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바이오로직스 "SML바이오팜·인벤티지랩과 mRNA 백신 개발" 2024-12-05 14:58:33
협력기업인 SML바이오팜은 mRNA 및 지질나노입자(LNP) 플랫폼 기술 특허와 mRNA 항원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인벤티지랩은 LNP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설비와 플랫폼 기술을 가졌다. 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와 서울대 수의대 등과 협력해 연구 지원 및 백신 효능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바이오로직으는 지난...
[게시판] 고등과학원, 7일 '시민과 함께 과학' 합동 워크숍 2024-12-05 11:18:52
연다. 워크숍에서는 은하 형태 분류, 우주 수집 입자 분석, 생물다양성 탐구 소리 수집 등 고등과학원이 운영 중인 3개 시민 참여형 과학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시민과 함께 과학에 대한 정보와 참여 방법은 홈페이지(시민과함께과학.kr)에서 보면 된다. (서울=연합뉴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LIG넥스원, 美기업과 방산 신소재 개발 2024-12-03 18:30:19
무입자 전도성 잉크는 첨단 반도체 패키징과 마이크로 LED(발광다이오드)의 미세 전극 등에 쓰이고 있다. 방산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다. 레이더, 통신 장치, 경량 항공기, 드론 등에 잉크를 부착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금속 기반 코팅과 달리 균일하고 얇은 층으로 스텔스 성능을 극대화할 수...
LIG넥스원, 美 일렉트론잉크스와 차세대 부품소재 공동개발 2024-12-03 15:01:48
입자 전도성 잉크 분야'의 글로벌 선두 주자로 꼽힌다. 무입자 은(Ag) 복합 전도성 잉크를 최초 개발한 것을 시작으로 금, 백금, 니켈, 구리 등 제품을 포함한 종합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유일한 글로벌 공급업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파(EMI) 차폐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LIG넥스원은 지난 7월 미국...
LIG넥스원, 美 일렉트론잉크스와 맞손…차세대 부품소재 개발 2024-12-03 14:28:17
입자 은(Ag) 복합 전도성 잉크 최초 개발을 시작으로 금, 백금, 니켈, 구리 MOD 제품을 포함한 종합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유일한 글로벌 공급업체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파(EMI) 차폐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복합 전도성 잉크는 전통적인 입자형 또는 페이스트형 잉크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반도체·전기차 공략…CNT 월드 넓히겠다" 2024-12-02 17:30:23
공정에서 미세한 입자(파티클)를 막아주는 박막이다. 강 대표는 “최근 반도체 회로 선폭이 1·2나노미터(㎚·1㎚=10억분의 1m)로 미세화하면서 레이저 가공 온도가 높아졌다”며 “고온을 견디면서 노광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필터의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CNT는 고온에 강해 해당...
위기 직면한 'K-디스플레이'…차세대 OLED로 반전 노린다 2024-12-02 16:36:17
LG는 올해 업계 최초로 신기술도 공개했다. 삼성은 초미세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을 이용해 자체 색을 내는 RGB 픽셀을 구현한 ‘QD-LED’ 디스플레이를 업계 최초로 선보였다. 현재 퀀텀닷 기술은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해 색을 내는 ‘QD-OLED’ 형태로 상용화돼 있다. QD-LED는 QD 픽셀에서 직접 빛을 내는...
"국내 첫 '꿈의 신소재' 양산"…'1조 잭팟' 노리는 이 회사 [이미경의 옹기중기] 2024-12-02 15:22:12
반도체 회로를 새기는 노광공정에서 미세한 입자(파티클)를 막아주는 박막이다. 강 대표는 "최근 반도체 회로선폭이 1·2나노미터(㎚·1㎚=10억분의 1m)로 미세화되면서 레이저 가공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고온에서 견디면서 노광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필터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에 둥둥 뜬 미세 플라스틱, '드론'이 해치운다 2024-12-01 12:45:43
또 작은 입자를 회수하려면 필터망을 촘촘히 설계해야 해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도 있었다. 연구팀은 필터 대신 물이 잘 달라붙는 재질의 톱니를 물 위에서 굴려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에 잘 달라붙는 톱니의 표면장력이 만드는 힘으로 미세 플라스틱을 톱니로 끌어들이고, 톱니 사이 물막에 미세...
물에 뜬 미세 플라스틱, 톱니바퀴 입으로 잡아먹는 드론 개발 2024-12-01 12:00:15
입자를 회수하려면 필터망을 촘촘히 설계해야 해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도 있었다. 연구팀은 필터 대신 물이 잘 달라붙는 재질의 톱니를 물 위에서 굴려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에 잘 달라붙는 톱니의 표면장력이 만드는 힘으로 미세 플라스틱을 톱니로 끌어들이고, 톱니 사이 물막에 미세 플라스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