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오늘부터 어선·여객선·화물선 환경규제 강화 시행 2021-01-01 09:00:03
바 있다. 이에 따라 내항선은 올해 해양오염방지설비검사를 받은 날부터 황 함유량 0.5%를 초과하는 연료유를 사용하거나 적재할 수 없다. 올해 검사를 받지 않는 내항선박에 대해서는 12월 31일부터 일괄적으로 강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이와 별도로 부산, 인천 등 황산화물(SOx) 배출규제해역에서는 황 함유량 0.1%의...
민자 끌어들여 2030년까지 14개 항만 재개발 2020-12-28 17:23:28
2030년까지 4조원을 추가 투입해 부산 북항, 인천 내항 등 전국 14개 항만을 재개발한다. 이 과정에서 도로와 건물 건설 등을 위해 총 51조원의 사업비가 필요한데, 대부분은 규제 개선을 통해 민간 투자를 받아 조달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의 항만 재개발사업 방향을 담은 ‘제3차 항만 재개발...
인천항 옛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 주상복합 건립 사업 '난항' 2020-12-07 07:54:52
2015년 6월부터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인천시·중구·내항 재개발 비상대책위원회 등과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용역을 통해 2018년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이 계획은 중구 연안동에 있는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를 매각해 해안특화상가가 포함된 주상복합을 건립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인천항 제1항로 준설 2022년 완료…12∼13m 수심 확보 2020-12-03 11:00:06
정비사업을 벌인다고 3일 밝혔다. 인천항 제1항로는 인천북항과 인천내항 등에 진입할 때 반드시 통과하는 항로지만 바닷속 퇴적물로 수심이 낮은 구간이 있어 통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아울러 일부 대형선박들은 북항 입구부에 위치한 암반 때문에 만조 때에만 입항하는 등 항로 이용에 불편을 겪어왔다. 이...
부산 제2신항에 '들뜬' 경남도 2020-11-17 18:03:40
스마트 항만의 선두 주자로 키운다.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 처리를 위한 물류거점 항만으로,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을 지원하는 항만으로 개발한다. 해수부는 또 항만과 지역 간 상생을 위해 낡고 버려져 있는 항만 공간을 지역 경제·산업·문화 거점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부산항 북...
부산항 제2신항, 2030년까지 완전 자동화한다 2020-11-17 13:37:27
선두 주자로 키운다.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만으로,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을 지원하는 항만으로 개발한다. 해수부는 또 항만과 지역 간 상생을 위해 낡고 버려져 있는 항만 공간을 지역 경제·산업·문화 거점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부산항 북항과 인천내항...
부산 제2신항, 2030년 '스마트 항만' 변신…광양항서 사업 검증 2020-11-17 10:00:05
경제·산업·문화 거점으로 전환한다. 부산항 북항과 인천내항 1·8부두 등 14개의 기존 항만에 대해 모두 2천153만㎡ 부지를 대상으로 재개발 사업도 추진한다. 앞으로 새로 지어지는 항만에 대해서는 50년에 한 번 발생할만한 재해를 설계 기준으로 삼던 것을 100년 빈도의 재해로 바꾼다. 해양영토 관리를 위해서는 서...
인천항만공사 사옥 이전...15년만에 신흥동→송도 이사 2020-11-02 14:57:34
오는 2030년까지 공급할 신규 항만배후단지도 인천신항과 아암물류2단지(송도9공구)에 집중돼 있다는 게 공사 측 설명이다. 공사의 송도 이전이 알려진 지난 4월에는 내항 중심의 세관, 출입국관리, 검역기관과의 업무 연속성이 뒤떨어지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인천항은 100년 이상 내항 중심으로 발전해 왔고 지...
인천항 물류 송도 신항으로 빠르게 이동…상반기 물동량 62% 처리 2020-09-23 15:20:00
받아들인 개항의 도시 인천. 그동안 인천내항 중심이던 해상 물류 환경이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신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2015년 인천신항 개장 이후 컨테이너 물동량은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인천항 전체 물동량의 58.8%인 169만5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차지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전체 물동량의 62%...
인천시, 상상플랫폼 개발사업 박차...운영사업자 선정 2020-09-01 14:07:40
90% 이상을 인천지역에서 채용하고 조달할 계획이다. 미술관·공연장·체험시설 등 대규모 복합문화공간 도입과 운영을 통해 지역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종선 시 도시재생건설국장은 “상상플랫폼은 인천내항 재생사업의 마중물사업"이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활성화를 견인할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