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산업단지 혁신 민간이 이끈다…'자율형 산학연협의체' 출범 2021-02-19 06:00:00
이에 올해부터는 기업주도의 자율형 산학연협의체로 개편하게 됐다. 이번에 새롭게 지정된 79개 자율형 산학연협의체는 기업 2천935개, 대학 299개, 연구소 167개, 지원기관(지자체·컨설팅 기관) 472개로 구성됐다. 회원 수는 총 3천873명이다. 분야는 소재·부품·장비 30개, 자동차·조선 22개, 항공·바이오 9개,...
'경북형 新산업' DNA 심어 산업도시 구미·포항 되살린다 2020-10-20 15:18:38
참여해 세계 최고의 비접촉 비파괴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에 나섰다. 이재열 연구소장은 “사업화에 성공하면 최대 2000억원의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상북도와 구미시가 추진한 홀로그램 예타사업이 구미 경제의 체질개선과 기업유치, 기존 중소기업의 미래신산업 발굴과 밀접히 연관돼 있음을 보여주는...
3년 만에 매출 10배 뛴 中企 뒤엔…구미전자정보기술원 컨설팅 있었다 2020-10-20 15:07:21
기업협의체도 지난해 발족시켰다. 매출 500억원 이상인 30개 중견기업이 모인 구미중견기업협의체(GLCC)로 구미 혁신의 민간 구심체다. 구미신전자사업 융합얼라이언스로 신성장 아이템을 발굴하고 시장에서 요구하는 R&D를 주도한다. 평판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인 드라이브IC와 광케이블(AOC) 커넥터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경북 新산업 발굴…구미서만 히든챔피언 120개 키운다 2020-10-12 17:34:34
발표한다. 구미는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생산기지 해외·역외 이전 이후 대기업 하도급 물량이 급감하면서 위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박 원장은 “이제는 중견·중소기업이 중심이 돼 자립형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미시와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은 신전자산업을 주도할 매출 500억원 이상...
핵심장비 국산화로 초격차 지킨다…디스플레이 업계 '맞손' 2020-10-05 11:00:02
위한 '디스플레이산업 연대와 협력 협의체'를 발족했다. 산업부는 2018년 2월 구성된 민·관 공동 반도체·디스플레이 상생발전위원회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로 각각 분리한 뒤 30여개 디스플레이업계가 참여하도록 확대 개편해 이번 협의체를 구성했다. 발족식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034220] 등...
이재용 'K칩 시대' 선언…반도체 '소·부·장 생태계' 키운다 2020-06-25 17:22:23
필요한 레이저 장비를 같이 만들어 봅시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요한 레이저 장비 업체인 이오테크닉스의 성규동 대표는 2011년 9월의 일이 생생하다. 삼성전자가 그때까지만 해도 100% 수입에 의존하던 반도체 증착공정 장비를 함께 개발해 보자고 먼저 제안했기 때문이다. 증착공정은 반도체 웨이퍼에 분자 ...
소부장 경쟁력 강화 본격 시동…100대 핵심 전략기술 선정 2020-05-13 17:00:00
거쳐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기계·금속. 전기·전자, 기초화학 등 6대 분야에서 100대 기술을 추린다. 특화선도기업은 총 100개를 선정하되 신청 기업의 역량, 기술의 중요도와 시급성 등을 고려해 몇차례에 걸쳐 진행한다. 특화선도기업에는 연간 최대 50억원의 대규모 R&D를 자율 방식으로 지원한다. 고난도...
일본 수출규제 계기 산업부에 '무역안보정책관' 신설 2020-04-28 11:00:00
지난해 7월 일본이 한국을 대상으로 단행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수출규제를 계기로 정부 조직 내 무역안보 기능이 강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행정안전부는 무역안보 업무를 전담하는 무역안보정책관 신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산업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2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으...
삼성전자, 발빠른 재택근무·자가문진표 도입…1인당 年 19시간 안전교육 2020-03-16 15:12:34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 전자 계열사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작년 3월 29일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부품연구동(DSR)에서 행사를 열었다. 환경안전부서 책임자 등 주요 경영진과 임원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안전한 사업장을 구축하기 위한 의지를 다졌다. 김 부회장은 “환경안전문화는 비용과 지출의...
'소·부·장 연구' 국가연구실에 재료연 연구실 등 12곳 지정 2019-12-11 14:00:01
소속 연구실과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긴급 공정 지원이 가능한 나노팹시설이 대상이다. 2차 지정부터는 대학과 전문연구소 등으로 지정 대상 범위를 넓히고 국가연구협의체(N-TEAM)도 지정한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최기영 장관은 지정식에서 "국가연구실과 국가연구시설이 핵심기술 개발과 테스트베드 지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