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세포 골격 조절 단백질 구조·작용 메커니즘 첫 규명 2017-01-15 09:00:10
세포 골격 조절 단백질 구조·작용 메커니즘 첫 규명 GIST 엄수현 교수 "전이억제 항암제·퇴행성 신경질환 치료 기여" (대전=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거나 운동, 세포분열 등 생존에 관여하는 새로운 세포 골격 조절 단백질(EFhd2)의 구조와 작용 메커니즘을...
건국대 연구팀, 노인 실명 '황반변성' 발병 메커니즘 규명 2017-01-11 15:24:42
케라틴8은 세포 내 중간 섬유 중 하나로 세포의 골격 유지뿐만 아니라 세포 내 소기관의 위치와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황반변성 질병 마커인 케라틴8과 황반변성과의 병리학적 연관성 검증 연구에서 케라틴8이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된 망막색소상피세포를 '자가포식'이라는 대사작용을...
임산부, 천연 원료 종합비타민영양제ㆍ오메가3 올바른 섭취방법은? 2016-12-08 13:54:06
한 알에 균형 있게 공급한다. 엽산은 세포와 혈액 생성을 담당하는 영양소로, 임산부는 임신 전부터 엽산을 충분히 섭취해야 태아의 신경관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임산부에게 엽산이 부족할 경우 태아는 기형이나 유산, 조산될 위험이 커진다. 철분은 임산부 빈혈을 예방한다. 임신을 하면 모체의 혈액량이 급격히...
'단백질 간 상호작용 조절' 신약후보물질 합성법 개발 2016-10-24 10:55:45
치료제 기대" 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 핵산의 기본구조인 피리미딘(pyrimidine)을 재조합해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암이나 면역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물 후보물질 합성법을 개발했다.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은 24일 피리미딘 구조를 재조합해 기존에 얻지 못했던 다양한...
세포 이동방향 결정하는 단백질 발견…암 전이 연구 2016-08-22 13:58:31
분석한 결과, PLEKHG3 단백질이 세포 진행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PLEKHG3는 소형 GTP 결합 단백질을 활성화함으로써 세포의 골격을 이루는 액틴섬유를 만드는 것으로 관찰됐다. 이 액틴 섬유들이 그물망으로 결합해 지느러미 같은 모양을 만들며 앞으로 나아가는 원리이다. 연구팀은...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원리 밝혀 2016-05-30 12:00:30
내 액틴(세포 골격 구조)에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시냅스는 하나의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느냐 억제하느냐에 따라흥분성 시냅스와 억제성 시냅스로 나뉜다. 흥분성 시냅스는 시냅스 수상돌기의 가시에 생성된다. 연구팀은 nArgBP2의 발현에 이상이 생긴 신경세포는 액틴의 활성을 비정상적으로...
녹십자 헌터증후군 치료제 미국서 임상 2상 2016-04-12 18:15:32
등지에 수출돼 약 2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헌터증후군은 세포의 소기관 중 하나인 리소좀 내 ‘ids’ 효소의 부재와 결핍으로 골격 이상, 지능 저하 등 예측하기 힘든 각종 증상을 보이는 질병이다.허은철 녹십자 대표는 “글로벌 의약품으로 도약하기 위해 미국 fda 임상을 시행하고 있다”고...
녹십자, 헌터증후군 치료제 美 임상2상 승인 2016-04-12 10:08:13
수출되며 200억원대의 매출을 올렸다.헌터증후군은 세포의 소기관 중 하나인 리소좀 내 'ids'라는 효소가 없거나 결핍돼 글로코사미노글리칸이 비정상적으로 세포에 축적되는 유전병이다. 이 때문에 골격이상, 지능 저하 등의 각종 증상을 보이다가 심할 경우 15세 전후에 사망한다. 희귀질환인 만큼 국내 환자는...
우리 아이 키 성장, 겨울방학이 최고의 찬스! 2015-12-23 13:18:48
시금치는 아이들의 골격 형성과 내장기관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음식이다. 대표적으로 키 크는 운동인 농구는 점프를 하여 슛을 하거나 공을 잡는 과정에서 신체에 자극이 발생하고 세포분열을 시키면서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달리며 전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키 크는 운동에 적합하다....
5감 만족의 5성급 테라피를 꿈꾸며… 2015-12-17 10:31:50
오일은 상처 치유와 재생촉진, 항암, 소염, 세포재생, 호르몬에 의한 감정 조절 등 폭넓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주의할 점은 강한 화학 향은 임신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폐쇄된 공간에서의 강한 향 역시 뇌구조의 교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에센셜 오일의 사용을 권장한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