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군사전문가도 믿기 어려운 업적…'민족의 신화' 이순신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1-22 08:00:04
당포·당항포 등은 만과 항로의 ‘목(項)’이었다(윤명철, ??한국 해양사??). 다만 한산도 전투는 넓은 바다로 유인해 ‘학익진’으로 반격한 후에 대승을 거두는 전략을 구사했다. 노량 전투에서도 이순신 장군의 80여 척과 명나라의 300여 척은 일본의 500여 척과 캄캄한 축시(새벽 2시 전후)에 전투를 벌여 북서풍을...
한·중·일 연결하며 활발했던 가야연맹의 해양 무역…고구려 남진에 대응해 일본 열도로 조직적 진출 2020-11-16 09:00:12
비롯해 가야와 연관된 흔적을 많이 남겼다(윤명철, 《한국해양사》). 만약 강력한 정치세력이 무력을 이용해서라도 가야연맹의 통일을 이룩했다면 더 강력한 고대국가로 발돋움했을지 모른다. 물론 그 결과가 가야나 한민족에게 긍정적으로 나타난다고 확신할 순 없다. 그래도 여전히 아쉬움은 남는다. 400년, 백제를 항복...
'국제대전' 임진왜란, 승자는 누구인가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1-15 08:00:08
육군의 활동은 크게 제약되고, 보급로가 끊어졌다(윤명철, ??한국해양사??. 그리고 명나라가 우수한 무기를 갖춘 대병력으로 참전을 시작했다. 놀랍고 유감스러운 사실이지만 임진왜란의 발발과정과 정부의 대응방식, 결과를 보면 1950년의 6·25와 너무나 같다. 인간은 언제나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간파할 수 없다. 따...
우리가 몰랐던 임진왜란의 이면,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1-08 08:11:01
지배하고, 무방비 상태나 다름없었던 조선이었다(윤명철, 《한민족 해양활동 이야기 2》). 그는 통일을 완성하기 전인 1585년에 관백이 될 때 조선을 공격할 의도를 보였다. 육군 병력뿐만 아니라 1586년에는 대규모의 선박건조 사업을 추진했고, 전쟁 전에는 포르투갈에서 전투력이 뛰어난 갤리선 등 함정 2척을 구입하는...
한강하류 차지·해양발전 전략 추진한 신라, 한반도 동남쪽 변방국가에서 끝내 승자로 2020-11-02 09:00:11
됐다(윤명철, ). 조금 훗날이지만 가야금을 만든 우륵(于勒)은 신라로 투항했고, 충주의 탄금대로 이주해 살았다. 뛰어난 음악으로 가야의 마음을 통일시키려 했던 그는 운명을 따라 신라에서 자기 뜻을 펼쳤다. 신라 사회는 자신감에 가득 찼고, 진흥왕은 친정을 시작했으며 ‘개국(開國)’이라는 특별한 연호를 사용했다....
한반도 '최약국' 조선…붕괴될 수밖에 없던 6가지 이유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1-01 08:00:08
사람과 세력,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크게 영향받을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교조적인 논리와 열정적인 이상론자들보다는 차라리 실용적인 사상과 적응력이 뛰어난 현실적인 인물들이 오류를 범할 확률이 낮다. 역사를 공부하면서, 특히 현재 한국 상황을 관찰하면서 이런 생각들이 드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윤명철
왜구…해적이던 그들은 어떻게 다국적 무역상이 됐나[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0-25 08:00:01
궁금하다. 의지가 박약하거나 없었던 것일까? 아님 사대국인 명나라의 정책을 부정하지 못했거나 모방한 탓일까? 우리는 수백 년간 수백 번에 걸쳐 왜구들에게 침탈당했고, 일본의 식민지까지 됐다. 일본에 대한 무지와 근거가 희박한 오만을 버리지 않는다면 비극은 반복될 수도 있다. 그게 역사인 것이다. 윤명철
대마도정벌 불구 임진왜란 벌어진 이유는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0-18 08:00:02
권력을 장악하고 본격적인 당쟁에 뛰어든 사림(士林)들은 미봉책으로 해양을 포기했고, 이 결과로 조선은 국방력의 약화와 임진왜란이라는 대참사를 겪었다.(윤명철,《한민족 해양활동 이야기 2》) 동아시아 8개 해역의 영토갈등, 미·중 간 해군력 충돌, 일본의 급속한 해군력 팽창, 해양강국 중국의 이어도 시비와 ‘서해...
경주, 수로 교통 발달한 해항 도시…초기부터 일본 혼슈 진출 2020-10-12 09:00:03
등의 포구들이 발달한 울산만으로 들어간다(윤명철 ). 삼국사기에 따르면 4대 임금인 석탈해(昔脫解)는 왜국의 동북 1000여 리 떨어진 다파나국(多波那國)에서 출발한 상자 속에 넣어져 울산 지역인 아진포(阿珍浦)에 들어왔다. 통일신라시대에 이슬람 상인으로 추정되는 처용과 연관된 개운포와 처용암도 울산만에 있다....
세종대왕이 한글에 담은 혁신·상생 정신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2020-10-11 08:00:03
향상에 적합한 기호로 디지털 문명의 선도국으로 만드는데 큰 공을 세운 것이다. 세종대왕. ‘역사의 천재’인 그는 권력의 탈취, 생산양식의 변화, 감성에 호소하는 선동이 아니라 합리적인 정책과 지식의 전수, 기호 사용의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면서 이상세계를 건설하려한 진실한 혁명가였던 것 같다. 윤명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