도 AI…단백질 비밀 풀어낸 '알파고 아버지' 등 3인(종합) 2024-10-09 20:00:22
전날 노벨 물리학상을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AI 머신러닝(기계학습) '대부' 2인이 거머쥐는 등 올해 노벨상에서는 AI 분야가 휩쓰는 분위기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이 같은 공로로 세 사람을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베이커는 미국 생화학자이자 워싱턴대학교 교수다....
제프리 힌턴 교수 "韓, AI격차 줄일 길은 기초연구 강화뿐" 2024-10-09 19:59:21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컴퓨터공학과 명예교수(사진)는 한국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캐나다는 호기심 중심의 기초연구를 잘 지원해 많은 AI 인재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AI산업은 미국과 중국의 빅테크가 독식하는 구조로 굳어지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노벨 화학상도 AI가 접수…'알파고 아버지' 등 3인 공동수상 2024-10-09 19:57:34
노력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는 노벨 물리학상에 이어 노벨 화학상도 AI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했다. 글로벌 산업 지형을 완전히 바꾸는 AI 시대가 활짝 열렸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날 발표된 물리학상은 인공신경망(ANN)을 개발해 딥러닝과 GPT4 등 생성형 AI가 등장하게 한 AI 선구자인...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116회 걸쳐 195명 영예 2024-10-09 19:19:43
공적으로 1903년 남편 피에르 퀴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뒤 두번째 노벨상 수상이었다. 퀴리 부부의 딸인 이렌 졸리오퀴리도 1935년 어머니의 뒤를 이어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공동 수상자인 남편 프레더릭 졸리오는 당시 35세로 지금까지 최연소 노벨 화학상 수상자다. 최고령 수상자는 리튬 이온 배터리 발전...
[2보] 노벨 화학상에 '구글AI 딥마인드' 허사비스 등 3인 2024-10-09 18:58:30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인공지능(AI) 머신러닝(기계학습)의 기초를 확립한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턴이 선정됐다. 노벨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생리의학·물리·화학·문학·경제상)과 노르웨이 오슬로(평화상)에서 열린다. k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제프리 힌턴 "AI가 인류 지배하는 공상과학 영화, 20년 안에 현실 될 수 있다" 2024-10-09 18:08:46
그가 지난 8일 올해 노벨물리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된 것은 과학계에서 하나의 ‘사건’으로 평가된다. 순수과학이 아닌 응용과학에 물리학상이 돌아간 것부터 이례적이고, AI 전문가가 노벨상을 받은 것은 사상 최초다. 인터뷰는 수상자 발표 직전 서면으로 이뤄졌다. AI 위험성 고발하는 ‘AI 대부’힌턴 교수에게는 두...
올해 '노벨물리상' 힌턴 기조연설 2024-10-09 17:52:26
명사가 참석했습니다. 올해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AI의 대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컴퓨터공학과 명예교수, 칼리 피오리나 전 휴렛팩커드(HP) 최고경영자(CEO), 유홍림 서울대 총장, 수바시스 차우두리 전 인도공과대 뭄바이 총장 등이 참석해 AX의 의미와 미래 인재상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입니다. 주최 :...
[천자칼럼] 노벨과 힌턴의 후회 2024-10-09 17:42:05
노벨물리학상은 인공 신경망으로 머신러닝의 기초를 세운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이 중 ‘인공지능(AI)의 대부’로 불리는 힌턴 교수는 지난해 돌연 구글을 떠나면서 “그동안 내가 한 AI 연구에 대해 후회한다”고 밝혀 충격파를 안겼다. 구글과 결별한 이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