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이회영 선생 탄생150주년 기념식…"독립된 조국서 편히 쉬시길" 2017-04-21 16:17:07
이회영 선생 기념우표 56만 장을 제작했다. 1867년 이조판서 이유승 대감의 4남으로 태어난 이회영 선생은 1905년 을사늑약 반대운동을 하고 1906년 독립운동 비밀결사인 신민회를 조직했다. 이후 1910년 이회영 선생 여섯 형제 가족 40여 명은 전 재산을 팔아 현재 화폐가치로 600억 원에 달하는 독립운동 자금을 가지고...
"전통요리·역사강좌 들어볼까"…종로구 봄맞이 강좌 2017-03-03 09:02:51
진행한다. 우당 이회영 선생은 구한말 이조판서를 지낸 이유승의 넷째 아들로 일제가 국권을 침탈하자 모든 것을 버리고 형제들과 함께 만주로 망명해 독립운동에 투신한 독립운동가이자 사상가, 교육자다. 강좌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저항문학, 안중근 의거와 동양평화론, 대한제국 선포와 자주독립정신, 강화학파를 중심으...
사대부와 의친왕이 사랑한 서울의 비밀정원 '성락원'을 가다 2017-02-28 08:00:08
시기가 늦다. 19세기 들어 철종(재위 1849∼1863)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정원으로 사용됐고, 일제강점기에는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이 35년간 별저로 썼다. 이후 심상응의 후손인 고(故) 심상준 제남기업 회장이 1950년 4월 사들였다. 북한산 자락에 1만6천㎡ 규모로 들어선 성락원의 의미는 '도성 ...
"갓은 푹 눌러 쓰지 말고 살짝 얹어야 조선의 멋쟁이" 2017-01-23 15:25:55
후기 이조판서를 지낸 서유구의 '입원십육지'에는 복식 관리법과 모자 세탁법에 관한 내용이 상세하게 남아 있어 양반들이 직접 빨래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 저자는 다산 정약용이 남긴 글을 인용해 선비들이 살림살이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밝힌다. 다산은 아들에게 뽕나무 심기를 추천했는데, 뽕나무는...
<나눔의 리더십>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한 우당 이회영 2017-01-09 07:07:01
백사 이항복의 후손이다. 아버지도 이조판서를 지냈을 정도로 구한말 명문가 집안이었다. 독립운동가로 이름을 떨친 우당 이후에도 동생인 이시영이 초대 부통령을 지내고 손자들인 이 이사장과 이종걸 의원도 4∼5선 의원을 지내는 등 지금까지도 명문가로 꼽힌다. 실제로 우당은 이 이사장이 설명한 대로 시대 흐름을...
강신효, SBS ‘조선엽기연애사-엽기적인 그녀’ 합류…숨겨진 비밀병기 월명 역 2016-10-18 08:28:24
살기를 지닌 인물이다. 조정 최고 실권자 이조판서 정기준의 숨겨진 비밀병기로 그가 시키는 궂은일을 모두 처리한다. 매사에 침착하고 이성적이며 오로지 무공을 연마하는 데 힘쓴다. 강신효는 개성 있는 마스크와 선 굵은 연기력으로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넘나들며 매 작품 강한 인상을 남긴 배우다. 지난 3월 종영한 드...
‘옥중화’ 정난정 박주미, 욕망의 질주 시작 “반드시 정경부인 될 것” 2016-05-02 11:03:00
문정왕후(김미숙 분)에게서 윤원형(정준호 분)이 이조판서로 승차하게 될 거라는 소식을 듣고는 놀랍고도 기쁜 마음을 감추지 못했으나 이내 들뜬 마음으로 자신을 찾아온 원형에게 “가슴이 미어져서... 견딜 수가 없습니다”라고 슬픈 척 연기하며, 외명부에 이름도 못 올리는 현실을 탓했다. 이에 윤원형이...
‘옥중화’ 박주미, 욕망의 끝을 향한 질주 이제부터 시작이다 2016-05-02 07:06:19
분)에게서 윤원형(정준호 분)이 이조판서로 승차하게 될 거라는 소식을 듣고는 놀랍고도 기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나, 들뜬 마음으로 자신을 찾아온 원형에게 “가슴이 미어져서... 견딜 수가 없습니다”라고 슬픈 척 연기하며, 외명부에 이름도 못 올리는 현실을 탓했다. 이에, 원형이 난정에게 정승이나...
[한국사 공부] 이순신, 일본군의 기세를 꺾다 2015-08-21 18:46:04
문중(덕수 이씨)이지만 율곡 이이가 당시 이조판서, 즉 인사권을 좌지우지하는 상황이라 만나지 않았습니다. 같은 문중이라 출세하게 된다는 둥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으니까요. 임진왜란 중 원균의 오판과 모함, 그리고 일본군의 모략으로 옥에 갇히고 두 번째 백의종군을 하게 될 때는 상황이 매우 심각했습니다. 마침 ...
5형제 과거 급제한 명당은… 2014-04-21 07:00:09
모두 대과나 소과에 급제했고 자신도 사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됐다. 이 집의 흥미로운 점은 생기가 응집된 방이 따로 있어 오직 그곳에서만 아이를 낳았다는 것이다. 일명 ‘태실’ 혹은 ‘산방’이라 부른다. 대·소과에 급제한 다섯 아들은 모두 그 방에서 태어났다. 그런데 한때 후손되는 사람이 그 방을 헐어버리고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