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마이크로소프트, 양자컴퓨터 경쟁 본격 참전 2023-06-22 16:08:53
로드맵을 통해 일명 ‘마요나라(majorana)’ 양자컴퓨터 개발의 중요한 실마리를 과학적으로 풀어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성과는 미국 물리학회지에 실렸다. MS는 새로운 방식으로 양자컴퓨터를 만들면 1초당 100만개 이상의 안정적인 연산을 하면서도 1조개 중 1개의 낮은 실패율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신용카드 칩 크기...
"해킹·도감청 꿈도 꾸지마"…'뚫리지 않는 방패' 기술 경쟁 2023-06-09 18:22:41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0 또는 1’의 값을 갖는 현재 디지털 기반 통신 방식과 다르다. 확률적으로 ‘0이면서 동시에 1’인 양자물리학적 특성을 이용한다. 불법 도·감청 및 해킹이 원천 차단된다. 해커나 도청자가 있을 경우 송·수신 중이던 데이터 자체가...
로레알 그룹, ‘제25회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 공개 2023-06-02 10:00:05
선정해 수여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2023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로는 아프리카 및 아랍 국가: 탄소 발자국이 저감된 고효율 화학 분리를 위한 멤브레인 필터 개발에 기여한 수잔나 누네스 교수, 남미 및 카리브해: 물질의 구조 및 양자...
[사이테크+] X선으로 단일 원자 촬영 성공…"물질 분석에 혁신 가져올 것" 2023-06-01 05:00:02
양자 터널링 결합…분자 내 원자 1개 특성 파악"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국 연구팀이 X선으로 원자 1개를 촬영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미국 오하이오대 소-와이 흘라 물리학 교수와 아르곤 국립연구소(ANL) 볼커 로즈 박사 연구팀은 1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지금까지 물질의 X선 촬영에...
1조5000억 들인 중이온가속기 '합격점' 2023-05-29 17:35:29
주력 산업과 양자컴퓨터 등 미래 산업에 쓰일 신소재를 개발할 수 있다. 암 치료나 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 처리에 쓰일 원소 확보도 가능하다. 우주 암흑물질 탐구, 별의 진화 과정 규명 등 노벨 물리학·화학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초과학 연구에도 쓰인다. 라온은 현재 건설 중인 저에너지부(1단계)와 아직 착공 전인...
[책마을] "물리학만으론 안 된다"는 물리학자 2023-05-26 17:45:58
물리학 책을 앞에 둔 비전공자의 머리는 뜨거워진다. 외계어 같은 방정식과 암호 같은 주기율표, 도통 와닿지 않는 도표 탓이다. 두뇌를 구성하는 1000억 개의 신경세포에 과부하가 걸린다. 특히 분자, 원자, 전자 등 미시적인 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이라면 더욱 그렇다. 신간 은 물리를 전혀 알지 못하는 ‘물알못’에게...
원자는 만물을 구성하지만, 만물을 설명할 수는 없다 [책마을] 2023-05-25 13:49:48
물리학은 차가운 학문이다. 보편적 법칙으로 만물의 이치를 설명한다. 물리 법칙에서 '인간적인' 감정을 찾기란 쉽지 않다. 특히 분자, 원자, 전자 등 미시적인 세계를 다루는 양자역학이라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물리학 책을 앞에 둔 비전공자의 머리는 뜨거워진다. 외계어 같은 방정식과 암호 같은 주기율표,...
인텔, AI 반도체 '팔콘 쇼어' 출시…과학연구용 AI 모델 개발 2023-05-23 13:48:28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와 AI, HPC, 양자컴퓨팅 등 첨단 컴퓨팅 기술 분야에서 공동 연구 개발을 추진한다는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또, 미국 에너지 기구 소속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협력해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고 생물학, 화학, 재료 과학, 물리학, 의학 등 분야의 과학 데이터 학습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1조 개...
[인터뷰] 양자석학 발라프 "양자기술은 아직 출발선쪽…추격시간 충분" 2023-05-18 09:23:02
예상했다. 그는 "내가 학생일 때에 양자 물리학보다 입자물리학에 학생들의 관심이 더 많았다. 그런데 이제는 양자물리학 쪽에서 더 많은 기회가 창출되고, 기초과학적 측면뿐 아니라 스타트업, 벤처 캐피탈에서도 많은 흥미를 갖고 있다. 학계, 재계, 또는 정부 쪽에서 기회도 다양해졌다"고 소개했다. 그는 자신의...
소형모듈원전 전문가가 고교생 '과외쌤'으로 나섰다 2023-05-17 14:11:20
교수, 최도훈 고려대 수학과 교수가 참여한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이정익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신종화 KAIST 신소재공학과, 황호성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멘토로 나선다. 이정익 교수는 미래 산업 에너지원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 분야 국내 대표 전문가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세계 각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