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나노과학·RNA·노화…기초과학연구원 콘퍼런스 '풍성' 2018-06-14 14:02:02
14일 IBS에 따르면 올해 콘퍼런스는 유전체 항상성, 나노과학, 복잡계 분자 인지와 이미징, 불활성 중성미자, 혈관 생물학, RNA, 노화와 생애주기 등을 주제로 다룬다. 17∼19일 경주 대명 리조트에서 개최하는 'IBS-한국 분자·세포 생물학회 유전체 항상성 및 세포 주기 콘퍼런스'가 시작이다. DNA 이중나선 복구...
[다산 칼럼] '국가개입주의' 덫에 갇힌 문재인정부 1년 2018-05-07 17:52:51
그 자체가 복잡계이기 때문에 설계자 의도대로 전개되지 않는다.역사적 경험에 의하면 장기적으로 경제성과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에 기초해 어디를 지향하는가’이다. 제도와 철학이 관건이다. 시대 퇴영적인 국가개입주의를 벗어야 한다. 국가가 고용주일 수는 없다.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일자리 플랫폼을...
세포 내 단백질 더 쉽게 살핀다…염색 신기술 개발 2018-04-27 18:00:00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이 세포나 세포 소기관 특정 단백질을 자유롭게 형광 염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세포 내 단백질은 자극이나 환경에 따라 그 기능을 조절하면서 세포 생존에 관여한다. 특정 단백질의 고유한 역할을 이해하려면 원하는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기초과학 연구의 산실' IBS, 내일 본원시대 개막 2018-04-19 12:00:05
걸렸다. 이론동에는 순수이론물리연구단과 복잡계이론물리연구단이 입주했고, 실험동에는 지하실험연구단이 자리 잡았다. 인지및사회성연구단과 유전체교정연구단도 추가로 실험동에 들어올 예정이다. 아울러 '과학'을 매개로 대전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3층짜리 과학문화센터에는 과학도서관, 홍...
피부 탄력 3차원으로 확인한다…형광 물질 최초 개발 2018-03-30 01:00:00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장영태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부연구단장(포스텍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엘라스틴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형광 물질 '엘라니르'(ElaNIR)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피부 나이를 결정하는 탄력도는 엘라스틴이라는 신축성 있는 단백질이 관여한다. 피부 속 엘라스틴양이 부족하면 주름이...
근적외선 레이저 활용 체내 항암제 조절 기술 개발 2018-03-05 12:00:10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단장 김기문 포스텍 교수)이 근적외선 레이저를 쏴 항암제 방출 정도를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항암치료에서 어려운 점은 정상 세포가 아닌 암세포에만 항암제 효과를 낼 수 있는지다. 강한 항암제가 정상 세포에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원하는...
형광 분자 결합 쌍으로 알츠하이머 치료 길 연다 2018-02-20 12:00:14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단장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이 강력한 형광 분자 결합 쌍을 이용해 세포 자가 포식에 관여하는 세포 내 소기관 움직임을 관찰했다고 20일 밝혔다. 세포 자가 포식은 말 그대로 '세포가 자기 살을 먹는다'는 뜻이다.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외부에서 미생물이...
항암 효과 있는 종양 줄기세포 탐지기 개발 2018-02-07 12:00:07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장영태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부연구단장(포항공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종양 줄기세포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형광물질 'TiY'(Tumor initiating cell probe Yellow)를 발견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아울러 이 물질에서 암 재발이나 전이를 막는 항암 치료...
인하대 이재우 교수, 글로벌 경제위기 물리학으로 분석 2018-02-01 16:20:53
이번 연구는 통계물리학과 복잡계 과학의 연구방법을 주식시장과 같은 경제 시스템에 적용해 이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 경제·사회 현상, 생태계, 비선형 동력학 시스템뿐 아니라 시스템 리스크를 이해하는데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대학 측은 전했다. 이 교수는 "복잡계 과학 이론을...
"김빛내리·현택환·오용근 단장팀 연구, 세계적 수준" 2017-12-21 12:00:30
복잡계자기조립·RNA·강상관계물질 연구단 등 9개였다. 평가는 해외석학들이 다수 포함된 평가단이 연구실을 직접 방문하고 서류를 검토하는 과정으로 이뤄졌다. 필즈상 수상자인 에핌 젤마노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주립대(UCSD) 교수, 허버트 예클레 독일 막스플랑크협회 전 부회장 등 해외 석학 37명과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