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중국 앱 보안 우려에도…바이트댄스 '틱톡' 국내서 승승장구 2025-02-19 05:31:01
중국 앱 보안 우려에도…바이트댄스 '틱톡' 국내서 승승장구 틱톡·틱톡라이트 월간사용자, 페이스북 일찌감치 추월 (서울=연합뉴스) 김경희 기자 = 딥시크의 국내 사용자 정보가 흘러들어간 것으로 확인된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이 갖은 잡음에도 국내에서 빠르게 입지를 굳히고 있는 것으로...
"LG 창업주 손자, 韓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 센터 건설 추진" 2025-02-19 04:38:07
데이터센터 관련 리서치 업체인 DC바이트(DC Byte)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담당 연구 매니저인 징웬 옹은 "비용을 절감하고 신속하게 건설할 수 있다면 한국 데이터 센터가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taejong7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시진핑 좌담회가 뭐길래…'시총 3.5조' 증발했다 2025-02-18 16:47:24
큰 낙폭을 보였다. 시가총액은 전 거래일에 비해 24억달러(약 3조5천억원)가 증발했다. 전날 바이두가 자사 대형언어모델(LLM) '원신'에 딥시크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지만, 주가 하락을 막지 못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장이밍 창업자의 모습도 좌담회 행사장에서 보이지 않았다....
딥시크가 유출한 데이터, 혹시 내 개인정보?…커져가는 우려(종합) 2025-02-18 16:40:08
우려(종합) 개인정보위, 中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로 이용자 입력정보 전송 파악 전송 데이터 종류·수량·이유 등 확인 중…동의 없는 제공은 '위법' 해외AI사 국내 출시前 가이드 제시·해외사업자 대상 집행력 강화 등 추진 (서울·베이징=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정성조 특파원 =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바이두 리옌훙, 시진핑 좌담회 불참…시총 3조5천억원 증발(종합) 2025-02-18 16:16:23
로이터에 따르면 틱톡(TikTok)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장이밍 창업자의 모습도 좌담회 행사장에서 보이지 않았다. 부동산 분야 거물들이 완전히 배제된 점도 눈길을 끈다. 시 주석이 2018년 11월 집권 후 처음 민영기업 좌담회를 열었을 당시 완커(萬果·Vanke)와 헝다(恒大·에버그란데),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 등...
"中포털 바이두 리옌훙, 시진핑 좌담회 불참"…업계 우위 상실? 2025-02-18 10:17:04
대형언어모델(LLM) '원신'에 딥시크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지만, 주가 하락을 막지 못했다. 한편, 바이두는 18일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틱톡(TikTok)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장이밍 창업자의 모습도 좌담회 행사장에서 보이지 않았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한 달에 22억 시간”...유튜브에 빠진 대한민국 2025-02-17 17:52:50
일평균 1만테라바이트(TB)를 기록한뒤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 다. 지난 4분기의 경우는 일평균 1만6498TB로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했다. 1만TB는 20억장의 사진, 4K 카메라 촬영 영상 6667시간분을 저장할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다. 독보적인 트래픽 1위인 유튜브다. 모바일인덱스 통계 기준 지난달 사용자수가...
'틱톡 모기업에 정보전송' 딥시크, 국내 신규 서비스 중단 2025-02-17 16:46:23
보안업계에선 딥시크가 중국 국영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의 서버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개인정보위의 이번 자체 분석에서도 일부 이용자 정보가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로 넘어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다만 개인정보위에선 해당 내용이 개인정보인지, 해당 정보...
'아세안 데이터센터 허브'로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2025-02-17 16:29:52
밝힌 금액이다. 이들 말고도 에퀴닉스, 욘더, 케펠 DC, 바이트댄스, NTT 등 미국, 싱가포르,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앞다투어 말레이시아로 몰려들고 있는 모양새다. 말레이시아 전력공사(TNB)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데이터센터 규모는 2023년 122㎿에서 작년 474㎿로 4배가량 성장했으며, 2028년...
트렌드포스 "올 하반기 낸드 가격 회복…메모리 감산 덕분"(종합) 2025-02-17 16:28:50
비용을 절감시킨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관련 중소기업들이 30테라바이트(TB) 이상의 저장장치를 선호하면서 기업용 SSD의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 이 밖에도 개인 컴퓨팅과 스마트폰에서 AI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고용량·고성능 PC SSD와 모바일 기기의 저장장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burning@yna.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