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지방 2017-03-21 15:00:07
성미자, 예상 영역에는 없었다 170321-0611 지방-0121 12:07 대전 홍도육교 지하화…주변 도로 33개월간 교통통제 170321-0613 지방-0122 12:10 이재오 "보수 단일화·제3지대론, 실체도 의미도 없어" 170321-0626 지방-0123 12:35 홍준표 "요즘 검찰은 바람이 불기도 전에 누워" 170321-0631 지방-0124 12:53 일본서 도난...
[ 분야별 송고기사 LIST ]-사회 2017-03-21 15:00:03
성미자, 예상 영역에는 없었다 170321-0609 사회-0217 12:00 의료 서비스 좋고 친절한 산재보험 병원은 어디? 170321-0608 사회-0216 12:00 한국-프랑스, 전자정부 협력 세미나 170321-0611 사회-0114 12:07 대전 홍도육교 지하화…주변 도로 33개월간 교통통제 170321-0615 사회-0115 12:12 박 전 대통령 오전조사 12시5분...
'암흑물질 후보' 제4의 중성미자, 예상 영역에는 없었다 2017-03-21 12:00:18
오유민 IBS 지하실험 연구단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비활성 중성미자의 검출 예상 영역을 좁혀, 앞으로 원자로를 활용한 중성미자 진동실험에 참고할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이날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김수봉 서울대 교수, 러시아 '브루노 폰테코르보상' 수상 2017-03-01 10:34:21
중성미자는 만물을 이루는 기본입자 중 하나로, 핵붕괴나 핵융합 과정에서 방출된다. 그러나 질량이 매우 작은 데다 빛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고 다른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도 하지 않아 '유령입자'로 불린다. 김 교수는 "40명의 국내 연구진과 같이 수행한 연구의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라면서도 "중국 연구진은...
노벨과학상 22명 내고도 '과학위기' 외치는 일본 2016-10-19 18:17:27
중성미자를 검출한 공로로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가지타 다카아키 도쿄대 교수(57)는 지난 18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고등과학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20년 뒤 일본에서 노벨상이 나오긴 어렵다”며 일본 과학계가 느끼는 위기감을 전했다.일본은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국내 노벨과학상 유력후보, 생리의학은 김빛내리·화학은 유룡" 2016-09-27 15:26:12
나노입자·리튬이온전지, 물리(15%) 분야에서는 나노과학·중성미자/ 암흑물질 실험 등 연구가 노벨상을 받을 것으로 봤다. 연구자들은 노벨상을 받으려면 '한가지 연구주제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48%)이가장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도전적이고 모험적인 연구주제 지원'(17%), '과학기술정책의...
"국내 노벨과학상 유력 후보는 김빛내리·유룡 교수" 2016-09-27 14:00:16
화학(20%) 분야는 나노입자·리튬이온전지, 물리(15%) 분야에서는 나노과학·중성미자/ 암흑물질 실험 등 연구가 노벨상을 받을 것으로 봤다. 한국인이 최초로 노벨과학상을 수상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ƌ∼10년'이라고 답한 연구자들이 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ཇ∼15년'(23%), ཌ∼20년'...
우주의 비밀 밝힐 '암흑물질' 연구백서 발간 2016-09-08 13:55:00
중성미자 등에 대해 다룬다. 이어 암흑물질 실험 편에는 국내에서 진행 중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암흑물질 후보물질인 '액시온'(Axion) 검출 실험과 '중성미자' 검출 실험,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강입자가속기'(LHC) 실험과 새롭게 시도할 'SHiP'(Search for Hidden Particles)...
김현수 세종대 교수 '중성미자 질량차 측정' 연구에 기여 2016-07-22 14:35:15
중성미자 가운데 가장 가벼운 것과 가장 무거운 것의 질량 차이를 측정해냈다. 이 질량 차이는 전자 질량의 약 10억분의 1 정도로 매우 작다.매우 어려운 것으로 평가받아 온 중성미자의 질량 차이 측정에 성공함에 따라 절대 질량을 밝히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 의미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물리학 분야 유명 해외학술지...
후쿠시마 대지진 5년…'재난과학 실험장'된 일본 2016-03-06 19:56:41
중성미자인 뮤온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뮤온은 물질의 밀도에 따라 흡수되거나 산란하는데, 뮤온 촬영기법을 이용하면 철이나 콘크리트보다 더 밀도가 높은 우라늄 연료봉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도쿄전력은 지난해 쓰쿠바의 일본 고에너지가속기연구소가 제공한 뮤온 검출기를 원전 1호기 근처에 설치해 연료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