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반도체 위기에 8.8조 투하…보조금은 빠져 2024-10-16 17:42:42
/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 : 꼭 필요한 지원이 제때 안 들어가 줌으로 해서 우리가 갖고 있는 잠재적인 경쟁력을 계속 갉아먹고 있는 상황이 매우 문제이긴 해요.] 당장 우리 정부는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펑크가 난 상황에서, 국내 반도체 기업을 직접 지원하기엔 여력이 없는 게 사실입니다. 전문가들은 최고의...
"정부 파격 대책 없인…韓 반도체, 日 도시바처럼 몰락" 2024-10-14 17:41:46
장관,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 등이 대담에 참석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황 교수는 “중국의 반도체 기술은 아직 수준이 낮긴 하지만 D램 기준 세계 9%, 낸드는 13%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며 “중국이 급격히 치고 올라오는 상황에서 정부가 총력적인 지원을 하지 않으면 기업이 스스로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사설] 中 반도체 韓 추월론…세제 혜택보다 더 절실한 전력 지원 2024-10-14 17:40:16
충격적인 발언이 쏟아졌다.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는 주제발표에서 한국이 강점을 지닌 D램 분야에서 향후 5년 내 기술적 한계에 봉착할 것으로 진단했다. 그러면서 2032년 세계 반도체 생산능력 1위 자리를 중국에 뺏길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중국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위험이지만 방치한 탓에 후일 큰 화를...
역대 산업장관 "韓 반도체, 도시바·인텔처럼 몰락 가능성" 2024-10-14 16:58:13
불과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재료공학부)는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의 2D 스케일링에 기반한 DRAM 성능 향상 추세가 향후 5년 내 한계에 봉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D 스케일링이란 평면상 더 작은 크기의 부품을 집적하는 방식으로 D램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주로 활용됐지만, 최근 해당 방식의...
노벨 평화상·문학상 다음은?…韓 과학상은 언제쯤? 2024-10-14 16:57:56
권위자로 꼽히는 김빛내리 서울대 석좌교수를 비롯해 나노기술 분야 권위자인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시스템 대사공학 창시자인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특훈교수 등은 매번 후보자로 거론되곤 했다. 노벨 과학상 족집게로 평가받는 학술분석기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매년 발표하는 후보 명단에도...
[포토] 역대 산업부 장관 초청, 반도체 패권 탈환위한 특별대담 2024-10-14 16:27:57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 이창양 전 산업부 장관, 윤상직 전 산업부 장관,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 이윤호 전 지경부 장관, 성윤모 전 산업부 장관, 이종호 전 과기부 장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역대 산업부 장관 반도체 패권 탈환을 위한 초청 특별대담'이...
中저명학자 "해리스가 트럼프보다 더 중국의 부상을 더 꺼릴 것" 2024-10-14 14:52:51
시카고대 석좌교수인 존 미어사이머와의 토론에서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고 있고 미국이 1990년대처럼 세계를 지배할 수 없다"고 짚은 뒤 이같이 말했다. 중국 내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무자비한 대(對)중국 관세 폭탄을 공언하고 있으나, 조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을 이어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리스 부통령은 대중 고율...
"中 등 추격에 기로 선 韓 반도체, 보조금 등 실질적 지원 시급" 2024-10-14 14:00:02
이날 주제발표자로 나선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는 "현재의 2D 스케일링에 기반한 D램 성능 향상 추세는 향후 5년 내 한계에 봉착할 것"이라며 "수직구조 낸드플래시와 유사한 적층형 3D D램 구조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럴(D램 성능 향상 추세가 한계에 봉착) 경우 한국이 보유한 D램 분야...
제4차 브뤼셀 코리아 포럼…한-EU 협력안 논의 2024-10-09 21:58:00
VUB 한국 석좌 교수와 루이 시몬 VUB 외교안보전략 연구센터장, 엘레나 라자루 유럽의회 조사처 대외정책과장, 게오르그 리에켈레스 유럽정책센터 부센터장 등이 자리했다. 유정현 주벨기에 대사(EU·나토 대사 겸임)는 축사에서 "한국과 EU가 경제적 협력뿐 아니라 안보와 기술 분야에서도 연계가 강화되고 있다"며 양자...
디딤돌소득이냐 기회소득이냐…정책 경쟁 나선 오세훈·김동연 2024-10-09 17:59:55
셰퍼 미국 미시간대 포드스쿨 석좌교수와 만나 민생 회복을 위한 공공정책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셰퍼 교수는 빈곤·사회복지 정책 분야 석학으로 꼽히는 학자다. 경기도 관계자는 “두 사람의 만남은 김 지사가 석·박사 학위를 받은 미시간대 포드스쿨의 설레스트 왓킨스-헤이스 학장의 주선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