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주요 금속에 꼽히는 아연, 어떻게 인체 면역을 강화할까 2022-04-09 14:30:45
사람한테 조혈모세포를 이식한 것처럼 조작한 생쥐 모델 실험에서 비슷한 결과를 확인했다. 이 메커니즘의 핵심은, 주요 재생 인자를 분비하는 세포 주변의 아연 수위 변화였다. 다시 말해 아연 수위가 올라가면 흉선에 자극이 가해져 재생 과정이 촉발됐다. T세포는 발달하는 동안 아연을 축적했다. 그런데 방사선 조사 등...
베트남서 '비강 스프레이' 코로나 백신 임상 시험 2022-04-03 11:25:32
현재까지 분사식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제약사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중국 및 러시아 제약사 등 소수에 불과하다. 또 아직 임상이 진행 중이어서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브리티시콜럼비아대와 코넬대 연구진은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비강 분사식 백신이 코로나 감염 치료에 효과를 보였다고 밝힌 바...
남성용 비호르몬 경구 피임약 개발 2022-03-24 09:07:32
생쥐들에 이 피임약을 투여하자 이 단백질의 기능이 차단되면서 생식기능이 멎었으며 투여를 중단하자 4~6주 후 생식기능이 다시 회복됐다. 연구팀은 생쥐 수컷에 4주 동안 이 피임약을 경구 투여했다. 그러자 정자의 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99% 피임 효과가 나타났다. 부작용은 없었다. 연구팀은 금년 3/4분기 또는...
길무역, `앤슬리 브램블리 헷지 타이블웨어` 런칭 기념 프로모션 실시 2022-03-14 17:15:35
행복하게 살아가는 생쥐 가족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치열한 사회 경쟁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따뜻한 마음과 안식, 힐링을 주며 전 세계적으로 4백만 부 이상 판매를 기록했다. 가장 대표적인 시리즈는 4계절의 이야기를 담은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이야기’로 이번에 런칭된 도자기 테이블웨어에도...
툴젠 “카스9 단백질 생성 mRNA 개발…기존 한계 극복할 것” 2022-01-26 11:37:01
진행한 A·B형 혈우병 생쥐 대상 동물실험에서 mRNA 및 LNP 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의 효능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E)급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최신호에 실렸다. 혈우병은 피가 멎지 않는 질환이다. 혈액응고인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현재 사용 중인 치료제는 반감기가 짧아...
툴젠, mRNA 기반 혈우병 치료제 연구성과 국제학술지 게재 2022-01-24 10:00:58
A·B형 혈우병 생쥐에게 mRNA 기반 약물을 체내로 전달해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간에서 발현하는 ‘안티트롬빈’ 유전자를 저해하는 유전자교정 치료제 개발을 연구했다. 기존 응고인자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생겨 치료가 어려운 환자를 포함, 거의 모든 혈우병 환자들이 치료대상이...
대나무가 주식인 판다, 통통한 몸매 유지 비결 알고 보니… 2022-01-19 21:25:10
죽순이 나는 늦봄에서 초여름에 채집된 판다 분면을 이식받은 생쥐가 같은 먹이를 먹고도 섬유질로 된 잎만 먹는 계절에 모은 분변을 이식받은 생쥐들보다 체중과 지방이 더 많이 늘어났다. 죽숙이 나는 계절에 판다의 장내에 '클로스트리듐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이라는 세균이 현격히 늘어나는데, 이런 ...
대나무 잎만 먹고도 통통한 판다 비결은 장내 미생물 2022-01-19 16:19:20
미생물 도움받아 죽순으로 지방 축적…생쥐 분변이식 실험으로 확인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입맛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대왕판다는 섬유질이 대부분인 대나무가 주식인데 어떻게 통통하고 건강한 몸을 유지할까? 중국 연구진이 야생 판다의 분변을 실험용 생쥐에게 이식해 장내 미생물군에서 답을 찾은 연구 결과를...
나쁜 놈 골라잡는 '면역세포'…mRNA기술 더해 심장병 치료 2022-01-14 17:19:42
연구팀은 이렇게 개발된 mRNA 기반 CAR-T를 심부전에 걸린 생쥐의 혈관에 주입한 결과 며칠 만에 완치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mRNA 기반 CAR-T는 수개월~수년 머물던 기존 CAR-T와 달리 1주일가량만 체내에 머무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미국 UCLA 관계자는 “면역 항암제를 다른 질환...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대동맥류 악화시킬 수도" 2022-01-07 10:15:04
이 생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만 실데나필을 물에 희석해(60~100mg에 상당) 매일 4주 동안 투여했다. 4주 후 실데나필이 투여된 생쥐 그룹은 투여되지 않은 대조군 생쥐들보다 복대동맥류 부위가 평균 37% 넓어졌다. 또 복대동맥류의 탄력 섬유(elastic fiber)가 50% 약화됐다. 이는 실데나필이 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