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자폐증 생물표지는 바소프레신 호르몬 결핍" 2020-04-29 10:31:57
시상하부의 신경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부모의 보살핌, 친구 사이의 유대 관계 등 여러 형태의 사회적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 사회신경과학연구 프로그램(Social Neurosciences Research Program) 실장 카렌 파커 교수 연구팀은 자폐증 진단을 받은 아이는 생후 1년이...
"합성 스테로이드 장기간 쓰면 부신 완전히 망가진다" 2020-04-28 17:05:22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집중됐다. 그래서 연구팀은 부신으로 눈을 돌려, 코르티코스테로이드계 제제를 장기간 투여하면 부신의 스테로이드 생성 경로에 변화가 생긴다는 가설을 검증했다. 이 경로는 부신의 기능 억제에 관여한다. 그 결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규칙적인 분비 리듬에 혼란이 생겨 부신의 스테로이드...
"원격 제어 나노입자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조절" 2020-04-20 17:21:14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 축(HPA axis)'에서 칼슘의 부신 세포 유입을 제어하는 이온 채널을 실험 표적으로 정했다. 이 채널을 통해 칼슘이 흘러 들어가면 부신 세포는 호르몬 분비를 시작한다. 다시 말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려면 부신 세포로의 칼슘 유입을 제어할 수...
규현 재능기부 '봄날의 기적' 내레이션 참여 2020-04-16 14:15:26
발병한 서현이는 식욕을 조절하는 시상하부의 기능 이상으로 눈 뜨고 잠들 때까지 식탐을 보인다. 자는 동안에도 네다섯 번씩 호흡이 멈춰 산소호흡기를 써야만 해 하루 종일 엄마의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내레이션 녹음 현장에서 규현은 "지금 이 순간에도 장애와 싸우며 힘겨운 하루를 살아가는 아이들이 있다....
[건강칼럼] 체지방 쌓는 미각중독… 교정하려면 ‘6개월’ 버티세요 2020-04-08 08:55:01
찾게 된다. 미각중독을 일으키는 달고, 짜고, 기름진 특정한 맛은 시상하부의 식욕조절 중추를 자극해 쾌락 호르몬 ‘도파민’을 분비하도록 유도한다. 또, 혀의 미각 세포는 자극에 서서히 둔감해진다. 결국 뇌가 지속적으로 도파민을 요구하고, 혀의 ‘맛 감지 능력’이 깨지면 설탕·소금의...
국내 3위 비만약 '벨빅' 퇴출…1300억 국내시장 쪼그라드나 2020-02-24 18:04:05
에자이가 개발한 로카세린 성분의 비만치료제로 시상하부에 있는 식욕 억제 뉴런에 있는 5-HT2C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해 음식을 덜 먹게 하는 역할을 한다. 국내에서는 일동제약이 유통과 판매를 맡고 있다. 비만치료제 중 3위로 국내에서는 연간 1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벨빅의 판매가 중단된 이유는 이 약을...
"췌장 세포 '생체시계' 안 맞으면 성인 당뇨병 온다" 2020-02-04 15:00:30
뇌 시상하부의 중앙 생체시계에 작용해 췌장 세포의 생체시계 진폭을 효율적으로 다시 맞추는 것 같다"라면서 "생체시계가 정상으로 맞춰지면 인슐린 분비도 좋아졌다"라고 말했다. 인체의 생체시계는 중앙과 주변의 이원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뇌 시상하부의 중앙 생체시계가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각 기관과 세포의...
"고칼로리식, 비만과 직접적인 연관 찾았다" <美 버지니아대> 2020-01-06 22:14:36
통하는 시교차 상핵은 포유동물의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약 2만 개의 뉴런(신경세포) 무리를 말하는데 체온, 혈압, 세포분열 속도 등 생체 활동을 24시간 주기로 조절한다. 실험 결과, D1 도파민 수용체가 제거된 생쥐는 식이성 비만, 대사 질환, 고열량식 관련 생체 리듬 교란 등에 강한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SCN에서 D1...
"비만 유발하는 고칼로리식도 중독성 있다" 2020-01-06 14:45:53
뇌의 생체시계로 통하는 시교차 상핵은 포유동물의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약 2만 개의 뉴런(신경세포) 무리를 말하는데 체온, 혈압, 세포분열 속도 등 생체 활동을 24시간 주기로 조절한다. 실험 결과, D1 도파민 수용체가 제거된 생쥐는 식이성 비만, 대사 질환, 고열량식 관련 생체 리듬 교란 등에 강한 내성을 보였다....
[전예진의 토요약국]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의 역사 2019-12-27 08:45:20
엔도르핀이 됐습니다.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에서 생기는 호르몬인 엔도르핀은 행복감을 느끼고 고통스러운 감각을 줄여줍니다. 중독성과 사망 위험이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에도 불구하고 오피오이드가 사용되는 이유는 극심한 고통도 완화할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진통제이기 때문입니다. 과학 기술이 이렇게 발전했는데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