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美·中 긴장 고조로 기술 기업 생산지 중국 이외 이전 가속" 2025-02-18 05:27:21
중국 기반 공급업체를 다른 국가의 공급업체로 보완하는 이른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1) 전략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제는 아예 공장을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는 '중국 말고 어디든'(Anything But China·ABC)이라는 'ABC'가 새로운 원칙이 되고 있다고 WSJ은 진단했다. 코로나19를...
'성장 정체' 농심, 유럽서 돌파구 찾는다 2025-02-17 17:52:07
위해 부산에는 수출 전용 공장을 짓고 있다. 내년 하반기 이 공장을 본격 가동하면 농심은 연 27억 개의 글로벌 공급량을 갖추게 된다. 농심은 1994년 미국법인(농심아메리카)을 시작으로 중국 일본 캐나다 베트남 호주 등지에 해외법인을 두고 있다. 미국과 중국에는 생산공장 여섯 곳이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
[사설] 천하의 인텔마저 삼켜버린 AI 태풍…누구도 안심할 수 없다 2025-02-17 17:45:14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TSMC에 인텔 공장의 지분을 인수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한 것은 더 충격적이다. 일본이 입안의 혀처럼 굴어도,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는 허용하지 않겠다고 한 것과 대조적이다. 1968년 창립된 인텔은 회사 자체가 세계 반도체 역사와 궤를 같이하는 위대한 기업이다. 하지...
삼성, 레인보우로보 인수…휴머노이드로 확대 2025-02-17 17:29:41
산업용 '옵티머스'가 공장에 배치될 수 있습니다. 당초 휴머노이드와는 거리가 멀었던 메타가 최근 휴머노이드 개발 전담팀을 꾸렸다는 소식이 지난 14일 나왔습니다. 메타는 자사 AI 플랫폼인 '라마(Llama)'를 탑재한 휴머노이드 연구 개발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여기에 테슬라 '옵티머스'에...
인텔 구하기, 독일까…반도체 공급과잉 우려 2025-02-17 16:53:31
시장은 중국 기업들이 저가 물량 공세를 펼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뒤를 바짝 추격하는 만큼 점유율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그런데 공급 과잉 문제가 발생하면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 경쟁력 또한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요. 삼성전자에는 치명적인 악재입니다. TSMC와의 기술 경쟁력에서도 밀렸는데, 파운드리...
전기차 배터리의 모든 것…'원통형·파우치형·각형' 차이점은… 2025-02-17 16:43:19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파우치형·원통형·각형 폼팩터별 균형 잡힌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파우치형 배터리에 강점이 있던 SK온은 각형 배터리를 지난해 10월 만들기 시작했다. SK온은 충남 서산 제2공장에서 각형 배터리를 생산해 전략적 사업 협력 관계인 중국 지리그룹에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무역 전쟁에 中 배터리 통제…"한국 기업 타격 우려" 2025-02-17 16:42:58
업계 관계자와 중국 정부 공지 등을 토대로 중국이 자국 첨단 기술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기술자 파견과 장비 이전을 어렵게 만들고, 중요한 배터리 및 광물 처리기술 수출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다. 중국 상무부는 리튬 추출 및 첨단 배터리 소재 제조 기술 수출 제한을 제안했다. 해당 사안을...
美 청정에너지업계 지원부서도 트럼프발 칼바람…4분의 1 감원 2025-02-17 15:58:55
달러, 지난달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의 조지아주 공장 건설에 투자하기로 한 66억 달러 등이 실행 여부가 불투명한 사례로 꼽혔다. 특히 리비안에 대한 대출을 두고는 한때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을 맡기로 했던 비벡 라마스와미가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를 겨냥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치적 엄포"라고 주장하기도 했...
"무역전쟁에 中 배터리 등 기술통제 강화…韓기업 유탄 우려" 2025-02-17 15:27:31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FT는 중국 당국은 이를 위해 기술자 파견이나 장비 이전을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핵심 배터리 기술을 통제하기 위한 새로운 수출 통제를 제안하고 중요 광물 처리기술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배터리와 관련해서는 중국 상무부가 지난달 리튬 추출 및 첨단 배터...
'되살 때는 수천억'...현대차, 러시아 재진출 촉각 2025-02-17 15:15:21
공장 시세대로 되사는 조건입니다. 최소 수 천억 원의 지출이 예상되죠. 이렇게 큰 돈을 들여 되산다 해도 예전만큼 잘 팔릴 거란 보장도 없습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빈자리를 이미 중국산 차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사들인다면 현지 시장보다는 주변국 수출 거점으로 활용할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