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CSK, 대상포진 후 신경통치료제 동물실험 초록 ICAR에 제출 2021-12-09 15:35:39
의대 교수 연구진은 인체 피부조직을 이식한 동물모델에서 후보물질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했다. CSK 관계자는 ”직접 비교(Head to Head)가 아니라 해석은 조심스럽지만, 대상포진에 대한 항바이러스효과는 현재 시판 중인 아시클로버 대비 750배 높게 나타났다”고 전했다. 회사는 지난 10월 미국 특허청에 이...
리스큐어 “내년 면역항암제 임상 계획…후보물질 지속 발굴할 것” 2021-12-09 14:23:02
모델에서도 아밀로이드베타 축적을 억제하고, 신경염증 개선과 단기 기억 및 장기 공간기억능력 등 행동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리스큐어는 LB-P4를 미생물 자체를 활용한 치료제로 개발함과 동시에, 미생물이 생성하는 엑소좀 개발을 통해 적응증 및 투여 경로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엑소좀의 신경세포 보호 효능과...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 "나이 들수록 신체 활동 많이 해야" 2021-11-24 17:26:24
활동은 생리학적 스트레스와 함께 분자, 세포, 조직 수준의 신체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설적이긴 하지만, 인체가 더 강하게 되려면 이런 손상 반응이 꼭 필요했다. 복구를 위한 근섬유의 파열이나 연골 손상, 치유 과정의 미세 골절 등이 바로 이런 경우였다. 인체의 손상 반응은 또 항산화 물질과 항염증 물...
"삼한시대 소국 압독국 지배층, 야생조류·바다생선 즐겨 먹어" 2021-11-23 06:09:00
등 인체조직에 이를 추적할 수 있는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데이터가 남는다. 연구팀은 압독국 사람들의 계층별 식생활 패턴을 더 세밀하게 추정하고자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데이터를 통계 분석 모델인 'MixSIAR'를 사용해 분석하는 작업도 진행했다. 그 결과 압독국 사람들은 엽조(33%), 바다 생선(16%),...
하버드 의대가 확인한 동양 침술의 신경해부학 메커니즘 2021-11-09 17:53:56
마 교수팀은 지난해 전기 침 자극이 동물 모델의 뒷다리에 가해졌을 때만 효과가 있고, 복부에 침을 놓으면 효과가 없다는 걸 밝혀냈다. 당시 연구팀은 동물의 뒷다리에 특유의 지각 뉴런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번 연구는 그 가설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진행됐다. 비록 실험 모델이 생쥐이긴 해도 이번 연구 결과가...
단백질 표적 숨긴 암세포, 겉에 나타난 펩타이드로 잡아낸다 2021-11-05 17:58:30
모델에 시험해, 표적으로 삼은 신경아 세포종이 완전히 제거되는 걸 확인했다. 가장 큰 난제는 종양 특이 펩타이드와 정상 조직의 펩타이드를 구분해 교차 반응과 치명적 독성을 피하는 것이었다. 과학자들은 MHC 분자에 어떤 펩타이드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분석한 뒤 자체 개발한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 세트와 비교해,...
"코로나19 바이러스, 내이 유모세포 공격" 2021-11-01 08:47:02
세포 모델과 성인의 내이 조직을 이용,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0일 보도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그동안 난청(hearing loss), 이명(tinnitus), 이석증(vertigo)을 일으킬 수 있다는 보도들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내이의 주요 세포 모델을...
몸 안의 '평생 가는' 단백질, 장수의 비밀 풀 수 있을까 2021-10-29 17:49:25
이런 장수의 비결이 무언지 궁금해했다. 인체의 생리학적 시스템은 단백질, 생체 분자 등 수많은 역동적 요소들로 구성돼 있다. 그런데 다양한 조직의 특정 세포들이 어떻게 100년 넘게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런 궁금증을 어느 정도 풀어줄 만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포의 발전소 역할을 하는...
비만 치료의 열쇠, 지방세포의 글리코겐 대사에 있다 2021-10-28 17:49:55
갈색 지방세포가 있다는 게 확인됐다. 인체는 음식물로 섭취한 탄수화물을 글루코스(포도당)로 분해해 세포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쓴다. 당장 필요하지 않은 글루코스는 간과 골격근에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된다. 갑자기 에너지가 필요하거나 혈당치를 정상 수위로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끌어 쓰기 위해서다. 하지만 지방...
자신의 줄기세포로 다양한 장기 분화…간·심장·신장 등 자가 이식시대 '성큼' 2021-10-21 15:29:25
생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오가노이드와 인체의 유사성을 비교 분석하고 있으나,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워 정성적인 평가만 하고 있다. 인간 장기와의 유사성을 수치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정량적 평가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정량적 비교 평가 모델 구축을 위해 차세대 염기분석법(NGS)을 이용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