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창용 "금리 연 1~2%로 낮아질 가능성 작다" 2023-08-24 18:13:46
미시적 규제를 조정해야 할 때”라고 했다. 또 “미시적 대책을 통해 조정한 후 부족하다면 거시적인 정책도 생각하겠다”며 “가계부채 상황을 연착륙시키는 것이 한은 총재가 된 이유 중 하나”라고 했다. 정부가 규제를 강화해도 가계부채가 늘어나면 금리 인상 등을 통해 대응할 것이란 의미로 파악된다. 한은은 이날...
“금통위, 7월보다 덜 매파적...연내 기준금리 동결" 2023-08-24 17:00:39
"현재의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대응에는 미시적 대응이 우선이라는 점, 미국 통화정책 기조에 비독립적이지만, 시기는 다를 수 있다는 점, 타국 대비 한국 물가는 안정적이란 점에서 근거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총재는 경기 전망의 지속적 하향으로 조금씩 성장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한다는 점을 크게 부인하지 않았다"며...
[일문일답] 이창용 "가계부채 연착륙, 내겐 한은 총재 된 이유" 2023-08-24 13:45:00
등 미시적 정책이 먼저고, 그다음이 거시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며 "지금은 (거시정책을 쓸)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빚을 내 부동산 투자하는 젊은 세대를 향해서도 "금융비용이 한동안 지난 10년처럼 거의 0%, 1∼2% 정도로 낮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지 고려하며...
이창용 "젊은 세대, 인플레 몰라…부동산 투자 조심하시라" 2023-08-24 12:43:57
미시적 규제를 조정해야할 때"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부동산 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해 했던 각종 규제완화 조치들을 거둬들여야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그러면서 "미시적 대책을 통해 조정한 후 부족하다고 하면 거시적인 정책도 생각하겠다"고 덧붙였다. 규제를 강화해도 가계부채가 늘어날 경우 금리 추가인상 등을...
이창용 "가계부채 증가 금융안정 저해…일단 미시정책으로 조정" 2023-08-24 11:32:16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목표로 여러 미시적 규제완화 정책을 하면서 기대하지 않은 효과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몇 달 더 (가계부채가) 증가할 수 있지만 GDP 대비 비율이 높아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지금은 미시정책을 통해서 가계부채 흐름을 조정해보고, 이후에도 시장 반응이 부족할...
[속보] 한은 총재 "가계부채, 우선 규제 미시적 정책으로 관리" 2023-08-24 11:21:44
한은 총재 "가계부채, 우선 규제 등 미시적 정책으로 관리"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속보] 한은 총재 "가계부채, 우선 규제 등 미시적 정책으로 관리" 2023-08-24 11:21:07
[속보] 한은 총재 "가계부채, 우선 규제 등 미시적 정책으로 관리"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지스의 공간생각] 부동산펀드와 리스크 관리 2023-08-16 15:53:16
할 요소 또한 다양해진다. 미시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관점의 리스크 관리도 필요하다. 다양한 헤지(hedge) 수단을 마련해도 정작 리스크가 현실화됐을 때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담보가 있는 대출에 투자하더라도 시장이 추락하는 경우 담보 가치가 급락하는 등, 투자 대상과 헤지 수단...
'금리동결' 금통위원들 "근원물가 높고 비은행권 불안요인 잠재" 2023-08-01 16:57:47
부문에 미시적·선별적으로 대응 가능한 반면 통화정책은 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면서 "금융불균형에 대해서는 통화정책보다는 우선적으로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위원은 "정책대응에 앞서 우리나라 민간부문 부채 누증의 원인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분석과...
美 지방은행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사고 잦은 한국 금융사에 주는 시사점은?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2023-07-24 07:40:58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미시적으로 발생하는 파산 등을 막기 위해서도 금리를 내리거나 유동성을 공급해 줘야 한다. 문제는 최근처럼 인플레가 잡히지 않는 여건에서는 ‘볼커의 실수’를 저지를 확률이 높아 실행에 옮기기는 쉽지 않다는 점이다. 볼커의 실수란 1980년대 초 스테그플레이션을 맞아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