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딥브레인AI, ABL생명에 AI명함 서비스 제공…쏘카는 1분기 영업손실 108억원 [Geeks' Briefing] 2024-05-13 17:45:13
서비스다. 사진 한장과 10초 분량의 음성 데이터만 있으면 2분 만에 완성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실제 사람이 녹음한 것처럼 음성을 합성하는 TTS(Text to Speech) 기술과 텍스트를 디지털 영상 콘텐츠로 자동 변환·제작하는 TTV(Text to Video) 기술이 적용됐다. ABL 생명은 전속 FC(재무컨설턴트)와 육성 매니저...
음성·청주 스마트밸리에 반도체·생명공학 업종 유치 2024-05-13 17:28:01
그린스마트밸리는 이름대로 의료용 신물질과 의약품 제조 등 생명공학, 전기장비 제조 등 지식기반산업 같은 녹색산업을 주요 유치 업종으로 정했다. 이 단지는 올해 하반기 단지 조성을 위한 착공을 시작해 2026년 완공될 예정이다. 중부고속도로 증평나들목(IC)에서 6㎞ 떨어져 있으며 서울과 대구 등으로 이동하기 쉽다....
서울 도심 곳곳 환자이송…'응급닥터 UAM' 띄운다 2024-05-09 18:13:49
응급의료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서울에서 첫 UAM 이용자는 응급환자가 될 것”이라며 “UAM은 소수의 부유층만을 위한 전유물이 아니라 서울시민을 위한 공공의료 서비스의 핵심 교통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닥터헬기가 소음 등의 문제로 출동을 중단하거나 기각되는 단점을 전기로 구동하는...
2030년 서울 상공에 UAM '닥터헬기' 뜬다 2024-05-09 14:00:03
의료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서울에서 UAM 첫 이용자는 응급환자가 될 것”이라며 “UAM은 소수의 부유층만을 위한 전유물이 아닌 서울시민을 위한 공공의료 서비스의 핵심 교통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닥터헬기가 소음 등의 문제로 출동이 중단되거나 기각되는 단점을 전기로 구동되는 UAM이...
유니스랩-중앙대학교 병원, 인공지능 의사 개발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4-04-22 10:00:00
헬스케어 리더 양성, 융합 연구에 중점을 두고 의료 우수성의 기준을 재정립하고 있으며 국내외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유니스랩은 의사들이 창업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 서비스는 유니스(UNICE)- AI 기반 블록체인 헬스케어 메신저 서비스로, 질병 진단, 약물 처방,...
"일상 속 AI 체험하세요"…카카오, 월드IT쇼서 기술력 강조 2024-04-17 14:13:06
의료·바이오, 블록체인 등 고성능 컴퓨팅 자원(HPC)이 핵심인 산업군을 공략 중이다. 카카오브레인은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모델 '칼로'를 소개한다. 또 새롭게 공개한 AI 오디오북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2022년 10월 공개된 칼로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한다. 사용자...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4-04-16 16:15:00
개발한 음성 인식 기술은 여러 언어가 섞인 음성도 신속하게 처리한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기술은 이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언어 종류를 알아서 구별한다. AI의 응답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음성을 구간별로 중첩해 인식하는 기술도 적용했다. 장비 하나를 놓고 서로 다른 언어로 실시간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는...
유비케어, 1차 의료기관 대상 '의사랑 키오스크' 출시 2024-04-15 13:37:44
모드' ▲시각 장애인용 점자 키패드·이어폰 활용한 '음성안내 모드' 기능을 지원한다. '의사랑 키오스크'에는 장애인 편의 기능뿐만 아니라 접수, 수납, 제증명 서류 출력과 비용 결제 시스템 등 의료기관 업무 효율을 높이는 여러 기능이 탑재돼 사용 편의를 더한다. 특히 '의사랑'과 연...
유비케어, 장애인 편의기능 담은 '의사랑 키오스크' 출시 2024-04-15 13:21:18
1차 의료기관용 무인 키오스크 ‘의사랑 키오스크’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신체 기능이 원활치 못한 장애인을 위해 △저시력자·청각 장애인을 위한 색 대비가 뚜렷한 ‘고대비 모드’ △신장이 작은 또는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저자세 모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키패드와 이어폰 활용한 ‘음성안내 모드’...
경북대 이혜진 교수팀, 소변 한방울로 신장 질환 자가 예측 진단키트 개발 2024-04-08 14:49:26
색상이 있는 선이 2줄로, 음성 결과는 1줄로 나타나는 방식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 COVID-19 자가 진단키트와 임신 진단키트 등이 있다. 공동연구팀은 색깔의 선명도를 좀 더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금속유기 구조체(MOF)를 이용해 혈액 또는 점액이 아닌 소변으로 분석할 수 있는 종이칩 자가 진단키트를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