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팩트체크] AI가 인간의 모든 일자리를 대체한다? 2025-02-05 07:20:00
스타트업 딥시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반도체와 소규모 인프라로 챗GPT 등 선두 주자를 위협하는 AI 모델 '딥시크-V3'와 '딥시크-R1' 등을 선보여 충격을 주기도 했다. 최근 업계는 LLM에서 나아가 AI가 인간의 물리적·디지털 행동까지 학습해 수행하는 거대행동모델(LAM) 연구에도 힘쓰고 있다....
14조원 쏟아붓고 손 뗀 GM 로보택시, 인원 절반 감축 2025-02-05 05:30:42
꼽혀왔던 GM의 로보택시 사업 철수는 관련 업계에 큰 충격을 줬다. GM은 지난 2016년 로보택시 스타트업 크루즈를 인수해 그동안 100억 달러(약 14조5천억원) 이상을 투자해왔다. 업계 안팎에선 자율주행 기술의 강자인 테슬라가 작년 10월 '사이버캡' 공개와 함께 로보택시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게...
딥시크 추격에…오픈AI 올트먼, 한국서 주도권다지기 '광폭행보'(종합) 2025-02-04 20:02:58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하고 중소벤처기업부 초청으로 국내 스타트업들과 간담회를 한 바 있다. ◇ 카카오 "오픈AI와 서비스 공동 개발" LLM 자체 개발서 협력으로 선회 지난해 말 인공지능(AI) 서비스 '카나나'를 공개하며 생성형 AI 경쟁에 후발 주자로 뛰어든 카카오에도 챗GPT를 만든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은...
[단독] 민주당 정보통신특위 출범…"국가 ICT 정책 새 판" 2025-02-04 19:56:04
ICT 업계에선 추후 국가 정책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오픈AI와 카카오 협력 등처럼 글로벌 기업간 합종연횡 등 기회도 열리고 있지만 동시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쇼크와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AI 인프라 구축에 5000억달러 투자), 대만의 TSMC 부상 등에 따라 국내 기업 경쟁력...
"노동집약 웹툰 생태계, AI 비서가 혁신할 수 있죠" 2025-02-04 18:32:09
스타트업이다. 창업 6개월 만에 쿠팡·토스·배달의민족 등을 유니콘기업으로 이끈 알토스벤처스로부터 30여억원의 ‘프리A’ 투자를 이끌어내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프리A 투자란 창업 초기 자금(시드 투자) 이후 시리즈A 투자로 가기 전 진행되는 투자 단계를 의미한다.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지난해 세계에서 80개...
이재용, 올트먼·손정의와 'AI 회동'…손정의 "좋은 논의였다"(종합2보) 2025-02-04 17:57:49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AI 모델을 내놓으면서 업계에 충격을 안긴 만큼 강력한 AI 생태계를 구축해 경쟁 우위를 유지하려는 3사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전날 밤 한국을 찾은 올트먼 CEO에 이어 손 회장은 3자 회동을 위해 이날 오전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회동에 앞서 "삼성과의 잠재적 협력에...
휴머노이드·양자컴까지…'AI 야심' 키우는 올트먼 2025-02-04 17:48:05
기업 TSMC와 협력하기로 했다. 양자컴퓨팅과 관련한 오픈AI 계획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지난해 양자컴퓨팅 스타트업인 사이퀀텀에서 양자 시스템 설계를 담당한 엔지니어를 영입해 시장 진입을 예고했다. 양자컴퓨팅과 AI의 결합은 아직 누구도 도달하지 못한 영역이다. 양자컴퓨팅은 AI 모델 훈련 속도를...
AI 악용 막아라…美기술기업들, 보호장치 개발 나서 2025-02-04 17:42:24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이 사용자가 AI 모델에서 유해 콘텐츠를 유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앤스로픽은 지난 3일 발표한 논문에서 자사의 클로드 챗봇을 구동하는 것과 같은 대형언어모델(LLM) 위에...
'딥시크에 깜놀' 올트먼, 내일 인도 방문…"모디 총리 등 회동"(종합) 2025-02-04 17:40:35
뿐이라고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 CEO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최근 공개한 '저가형' AI에 챗GPT가 미국 내 앱 다운로드 면에서 따라잡히는 등으로 충격을 받은 가운데 인도를 방문하는 것이다. 인도는 챗GPT 사용자 면에서 미국에서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라고 오픈AI 측이 이전에 언급한 바 있다....
[데스크칼럼] '딥시크 혁신' 절실한 K건설 2025-02-04 17:38:43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출현이다. 개발비만 수천억원이 드는 생성 AI 시장에서 딥시크가 저가 반도체 칩으로 내로라하는 AI보다 더 나은 성능의 모델(R1)을 선보여 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비싼 칩만이 능사는 아니다’는 발상의 전환이다. 딥시크는 AI 생태계뿐 아니라 건설업 등 다른 산업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