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LH, 초절수형 양변기 임대단지에 시범적용 2017-11-21 16:26:00
있습니다. 가정용 양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세대 전체 사용량의 15%에 달합니다. 6리터 양변기를 3.5리터 양변기로 교체해도 세대 전체 사용량의 10%를 절약할 수 있고, 상하수도요금은 연간 2만원이 절감됩니다. 또 8~14리터를 사용하는 수도법 개정이전의 노후 양변기를 교체할 경우, 우리나라 전체 급수량의 5%를...
국내 물 부족 현상, 기업·가정의 해법은? 2017-11-10 14:34:54
환경부는 수도법을 개정해 신축된 건축물, 공중화장실, 체육시설 등 공공시설에 절수설비를 설치하도록 하는 등 절수기 설치 의무대상을 확대하고 그 기준을 강화했다. 그렇지만, 정부의 활발한 추진과 달리 절수설비가 대중적으로 설치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큰 제약이 존재한다. 대부분 절수설비는 절수형으로 생산된...
평택-용인·안성 38년 '상수원 갈등' 내달 2일 결론 2017-11-10 10:09:46
등 개발사업이 엄격히 제한됐다. 수도법에 따라 취수지점으로부터 7㎞ 이내는 폐수방류 여부와 관계없이 공장설립이 불가능하고 7∼10㎞ 구역은 폐수를 방류하지 않는 시설에 한해 평택시의 승인을 받아야 설립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용인·안성시가 평택시에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협조를 요구했지만, 평택시는 안정적인...
"4대강 사업으로 빚 쌓인 수자원공사, 수돗물 인상 추진했다" 2017-10-19 18:44:09
수도법 개정을 통한 수돗물 인상을 추진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의원은 19일 수자원공사 국정감사에서 "수자원공사가 지난 6월 가뭄 대책으로 수도법을 개정해 물할증 요금제를 도입, 수도요금 인상해야 한다는 자체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공사 경영진이 연구를...
안성시 '가현취수장' 30년만에 폐지, 지역발전 기대 2017-10-12 13:41:37
따라 수도법시행령 제14조의2(공장설립이 제한되는 지역의 범위)와 제14조3(공장설립 승인지역의 범위)의 제한·승인지역 109.355㎢가 해제된다고 설명했다. 제한.승인지역 해제로 관내 보개,삼죽,안성1동 일부 및 금광면 규제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가 가능하게 됐다. 그동안 이들 지역 주민들은 재산권 침해와...
소음·막힘 없는 초절수 양변기… 중국·인도서 러브콜 2017-10-01 17:59:13
등에 짓는 아파트에 절수형 양변기를 시공한다. 작년 말 수도법이 바뀌어 양변기 물 사용량이 1회 5l 미만으로 줄어든 중국 인도 등 해외에서도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현 대표는 “핵심 부품의 기술력뿐만 아니라 제작 공정에도 노하우가 숨어 있어 복제 생산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여명테크는 절수형 변...
수도계량기 조작해 기본요금만 낸 수도검침원 입건 2017-09-27 09:41:47
조작한 혐의(사기, 수도법 위반) 등으로 영주시 수도사업소 직원 A(49)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27일 밝혔다. A씨는 2012년부터 지난 7월까지 자기 집과 상가에 있는 수도계량기 2대 사용 수치를 조작해 5년 동안 기본요금을 제외한 나머지 58만여원을 내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1996년부터 수도사업소 무기계약직으로...
'생태보고'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추진에 지주 반발 2017-09-14 18:01:57
법률인 수도법, 농지법에 따라 적용돼 습지보호지역 지정과 무관하고 이로 인한 재산권 침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지정은 2007년 추진했지만, 수해 상습지역인 화포천 유역 치수사업 선행 후 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요구한 주민 반대로 중단됐다. 경남도와 시는 이후 주민들이 요구한 치수사업을...
수돗물 만족도 80%까지 올린다…환경부, 위생관리 강화 2017-09-13 12:00:30
있더라"면서 "향후 수도법을 개정해 지자체의 관망 관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수도용 자재·제품의 위생안전 관리도 강화한다. 위생안전 인증을 받지 않고 유통되는 불법제품은 수거 권고 절차 없이 바로 수거·회수되도록 '즉시 수거명령제'가 도입된다. 실제 수돗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사전...
제주 수돗물 시설용량 92% 소진…물부족 대란 우려 2017-07-27 13:42:07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제주에서는 수도법에 따른 절수설비 등에 설치에 대한 감독이 허술하다. 이 단체가 제주도에 대해 정보공개를 청구한 결과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절수설비 미이행 시설에 대한 지도점검을 단 한 번도 하지 않았고 과태료를 부과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체는 "지하수 함양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