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당뇨환자, 특정 유전변이 있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 1.9배↑ 2024-06-20 11:46:28
당뇨병 환자의 뇌졸중·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 해당 변이는 당뇨병 발병 후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최대 1.89배까지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은 곽수헌 내분비대사내과 교수가 참여한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 유전체 코호트 컨소시엄(CHARGE)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한국인 뇌전증 유발 유전자 확인…맞춤 치료 '희망' 2024-06-14 09:25:23
유발하는 유전자 실마리가 확인됐다. 이번 연구에 따라 한국인의 뇌전증 맞춤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강훈철·김세희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교수와 최종락·이승태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연구팀 성과다. 뇌전증은 전 세계 인구의 1%에서 발생하는 신경 질환으로, 중추신경계의 감염이나 뇌...
심장이 두근두근…혹시 나도 부정맥? 2024-06-13 16:28:20
가까이하는 생활습관과 노화, 비만, 유전 등으로 다양하다. 또한 심장병이나 고혈압·당뇨·갑상샘 질환 등으로 인해 동반되기도 한다. 부정맥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심장의 전기적 이상을 파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심전도 검사를 한다. 심전도 검사는 몸에 여러 개의 전극을 붙인 후 10초가량 진행된다. 대부분의 경우...
금투협, 부산서 '머스트' 벤처투자 유치 행사 2024-06-13 10:17:00
해주는 것이 골자다. 행사에서는 희귀 유전질환 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업체와 초경량 복합소재 기술을 보유한 기업 등 4개 사가 투자 유치에 나선다. 참여사는 부산테크노파크,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의 심사로 뽑았다. 참여 기업은 현장에서 기업 설명회를 열고 투자자의 질문을 현장 및 온라인으...
늘어나는 'FDA 희귀의약품' 지정…"R&D 촉진에 도움" 2024-06-04 09:00:03
유발하는 열성 유전 희귀 질환이다. GC1130A는 지난달에는 FDA에서 임상 1상 시험 계획(IND)을 승인받았다. 네오이뮨텍[950220]의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NT-I7'도 FDA로부터 췌장암 대상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NT-I7은 면역 세포인 T세포를 증폭시키는 치료제로, T세포 부족으로 면역항암제 효과가 작은 암...
엔비디아, 시총2위 애플 추격··· ‘3조달러 클럽’ 눈 앞 [美증시 특징주] 2024-05-30 08:17:03
눈 질환 치료제를 포함해 실험 약물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계약을 통해 망막 질환 치료제인 리스토어트에 접근 가능해졌다고 덧붙였습니다. 머크는 오늘 0.13% 약보합권에 거래 마쳤습니다. ((로빈후드)) 다음은 로빈후드 보겠습니다. 로빈후드는 자사주 매입 소식에 오늘장에서...
알지노믹스, 국가전략기술 인증 획득…130개 기관 중 유일한 선정 2024-05-29 14:38:57
중 첨단 바이오분야는 합성생물학, 유전자세포치료, 감염병 백신치료, 디지털 헬스케어로 구성됐다. 이중 알지노믹스가 보유한 기술은 유전자세포치료 분야다. 알지노믹스는 리보핵산 치환효소 기반 RNA 편집 유전자치료제 및 자가환형화 RNA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항암제를 비롯해 희귀·난치 유전질환 치료제를...
에스티팜-차백신연구소, RNA기반 면역치료제 공동개발나서 2024-05-28 14:20:58
통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유전자가 잘못되면 계속 잘못된 단백질이 만들어질 수 밖에 없다. mRNA 의약품은 DNA 유전 정보가 mRNA로 복사될 때 개입해 질병을 유발하는 잘못된 단백질의 생성을 원천 봉쇄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DNA를 ‘설계도 원본’에 비유한다면, mRNA는 이를 복사해 단백질 제조 공장(리보솜...
한미·GC녹십자 “파브리병 신약, FDA 희귀의약품 지정” 2024-05-27 14:13:09
주목받고 있다. 파브리병은 성염색체로 유전되는 희귀질환으로 리소좀 축적질환(LSD)의 일종이다. 불필요한 물질들을 제거하는 세포내 소기관 리소좀에서 당지질을 분해하는 효소 ‘알파-갈락토시다아제 A’가 결핍되며 발생한다. 체내 처리되지 못한 당지질이 계속 축적되면서 세포독성 및 염증 반응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시력 잃는 환자에 '빛' 선물…"부작용 없는 인공망막 개발 눈앞" 2024-05-24 18:44:25
유전성 망막이영양증은 유전자 이상 탓에 빛 자극을 감지하는 망막세포 기능이 점차 떨어져 시력을 잃는 질환이다. 유전성 망막이영양증을 일으키는 유전자만 300개가 넘는다. 300가지 넘는 각기 다른 질환이 있다는 의미다. 변 교수가 안과 분야 최신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는 ‘얼리 어답터’가 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